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종목명 △ ▽ | 종목코드 | 분류 | 상태 | 현재가격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 | 52주 최고/최저 | 52주 상승률 | 52주 하락률 | 시가총액(억) | PER | EPS | PBR | 테마 |
---|---|---|---|---|---|---|---|---|---|---|---|---|---|---|---|---|---|
디케이락 | 105740 | 코스닥 | 상승 | 7,600 | 320 | 4.4% | 2,032,036 | 16,297,229,570 | 12950 6020 |
26.2% | -41.3% | 773 | 36.19 | 210 | 0.58 | 수소트램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원자력발전 피팅(관이음쇠)/밸브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삼현철강 | 017480 | 코스닥 | 하락 | 4,605 | -5 | -0.11% | 12,650 | 58,257,887 | 5420 4160 |
10.7% | -15.0% | 723 | 13.12 | 351 | 0.37 | 철강중소형 GTX 광역급행 철도 남북러 가스관사업 | |
동양에스텍 | 060380 | 코스닥 | 하락 | 1,482 | -3 | -0.2% | 16,179 | 23,949,506 | 2120 1200 |
23.5% | -30.1% | 292 | 14.97 | 99 | 0.25 | 철강중소형 동해 석유 가스 남북러 가스관사업 | |
하이스틸
23.9.8 상한가/ 미국 EU 중국 철강 과잉생산에 관세검토소식
|
071090 | 코스피 | 하락 | 4,055 | -25 | -0.61% | 98,707 | 398,207,858 | 5400 2500 |
62.2% | -24.9% | 819 | -73.73 | -55 | 0.55 | 수자원 개선 철강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동해 석유 가스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부국철강 | 026940 | 코스피 | 하락 | 2,360 | -15 | -0.63% | 83,294 | 197,130,709 | 2965 2125 |
11.1% | -20.4% | 472 | 20.17 | 117 | 0.36 | 정치-이낙연 철강중소형 남북러 가스관사업 | |
이엠코리아 | 095190 | 코스닥 | 하락 | 2,170 | -15 | -0.69% | 79,170 | 171,817,396 | 3185 1551 |
39.9% | -31.9% | 1,416 | -21.49 | -101 | 1.27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공작기계 방위산업 전쟁 테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원자력발전 철도 항공기부품 남북러 가스관사업 | |
SK오션플랜트
구 삼강엠앤티
SK오션플랜트(SK Oceanplant)의 시기별 기업 역사 시기별 기업 역사 1. 설립과 초창기 — 삼강 M&T 시절 (1999년 ~ 2010년대 초) 1999년에 삼강 M&T로 설립됨. 초기에는 중후벽 강관 및 산업용 플랜트 중심의 생산 활동 위주로 출발 2012년경, 해상풍력 하부구조(자켓) 특허 취득 및 본격 생산, 해상풍력 구조물 시장에 진입 조선사업 부문 확장: 2007~2014년 한국 해양경찰청 및 국방부 특수선, 함정 건조 실적 확보 2. 방위 조선사 지정 및 사업 확대 (2017년 ~ 2021년) 2017년, 정부로부터 방위 조선사업자로 공식 승인받음 2019년, STX 조선해양 특수선 사업부 인수로 기술력 및 실적 확장 여러 해상 구조물과 함정 수요 증가에 따라 특수선 및 수리·개조 사업 강화. 3. SK그룹 내 편입 & 새 이름으로 출범 (2021년 ~ 2023년 초) 2021년, SK에코플랜트가 삼강 M&T의 지배권 확보하고 친환경 및 해상풍력 구조물 전문성 강화 2022년 8월,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로 공식 편입됨 2023년 1월부터 정식 사명 변경: 삼강 M&T → SK오션플랜트 4. 글로벌 해상풍력 중심 기업으로 도약 (2023년 ~ 현재) 2023년 말, 해상풍력 관련 특허 기술 강화 및 국제 인증 확보 2024년 6월, 대만 Pengmiao 1 프로젝트에 자켓 수출 계약 체결 (미화 약 2억 8,550만 USD 규모). 전체 대만 시장의 약 44% 점유율 차지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공략을 위해 전용 생산시설 확보 중 |
