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관심 종목명 종목코드 분류 상태 현재가격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52주 최고/최저 52주 상승률 52주 하락률 시가총액(억) PER EPS PBR 테마
우리금융지주
316140 코스피 상승 25,000 200 0.81% 524,101 13,145,653,025 27100
14810
68.8% -7.8% 185,648 6.03 4,144 0.54 은행 지주사
DGB금융지주
139130 코스피 상승 13,980 40 0.29% 141,028 1,979,141,955 15600
7990
75.0% -10.4% 22,655 11.01 1,270 0.39 은행 지주사
BNK금융지주
138930 코스피 상승 14,380 30 0.21% 150,274 2,168,561,795 16050
8920
61.2% -10.4% 45,784 6.35 2,266 0.43 은행 지주사
신한지주
055550 코스피 상승 67,100 100 0.15% 490,763 33,004,648,000 73500
42500
57.9% -8.7% 325,767 7.68 8,740 0.6 은행 지주사 STO(증권형 토큰 발행)
하나금융지주
086790 코스피 - 82,900 0 0% 313,072 26,135,500,250 97100
51500
61.0% -14.6% 236,036 6.44 12,872 0.55 은행 지주사 토스(toss) STO(증권형 토큰 발행)
기업은행
024110 코스피 하락 19,230 -40 -0.21% 187,474 3,623,176,840 22400
13330
44.3% -14.2% 153,345 5.8 3,316 0.45 은행
카카오뱅크
323410 코스피 하락 25,100 -100 -0.4% 169,588 4,282,789,125 38750
19450
29.1% -35.2% 119,725 27.19 923 1.83 카카오 핀테크 은행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 관련주
KB금융
105560 코스피 하락 108,800 -900 -0.82% 283,006 31,016,812,800 126600
69300
57.0% -14.1% 415,031 8.56 12,705 0.72 은행 인터넷은행 지주사 카카오뱅크 관련주 STO(증권형 토큰 발행)
제주은행
24.1.31 상한가/ 은행테마 상승, 금융위, 지방은행 전환시 인가방식 및 절차 발표 속 관련주로 부각
006220 코스피 하락 15,140 -160 -1.05% 272,869 4,151,698,520 19350
6750
124.3% -21.8% 5,723 46.73 324 0.82 은행 품절주
JB금융지주
175330 코스피 하락 22,500 -500 -2.17% 113,221 2,582,299,550 26250
14050
60.1% -14.3% 43,016 6.49 3,469 0.78 은행 지주사 정치-한덕수

* 테마 소개

25.7.10

BNK금융지주, iM금융지주, JB금융지주, KB금융, 기업은행,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제주은행, 카카오뱅크, 하나금융지주



은행 테마주는 말 그대로 국내외 은행업에 직접적으로 종사하거나, 은행 지주회사 형태로 금융산업의 중심에서 운영되는 기업들을 지칭합니다. 이들 기업은 예금, 대출, 외환, 자산관리 등 전통적인 은행 업무를 수행하면서, 최근에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모바일뱅킹, 핀테크 서비스, 글로벌 영업 확장 등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은행 테마란 무엇인가?

은행 테마는 한국 금융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경기 방어형 산업군 중 하나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닙니다.

  • 금리 민감형 테마: 기준금리가 상승할 경우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되며 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 배당 투자 선호 업종: 은행주는 일반적으로 배당성향이 높고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보여주므로 배당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 경기 회복기의 강세 업종: 경기가 회복되면 대출 수요가 늘고, 대손충당금 부담이 줄어들면서 수익성이 높아집니다.
  • ESG 및 디지털 금융 흐름의 중심: 은행들은 최근 ESG경영, 디지털 플랫폼 전환 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