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종목명 △ ▽ | 종목코드 | 분류 | 상태 | 현재가격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 | 52주 최고/최저 | 52주 상승률 | 52주 하락률 | 시가총액(억) | PER | EPS | PBR | 테마 |
---|---|---|---|---|---|---|---|---|---|---|---|---|---|---|---|---|---|
종근당
종근당바이오 1380
경보제약 1595 종근당홀딩스 2755 종근당 10004 |
185750 | 코스피 | 상승 | 83,500 | 1600 | 1.95% | 55,914 | 4,662,600,900 | 130200 70900 |
17.8% | -35.9% | 11,525 | 10.57 | 7,902 | 1.2 | 제약업체 치매 종근당/경보제약/종근당바이오등 코로나 진단키트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비만치료제 | |
한미약품
제이브이엠 2298
한미사이언스 25,674 한미약품 32,662 |
128940 | 코스피 | 상승 | 290,000 | 5000 | 1.75% | 20,771 | 6,086,783,000 | 375000 214500 |
35.2% | -22.7% | 37,152 | 30.62 | 9,470 | 3.29 | 제약업체 한미약품/제이브엠/한미사이언스 mRNA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겨울 폐암 당뇨 비만 비만치료제 | |
녹십자
녹십자엠에스 977
녹십자웰빙 1172 유비케어 2954 녹십자홀딩스 6899 녹십자 13,358 |
006280 | 코스피 | 상승 | 126,200 | 1800 | 1.45% | 4,309 | 545,040,200 | 181800 110100 |
14.6% | -30.6% | 14,748 | -56.11 | -2,249 | 1.14 | 제약업체 녹십자그룹/유비케어/뷰노등 mRNA 유전자 치료 분석 제대혈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코로나 모더나 남북경협 겨울 | |
셀트리온제약
2024.1.2 상한가/ 제약 바이오상승/ 셀트리온 셀트리온 헬스케어 합병 완료 소식
셀트리온제약 30,997 셀트리온헬스케어 98,591 셀트리온 21조8833 |
068760 | 코스닥 | 상승 | 47,300 | 650 | 1.39% | 22,710 | 1,073,423,000 | 103000 44500 |
6.3% | -54.1% | 20,660 | 94.04 | 503 | 4.94 | 제약업체 셀트리온그룹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비만치료제 |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췌장암진단키트개발 2015.7월 설립/ 2021/2월5일 상장 의학및 약한 연구개발업 |
950210 | 코스피 | 상승 | 14,070 | 170 | 1.22% | 53,703 | 759,596,675 | 20900 7610 |
84.9% | -32.7% | 8,456 | -25.68 | -548 | 1.93 | 정치-한동훈 코로나 스푸트니크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캔서문샷 | |
보령
구 보령제약
|
003850 | 코스피 | 상승 | 8,620 | 70 | 0.82% | 276,512 | 2,425,631,080 | 12870 7680 |
12.2% | -33.0% | 7,481 | 8.8 | 980 | 0.92 | 제약업체 치매 탈모치료 황사 미세먼지 코로나 스푸트니크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LG화학 | 051910 | 코스피 | 상승 | 190,200 | 500 | 0.26% | 83,764 | 15,967,398,550 | 406500 189000 |
0.6% | -53.2% | 134,267 | -21.55 | -8,825 | 0.45 | 2차전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고령화사회 리튬 아이폰 탄소나노튜브 CNT 전기차 폴더블폰 석유화학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니켈 비만치료제 2차전지 소재부품 | |
파멥신
24.1.17 상한가/ 타이어뱅크 경영 참여 기대감 등에 상한가
23.12.26 상한가 /연상 23.12.22 상한가/ 타이어뱅크로 최대주주변경 예정 모멘텀 지속 23.12.19 상한가/ 점상 / 타이어뱅크로 최대주주 변경예정 소식 23.12.7 상한가 / 제약 바이오 관련주 상승/ 황반변성 신약 모멘텀 지속 23.12.6 상한가/ 황반변성 신약 후보 물질 국책과제 선정 |
208340 | 코스닥 | - | 2,915 | 0 | 0% | 0 | 0 | 2915 2915 |
0.0% | 0.0% | 2,338 | -31.34 | -93 | 4.89 | 면역항암치료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30,997
셀트리온헬스케어 98,591 셀트리온 21조8833 |
091990 | 코스닥 | - | 0 | 0 | 0% | 0 | 0 | 0 0 |
0.0% | 0.0% | 0 | 0 | 0 | 0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셀트리온그룹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알테오젠 | 196170 | 코스닥 | 하락 | 323,000 | -500 | -0.15% | 226,294 | 73,118,495,500 | 459500 171200 |
88.7% | -29.7% | 172,220 | 275.6 | 1,172 | 62.63 |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선바이오 | 067370 | 코스닥 | 하락 | 7,530 | -30 | -0.4% | 4,955 | 37,236,190 | 10170 5580 |
35.0% | -26.0% | 927 | -941.25 | -8 | 3.39 | 2022 하반기 상장 바이오 종목 중 흑자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30,997
셀트리온헬스케어 98,591 셀트리온 21조8833 |
068270 | 코스피 | 하락 | 152,700 | -800 | -0.52% | 398,151 | 60,709,123,500 | 211000 151200 |
1.0% | -27.6% | 340,544 | 82.23 | 1,857 | 1.78 | 셀트리온그룹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폐암 | |
팬젠 | 222110 | 코스닥 | 하락 | 5,610 | -50 | -0.88% | 4,303 | 24,348,400 | 7770 3750 |
49.6% | -27.8% | 724 | 69.26 | 81 | 2.91 |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동아에스티
동아에스티 4855
동아쏘시오홀딩스 5797 |
170900 | 코스피 | 하락 | 47,000 | -500 | -1.05% | 11,847 | 557,991,450 | 80700 40900 |
