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종목명 △ ▽ | 종목코드 | 분류 | 상태 | 현재가격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 | 52주 최고/최저 | 52주 상승률 | 52주 하락률 | 시가총액(억) | PER | EPS | PBR | 테마 |
---|---|---|---|---|---|---|---|---|---|---|---|---|---|---|---|---|---|
씨티케이 | 260930 | 코스닥 | 상승 | 7,100 | 570 | 8.73% | 22,577,406 | 168,356,900,830 | 8050 3600 |
97.2% | -11.8% | 1,373 | -42.01 | -169 | 0.83 | 마켓컬리(Kurly) 화장품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디아이씨 | 092200 | 코스피 | 상승 | 4,475 | 5 | 0.11% | 170,234 | 767,735,084 | 6260 3165 |
41.4% | -28.5% | 1,740 | 12.23 | 366 | 1.13 | 테슬라 쿠팡 테마 자동차부품 전기차 로봇-산업용 협동로봇 2차전지(나트륨이온)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진영
23.8.11 상한가 / 반도체 대전방지용 필름 및 2차전지 방염 필름 상용화 기대감
23.8.4 상한가 23상/ 인테리어 |
285800 | 코스닥 | 하락 | 2,290 | -20 | -0.87% | 107,151 | 245,126,710 | 3830 1873 |
22.3% | -40.2% | 400 | -12.51 | -183 | 1.06 | 리모델링/인테리어 2023 상반기 상장 김포시 정치-김문수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코오롱ENP
구 코오롱플라스틱
|
138490 | 코스피 | 하락 | 6,270 | -70 | -1.1% | 32,298 | 204,202,955 | 8700 4775 |
31.3% | -27.9% | 2,383 | 6.03 | 1,039 | 0.74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브롬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에코플라스틱
2023.10.27 상한가/ 자동차부품 전기차 테마 상승/ 하반기 역대 최대 실적 기대감
서진오토모티브 669 에코플라스틱 1454 |
038110 | 코스닥 | 하락 | 2,945 | -35 | -1.17% | 2,971,482 | 8,981,468,041 | 4715 2120 |
38.9% | -37.5% | 1,212 | 8.61 | 342 | 0.53 | 수소트램 서진오토모티브/에코플라스틱 자동차부품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세림B&G | 340440 | 코스닥 | 하락 | 1,836 | -48 | -2.55% | 3,109,531 | 5,895,528,681 | 2130 1080 |
70.0% | -13.8% | 521 | 22.39 | 82 | 1.53 |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한국팩키지 | 037230 | 코스닥 | 하락 | 2,230 | -65 | -2.83% | 807,969 | 1,872,297,421 | 2690 1537 |
45.1% | -17.1% | 665 | 53.1 | 42 | 0.62 |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삼륭물산 | 014970 | 코스닥 | 하락 | 10,930 | -440 | -3.87% | 3,020,128 | 34,318,342,720 | 13590 2520 |
333.7% | -19.6% | 1,653 | -27.81 | -393 | 3.1 | 일 수출규제 국산화 DMZ 평화공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
* 테마 소개
25.7.3
디아이씨, 삼륭물산, 세림B&G, 씨티케이, 에코플라스틱, 진영, 코오롱ENP, 한국팩키지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테마는 기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특히 해양오염과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대응으로 형성된 산업 흐름에 기반한 주식시장 테마입니다.
이 테마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를 개발하거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제품·포장재를 제조하거나,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제품 생산에 관련된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특히 ESG 경영 강화, 전 세계적인 규제 강화(예: 유럽연합의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소비자의 환경 인식 증가 등의 요인이 시장 내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관련 종목들은 테마주로 주목받아 왔습니다.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테마 개요
이 테마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친환경 포장재 제조업체 – 종이·천연소재 등 비플라스틱 대체재를 활용한 포장재를 제조합니다.
- 생분해성 소재 기술 보유 업체 – PLA, PBAT 등의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술을 보유하거나, 해당 소재를 활용해 제품을 제조합니다.
- 친환경 부품/완제품 생산업체 – 전기차, 가전제품 등에 기존 플라스틱 대신 친환경·재활용 소재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