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종목명 △ ▽ | 종목코드 | 분류 | 상태 | 현재가격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 | 52주 최고/최저 | 52주 상승률 | 52주 하락률 | 시가총액(억) | PER | EPS | PBR | 테마 |
---|---|---|---|---|---|---|---|---|---|---|---|---|---|---|---|---|---|
금호석유 | 011780 | 코스피 | 상승 | 125,800 | 600 | 0.48% | 61,156 | 7,628,910,300 | 167000 87300 |
44.1% | -24.7% | 33,286 | 11.11 | 11,321 | 0.63 | 탄소나노튜브(CNT) 타이어 석유화학 | |
대유플러스
24.1.30 상한가/ 회생계획 인가전 M&A 추진 및 매각주간사 선정
23.12.21 상한가/위니아, 매각절차 돌입 소식/ 대유위니아 그룹주 상승 23.9.27 대유플러스 회생신청 신주인수권부사채 BW 풋옵션 (조기상환청구)에 대한 원금을 마련하지 못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함/ 거래정지 / 관계사모두 폭락 대유에이피 638 대유에이텍 802 대유플러스 963 위니아 725 위니아에이드 936 |
000300 | 코스피 | - | 1,984 | 0 | 0% | 0 | 0 | 1984 241 |
723.2% | 0.0% | 1,629 | 0.27 | 7,249 | 3.69 | 위니아/대유에이피/대유 러스등 탄소나노튜브(CNT) 자동차부품 전기차 전기차(충전소/충전기) 콜드체인(저온유통) 비철금속 | |
상보 | 027580 | 코스닥 | - | 936 | 0 | 0% | 177,964 | 164,902,162 | 1648 908 |
3.1% | -43.2% | 554 | -5.11 | -183 | 0.96 | 그래핀 북한 광물자원개발 초전도체 탄소나노튜브(CNT) 폴더블폰 김포시 | |
LG화학 | 051910 | 코스피 | 하락 | 273,000 | -500 | -0.18% | 178,207 | 48,177,387,500 | 368500 181500 |
50.4% | -25.9% | 192,717 | -30.93 | -8,825 | 0.64 | 2차전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고령화사회 리튬 아이폰 탄소나노튜브(CNT) 전기차 폴더블폰 석유화학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니켈 비만치료제 2차전지(소재/부품) | |
제이오
신생/2차전지
|
418550 | 코스닥 | 하락 | 8,440 | -90 | -1.06% | 34,318 | 290,099,430 | 22250 8110 |
4.1% | -62.1% | 2,702 | -30.25 | -279 | 1.51 | 2차전지 탄소나노튜브(CNT) 2023 상반기 상장 실리콘 음극재 | |
오픈베이스
오픈베이스 1001
데이타솔루션 1219 |
049480 | 코스닥 | 하락 | 2,640 | -35 | -1.31% | 138,706 | 365,997,329 | 3480 2180 |
21.1% | -24.1% | 830 | 10.95 | 241 | 0.94 | 정치-안철수 오픈베이스/데이타솔루션 네트워크통합 NI 지능형로봇-인공지능 AI 보안주 정보 사물인터넷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탄소나노튜브(CNT) 4차산업 수혜주 |
* 테마 소개
25.7.18
LG화학, 금호석유화학, 상보, 오픈베이스, 제이오,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는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단위의 매우 미세한 탄소 구조물로, 강철보다 강하면서도 무게는 훨씬 가볍고, 구리보다 전도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미래 첨단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2차전지 전도재, 반도체 인터커넥터, 전기차 부품, 복합소재, 디스플레이 소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CNT 관련 기술과 생산능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탄소나노튜브(CNT) 테마 개요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Single-walled CNT) 또는 다중벽(Multi-walled CNT) 구조로 구분되며, 전기적 특성, 기계적 강도, 열전도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차세대 소재로 연구 및 산업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수요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차 및 ESS용 리튬이온배터리 전도재
- 5G 통신 및 반도체용 고성능 소재
- 복합소재 및 경량화 부품
- 방열소재 및 터치패널용 투명전극
- 센서 및 고분자 필름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