아스콘(아스팔트콘크리트) 테마는 경기 부양책, 인프라 투자 확대, 도로보수 예산 증가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테마의 상승기는 일반적으로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계획 발표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대규모 공사 발주 시즌과 맞물려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해당 테마의 상승기 시점, 그리고 당시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 양상을 시계열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테마 상승기 주요 구간 분석
시기 | 시장 이슈 | 특징 |
2020년 하반기 | 코로나19 경기부양책으로 SOC 예산 대폭 확대 | 도로 정비 및 국가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른 테마 부각 |
2022년 상반기 |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지역균형발전 공약 반영 | 지방도로 및 산업단지 기반 확충 계획 발표 |
2023년 하반기 | 건설 경기 반등, 국토교통부 도로예산 확대안 통과 | 민자도로·고속도로 정비 사업 본격화 |
2025년 상반기 | 저탄소 친환경 도로자재 전환 정책 발표 | 친환경 아스콘, 스마트 시공 확대 기대감 반영 |
2. 상승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2020년 하반기
테마 초기 부각기: SOC 예산 대폭 증액
역할 | 종목 | 특징 |
대장주 | 스페코 |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장비 제조사로 거래량 급등 |
주도주 | 디와이파워, HD현대건설기계 | 중장비 수요 확대 수혜, 실적 회복세 시작 |
당시 시장에서는 '장비→자재→설계' 순으로 순환매 흐름이 전개되었으며, 플랜트 장비주가 테마를 견인하는 대장 역할을 했습니다.
2022년 상반기
지방균형 발전 및 고속도로 정비 계획 확대
역할 | 종목 | 특징 |
대장주 | SG | 아스팔트 혼합 원재료 공급 및 시멘트 계열 수혜 |
주도주 | 서연탑메탈, 프리엠스 | 건설기계 및 부품주 단기 급등, 수급 집중 |
이 시기에는 도로포장 자재주가 강세 흐름을 주도했으며, 아스콘의 기초 원료를 공급하는 업체에 집중적인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2023년 하반기
국토부의 '스마트 도로망 구축' 발표
역할 | 종목 | 특징 |
대장주 | 폴라리스AI | 스마트 인프라 시스템 수혜주로 급등, 시장 테마 확장 |
주도주 |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이노인스트루먼트 | 설계·엔지니어링 기업의 수주 급증과 실적 호조 반영 |
테마의 성격이 ‘전통 건설 → 디지털 인프라’로 확장되면서, AI 기반 시스템 통합 또는 디지털 시공 솔루션 업체들이 새로운 주도주로 부각되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친환경 아스콘 도입 및 그린SOC 정책 본격화
역할 | 종목 | 특징 |
대장주 | 에스와이, HD현대인프라코어 | 친환경 자재 확대와 함께 설비 수요 급증 |
주도주 | TYM, 대동, 퍼스텍 | 중소형 기계 및 건설장비주가 중가 상승률 주도 |
환경규제 강화와 함께 에너지 효율을 높인 친환경 아스콘 소재 기업들이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으며, 건설장비 수요도 동반 상승하였습니다.
테마 순환과 주도주의 전환 패턴
아스콘 테마는 상승기마다 순환적인 주도주 변화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일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기 재료 공급사 및 플랜트 장비주가 테마를 이끌고,
- 건설장비 및 중장비 부품 기업들이 연속적인 수혜를 받고,
- 설계 및 디지털 인프라 기업들이 후속 주도주로 부각되며,
- 정책 변화에 따라 친환경 및 AI 기술 연계 종목이 새롭게 부각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도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디지털 건설 강화, 친환경 자재 규제 등의 흐름에 따라 테마 내 주도주의 성격이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점을 감안하여 정책 방향과 수급 흐름을 함께 고려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