100090 | 코스닥 | 하락 | 19,940 | -160 | -0.8% | 179,181 | 3,579,480,705 | 22150 10300 |
93.6% | -10.0% | 12,000 | 71.99 | 277 | 1.67 | 조선기자재 철강중소형 LNG 액화천연가스 강관업체(Steel pipe) 풍력에너지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대동스틸 | 048470 | 코스닥 | 하락 | 4,190 | -35 | -0.83% | 32,458 | 135,481,440 | 6100 3000 |
39.7% | -31.3% | 419 | 93.11 | 45 | 0.57 | 철강중소형 동해 석유 가스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휴스틸 | 005010 | 코스피 | 하락 | 4,730 | -40 | -0.84% | 180,223 | 852,290,878 | 7050 3450 |
37.1% | -32.9% | 2,658 | 11.91 | 397 | 0.24 | 사빅 관련주 철강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화성밸브 | 039610 | 코스닥 | 하락 | 11,200 | -100 | -0.88% | 103,790 | 1,159,010,800 | 15420 6880 |
62.8% | -27.4% | 1,166 | 16.42 | 682 | 1.23 | 피팅(관이음쇠)/밸브 동해 석유 가스 정치-홍준표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세아제강
세아특수강 1485
세아제강 3772 세아홀딩스 4448 세아제강지주 6084 세아베스틸지주 8069 |
306200 | 코스피 | 하락 | 156,200 | -1800 | -1.14% | 3,524 | 550,821,200 | 217500 108100 |
44.5% | -28.2% | 4,430 | 3.23 | 48,324 | 0.4 | 네옴시티 세아특수강/세아제강/세아베스틸지주등 강관업체(Steel pipe) 철강 주요종목 풍력에너지 남북러 가스관사업 | |
문배철강
문배철강 679
NI스틸 1676 |
008420 | 코스피 | 하락 | 2,430 | -30 | -1.22% | 51,711 | 126,131,295 | 3090 2040 |
19.1% | -21.4% | 498 | 7.52 | 323 | 0.26 | 철강중소형 문배철강/ NI스틸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엔케이 | 085310 | 코스피 | 하락 | 803 | -15 | -1.83% | 270,548 | 217,800,217 | 1114 610 |
31.6% | -27.9% | 633 | -73 | -11 | 0.36 | LNG 액화천연가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조선 LNG선 남북러 가스관사업 | |
동양철관 | 008970 | 코스피 | 하락 | 1,684 | -65 | -3.72% | 14,586,304 | 24,638,797,478 | 1998 580 |
190.3% | -15.7% | 2,691 | -13.47 | -125 | 2.45 | 철강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수자원 개선 동해 석유 가스 알래스카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
* 테마 소개
SK오션플랜트, 대동스틸, 동양에스텍, 동양철관, 디케이락, 문배철강, 부국철강, 삼현철강, 세아제강, 엔케이, 이엠코리아, 하이스틸, 화성밸브, 휴스틸,
남북러 가스관사업 테마 개요
‘남북러 가스관사업’ 테마는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북한을 경유하여 남한으로 수송하는 파이프라인 구축 사업과 관련된 기대감에서 비롯된 테마입니다. 이 사업은 에너지 수급 다변화와 가격 안정화라는 측면에서 한국에 경제적 이익이 크고, 북한을 경유한 남북 협력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정치·외교적 상징성도 큽니다.
이 구상은 2000년대 중반부터 논의되어 왔으며, 러시아 가즈프롬(Gazprom)과 한국 가스공사(KOGAS), 북한 정부 간 협의가 이어졌지만 남북 관계 경색과 국제 제재로 인해 현실화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남북관계 완화 또는 북러 관계 진전, 국제 정세 변화 등이 감지되면 이 테마가 시장에서 다시 부각되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