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관심 종목명 종목코드 분류 상태 현재가격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52주 최고/최저 52주 상승률 52주 하락률 시가총액(억) PER EPS PBR 테마
한국선재
025550 코스닥 상승 3,290 55 1.7% 81,524 269,020,735 6150
2720
21.0% -46.5% 839 -62.08 -53 0.63 사빅 관련주 정치-유승민 피팅(관이음쇠)/밸브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정치-김문수 정치-홍준표 한국선재/한선엔지니어링
LS
006260 코스피 상승 187,600 2200 1.19% 105,255 19,600,051,250 220000
84500
122.0% -14.7% 60,407 25.45 7,371 1.29 풍력에너지 전선 지주사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무선충전기술 변압기 전력설비
동아지질
028100 코스피 상승 15,350 110 0.72% 3,439 52,768,280 17700
11880
29.2% -13.3% 2,055 18.79 817 0.89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재난 안전 지진 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우원개발
046940 코스닥 상승 3,205 5 0.16% 25,878 83,242,899 3995
2050
56.3% -19.8% 579 78.17 41 0.56 철도 정치-이낙연 건설 중소형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4대강 복원 그린벨트 해제 정치-김문수
LS마린솔루션
구 KT서브마린

KTis  1361
KT서브마린 1616
KTcs  1914
케이티알파 3260
KT  77,420
KT&G  117,660
060370 코스닥 - 24,200 0 0% 43,857 1,066,180,300 36500
11300
114.2% -33.7% 7,906 56.41 429 4.09 풍력에너지 KTis /KT&G/KT/케이티알파등 재난 안전 지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동해 석유 가스
특수건설
026150 코스닥 하락 6,960 -20 -0.29% 13,960 97,426,250 8560
5250
32.6% -18.7% 1,221 26.17 266 1.13 건설 중소형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4대강 복원
세명전기
017510 코스닥 하락 12,230 -50 -0.41% 787,842 9,813,890,680 12820
3800
221.8% -4.6% 1,865 39.84 307 2.37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전력설비 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LA산불화재 산불
세명전기
017510 코스닥 하락 12,230 -50 -0.41% 787,842 9,813,890,680 12820
3800
221.8% -4.6% 1,865 39.84 307 2.37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전력설비 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LA산불화재 산불
부산산업
레미콘 제조 판매
자회사 태명실업 / 국내 철도 침목 시장점유율 1위
011390 코스피 하락 96,800 -2100 -2.12% 3,644 356,704,600 124700
47600
103.4% -22.4% 1,022 -37.32 -2,594 0.78 시멘트/레미콘 철도 해저터널(지하도로 지하화)

* 테마 소개

25.7.31

 

LS, LS마린솔루션, 동아지질, 부산산업, 세명전기, 우원개발, 특수건설, 티씨머티리얼즈, 한국선재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테마는 국내외 대형 인프라 사업, 특히 국가 간 혹은 도서지역 연결을 위한 해저터널 건설, 그리고 도시 내 교통난 해소를 위한 지하화 및 지하도로 건설과 연관된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테마입니다. 이러한 사업은 일반적으로 막대한 예산과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정부의 장기 교통 인프라 계획이나 도시계획 정책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테마 개요

해저터널 및 도심지 지하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추진됩니다:

  • 국가 간 연결 및 물류 혁신: 대표적으로 한일 해저터널, 제주-완도 해저터널 등이 논의되어 왔습니다. 이들은 실현 가능성 논란이 있음에도 정치·경제 이슈가 생길 때마다 재조명되곤 합니다.
  • 도심 교통 혼잡 해결 및 환경 문제 개선: 서울 강남권이나 대도시에서 추진 중인 지하화 사업,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및 지하고속도로 사업 등은 도심의 효율성과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꼽힙니다.
  • 노후 도로 및 인프라 교체 수요: 지하화 사업은 도시 미관 개선뿐 아니라 안전성 확보 목적도 함께 가지며, 이에 따라 기초공사, 구조물 설계, 특수강재 및 전력인프라 시공 기업들이 주목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