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관심 종목명 종목코드 분류 상태 현재가격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52주 최고/최저 52주 상승률 52주 하락률 시가총액(억) PER EPS PBR 테마
SG
SG 519
SG&G 536
SG글로벌 566
SG세계물산 1016
255220 코스닥 상승 2,065 50 2.48% 811,961 1,682,477,535 4005
1525
35.4% -48.4% 2,038 -4.6 -449 1.9 시멘트/레미콘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정치-김동연 SG/SG&G/SG글로벌/SG세계물산 우크라이나 재건
콤텍시스템
콤텍시스템 887
아이티센 863
031820 코스피 상승 611 1 0.16% 145,075 88,411,997 684
450
35.8% -10.7% 740 3.97 154 0.41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콤텍시스템/아이티센/시큐센 네트워크통합 NI 제4이동통신
극동유화
014530 코스피 상승 3,620 5 0.14% 100,601 362,428,265 4345
3250
11.4% -16.7% 1,262 14.03 258 0.6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정치-한동훈 액화석유가스 LPG 윤활유 동해 석유 가스 정치-트럼프
엔피케이
048830 코스닥 하락 1,098 -4 -0.36% 18,107 19,789,591 1355
951
15.5% -19.0% 206 -24.4 -45 0.46 정치-안철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스페코
24.1.17 상한가/ 한반도 전쟁 리스크 고조 / 방위산업 상승

테마 : 방위산업
특수목적용 건설기계제조 및 철구조물 제작 판매
013810 코스닥 하락 3,090 -15 -0.48% 57,583 178,504,393 5530
2895
6.7% -44.1% 453 -27.35 -113 1.04 우크라이나 재건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풍력에너지 방위산업 전쟁 테러 남북경협 정치-김문수
한국석유
23.10.30 상한가/ 이스라엘 가자지구 지상작전 본격화에 에너지주 부각

아스팔트 가공 및 판매
국내 블랙아스팔트 시장 70% 점유 / 스포츠용품 판매 사업
004090 코스피 하락 14,090 -100 -0.7% 36,152 507,289,330 24950
10880
29.5% -43.5% 1,789 13.71 1,028 0.9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남북경협 동해 석유 가스 정치-트럼프
유진기업
023410 코스닥 하락 3,790 -50 -1.3% 210,414 802,363,932 3900
3070
23.4% -2.8% 2,930 -5.08 -746 0.32 시멘트/레미콘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보광산업
홈센타홀딩스 1538
보광산업 2304
225530 코스닥 하락 3,675 -65 -1.74% 15,232 56,185,005 6250
3220
14.1% -41.2% 1,335 25.52 144 1.34 시멘트/레미콘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홈센타/보광산업 정치-홍준표

* 테마 소개

25.8.7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SG, TYM, 다산네트웍스, 다스코, 대동, 대동금속, 대동기어, 대모, 대양전기공업, 도화엔지니어링, 동일고무벨트, 디와이디, 디와이파워, 서암기계공업, 서연탑메탈, 수산세보틱스, 스페코, 아이톡시, 에스와이, 에스와이스틸텍, 에쓰씨엔지니어링, 오늘이엔엠, 유신, 이노인스트루먼트, 파라텍, 퍼스텍, 포스코인터내셔널, 폴라리스AI, 프리엠스, 현대건설, 현대에버다임, 현대코퍼레이션, 혜인, 희림.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Asphalt Concrete) 테마는 도로포장 공사, 인프라 확장, 건설 경기 활성화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종목군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정부의 도로 보수 예산 확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 노후 도로 인프라 개선 정책,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도로정비 사업이 가속화될 경우 수혜를 입는 기업들이 이 테마에 편입됩니다.

아스콘(아스팔트콘크리트) 테마 개요

아스콘은 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해 만든 재료로, 주로 도로포장, 주차장, 산업단지 바닥, 활주로 등에 사용됩니다. 아스콘 수요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변동됩니다.

  • 도로 및 인프라 건설 확대: 국도, 고속도로, 지방도 보수 및 신설
  • 노후 인프라 재건축 투자 증가: 특히 30년 이상 된 도로포장 대상
  • 건설 경기 회복세: 민간 개발 및 신도시 조성
  • 지방정부 예산 집행: 특히 하반기 보수 공사 발주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