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관심 종목명 종목코드 분류 상태 현재가격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52주 최고/최저 52주 상승률 52주 하락률 시가총액(억) PER EPS PBR 테마
사조산업
사조오양 756
사조씨푸드 895
사조동아원 1321
사조산업 2128
사조대림 2254
007160 코스피 상승 45,300 2500 5.84% 32,388 1,460,427,625 79000
31850
42.2% -42.7% 2,265 48.92 926 0.41 정치-이낙연 사조 그룹관련주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그린벨트 해제
신라교역
004970 코스피 상승 9,130 40 0.44% 891 8,117,650 12490
8200
11.3% -26.9% 1,461 3.69 2,475 0.24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사조씨푸드
사조오양 756
사조씨푸드 895
사조동아원 1321
사조산업 2128
사조대림 2254
014710 코스피 상승 5,620 20 0.36% 93,580 527,504,805 8950
3990
40.9% -37.2% 968 8.19 686 0.41 사조 그룹관련주 수산 후쿠시마 오염수 그린벨트 해제 정치-김문수
사조오양
사조오양 756
사조씨푸드 895
사조동아원 1321
사조산업 2128
사조대림 2254
006090 코스피 상승 8,620 20 0.23% 7,413 63,471,560 13590
7610
13.3% -36.6% 812 6.42 1,342 0.35 사조 그룹관련주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정치-김문수
CJ씨푸드
011150 코스피 하락 3,015 -5 -0.17% 97,519 293,515,087 4670
2530
19.2% -35.4% 1,083 21.69 139 1.3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후쿠시마 오염수
동원산업
006040 코스피 하락 49,400 -250 -0.5% 27,169 1,343,407,900 55400
29150
69.5% -10.8% 19,574 28.52 1,732 0.7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지주사 후쿠시마 오염수
한성기업
003680 코스피 하락 5,080 -40 -0.78% 27,149 137,553,390 8170
4500
12.9% -37.8% 315 11.12 457 0.43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정치-조국
동원수산
030720 코스피 하락 6,210 -60 -0.96% 17,634 109,369,430 6970
4105
51.3% -10.9% 289 5.66 1,098 0.59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사조대림
사조오양 756
사조씨푸드 895
사조동아원 1321
사조산업 2128
사조대림 2254
003960 코스피 하락 44,400 -450 -1% 16,854 749,855,250 92000
34150
30.0% -51.7% 4,069 4.43 10,013 0.57 사조 그룹관련주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수산
신라에스지
025870 코스닥 하락 5,970 -80 -1.32% 8,678 51,935,970 9140
5630
6.0% -34.7% 239 199 30 1.38 구제역/광우병 수혜주 돼지열병 ASF 수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 테마 소개

25.6.30

CJ씨푸드, 동원산업, 동원수산, 사조대림, 사조산업, 사조씨푸드, 사조오양, 신라교역, 신라에스지, 한성기업

 

수산 테마는 바다에서 나는 자원을 중심으로 한 어업, 수산물 가공, 유통, 수출입에 관련된 기업들을 묶은 주식 시장의 테마입니다. 이 테마는 계절적 수요, 자연재해, 환율, 원양어업 허가 정책, 해양 생태계 변화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기 때문에 시황에 민감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어획량 증가 또는 어가 상승, 정부의 수산업 지원 정책 발표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테마 전반의 관심을 끌곤 합니다.

 

수산 테마의 구성 요소

수산 테마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분야로 나뉘게 됩니다.

분야설명
원양어업 및 연근해 어업직접 어획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군으로, 어획량과 어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수산물 가공 및 유통잡아온 수산물을 가공, 유통, 수출하는 기업군으로, 소비 트렌드 및 식품 안정성 이슈에 민감합니다.
종합 식품기업의 수산 부문주요 사업은 아니지만 수산 가공 또는 유통을 함께 하는 종합식품 대기업의 일부 부문도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