14.9% | -41.8% | 4,396 | -358.78 | -131 | 0.64 | 치매 동아에스티/동아쏘시오홀딩스 면역항암치료 슈퍼박테리아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비만치료제 |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 334970 | 코스닥 | 하락 | 3,955 | -50 | -1.25% | 104,091 | 410,926,859 | 7830 3625 |
9.1% | -49.5% | 3,062 | -8.24 | -480 | 3.39 | 정치-한동훈 코로나 스푸트니크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대웅제약
한올바이오파마 8594
대웅 9419 대웅제약 12,826 |
069620 | 코스피 | 하락 | 141,000 | -2000 | -1.4% | 9,575 | 1,361,718,050 | 164400 100100 |
40.9% | -14.2% | 16,337 | 66.04 | 2,135 | 2.05 | 제약업체 치매 대웅/ 한올바이오파마/대웅제약 보톡스(보톡스리눔톡신) 탈모치료 코로나 진단키트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미용기기 마이코플라스마 비만치료제 | |
한올바이오파마
23.9.27 상한가/ 점상 /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 자가면역치료제 항체 신약 임상 1상 초기 데이터 발표
한올바이오파마 8594 대웅 9419 대웅제약 12,826 |
009420 | 코스피 | 하락 | 25,300 | -550 | -2.13% | 127,234 | 3,236,754,075 | 52000 24200 |
4.5% | -51.4% | 13,217 | -722.86 | -35 | 7.3 | 대웅/ 한올바이오파마/대웅제약 바이오 종목 중 흑자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면역항암치료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이수앱지스
이수앱지스 2011
이수페타시스 5275 이수화학 9073 |
086890 | 코스닥 | 하락 | 5,040 | -140 | -2.7% | 93,798 | 478,937,750 | 8000 3945 |
27.8% | -37.0% | 1,862 | 12.29 | 410 | 1.79 | 치매 이수앱지스/이수화학/이수페타시스등 면역항암치료 코로나 스푸트니크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에이프로젠
23.8.9 상한가 / 제약/바이오/ 혈액무독성 대식세포 면역항암 이중항체 개발 뉴스 / 에이프로젠 관련3사 모두 상한
에이프로젠 H&G 427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120 에이프로젠 3863 |
007460 | 코스피 | 하락 | 648 | -20 | -2.99% | 1,564,982 | 1,016,975,726 | 1794 634 |
2.2% | -63.9% | 2,021 | -3.39 | -191 | 0.77 | 에이프로젠 관련주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원자력발전 | |
바이넥스
광동제약 2894
바이넥스 3036 |
053030 | 코스닥 | 하락 | 18,350 | -580 | -3.06% | 952,815 | 17,850,800,155 | 27300 12180 |
50.7% | -32.8% | 5,998 | -17.1 | -1,073 | 3.14 | 광동제약/바이넥스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3.8.9 상한가 / 제약/바이오/ 혈액무독성 대식세포 면역항암 이중항체 개발 뉴스 / 에이프로젠 관련3사 모두 상한
에이프로젠 H&G 427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120 에이프로젠 3863 |
003060 | 코스피 | 하락 | 643 | -23 | -3.45% | 631,570 | 407,100,429 | 1780 600 |
7.2% | -63.9% | 1,276 | -0.79 | -810 | 0.33 | 제약업체 치매 에이프로젠 관련주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신종플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 |
삼성바이오로직스 | 207940 | 코스피 | 하락 | 1,016,000 | -64000 | -5.93% | 108,587 | 112,640,760,000 | 1209000 721000 |
40.9% | -16.0% | 723,128 | 66.75 | 15,221 | 6.63 | 제약업체 바이오 종목 중 흑자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코로나 모더나 |
* 테마 소개
25.7.2
LG화학, 녹십자, 대웅제약, 동아에스티, 바이넥스, 보령,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천당제약, 선바이오,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알테오젠, 에이프로젠,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이수앱지스, 종근당, 팬젠,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테마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된 이후 이를 복제하여 개발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업군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화학 합성의약품 복제약(제네릭)과는 달리, 바이오시밀러는 살아 있는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기반의 약물이기 때문에, 완벽히 동일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높은 유사성(high similarity)’을 입증하는 형태로 개발되며, 규제 기관의 까다로운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 분야는 고도의 바이오 기술력과 생산설비, 품질관리 능력, 글로벌 임상 및 허가 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고 수익성이 큰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테마의 특징
- 오리지널 특허 만료의 기회 요인: 대표적인 블록버스터급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예: 허셉틴, 레미케이드, 엔브렐 등)의 특허가 순차적으로 만료됨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 높은 진입장벽: 일반적인 제네릭과 달리 개발 기간이 7~8년, 개발 비용은 수천억 원에 달할 정도로 고비용/고난도 산업입니다.
- 글로벌 시장 확대: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의 규제기관이 바이오시밀러를 승인하면서, 주요 기업들이 수출을 통해 큰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