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테마 개요와 관련 종목들

    작은연못 12 회 2025-08-07

  •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Asphalt Concrete) 테마는 도로포장 공사, 인프라 확장, 건설 경기 활성화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종목군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정부의 도로 보수 예산 확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 노후 도로 인프라 개선 정책,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도로정비 사업이 가속화될 경우 수혜를 입는 기업들이 이 테마에 편입됩니다.

     

    1. 아스콘(아스팔트콘크리트) 테마 개요

    아스콘은 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해 만든 재료로, 주로 도로포장, 주차장, 산업단지 바닥, 활주로 등에 사용됩니다. 아스콘 수요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변동됩니다.

    • 도로 및 인프라 건설 확대: 국도, 고속도로, 지방도 보수 및 신설
    • 노후 인프라 재건축 투자 증가: 특히 30년 이상 된 도로포장 대상
    • 건설 경기 회복세: 민간 개발 및 신도시 조성
    • 지방정부 예산 집행: 특히 하반기 보수 공사 발주 시즌

     

    2. 관련 종목 분석

    아스콘 테마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분류로 종목군이 나뉘게 됩니다.

    (1) 건설 및 중장비 기계 업체

    종목명주요 사업 및 테마 연관성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현대에버다임도로포장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 (굴착기, 휠로더 등) 제조
    디와이파워, 서연탑메탈, 혜인, 퍼스텍유압 부품, 건설장비 유통, 중장비 정비 등 연관
    TYM, 대동, 대동기어, 대동금속농기계 및 산업용 기계 → 아스콘 운반 및 토목 기초 공정 활용
    프리엠스, 현대코퍼레이션중장비 부품 및 수출입 기반 EPC 사업

    (2) 도로포장 및 아스콘 생산/시공 기업

    종목명주요 사업 및 테마 연관성
    SG, 에스와이, 에스와이스틸텍건설자재 및 구조물 제작, 아스팔트 배합 기초자재 생산
    스페코, 수산세보틱스, 디와이디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제조, 플랜트 설비 관련
    다스코, 대모, 포스코인터내셔널도로 방호벽, 아스팔트 원재료/설비 유통

    (3) 설계·엔지니어링·IT 솔루션 등 인프라 연계군

    종목명주요 사업 및 테마 연관성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희림도로 설계, 토목 설계, 도시기반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이노인스트루먼트, 아이톡시, 폴라리스AI스마트 인프라 구축, 건설관리 시스템 도입 확대 수혜
    오늘이엔엠, 에쓰씨엔지니어링산업설비 및 엔지니어링 기반 공정 자동화 부문
    서암기계공업, 대양전기공업특수 기계 및 산업용 전장 부품, 도로 공정 자동화와 연관

     

    3. 최근 시장 흐름

    • 정부의 2025년 도로안전 강화 로드맵 발표 기대감: 향후 노후 국도 재포장, 저탄소 친환경 아스콘 사용 확대 등과 관련한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중장비 및 도로기계 부품 업체의 수익성 개선 기대: 부품 수급 안정화 및 공공 발주 증가에 따른 실적 회복 가능성.
    • 디지털 건설 및 스마트 시공 확대 추세: AI 기반 건설관리 솔루션 기업이나 스마트플랜트 기업들 역시 아스콘 테마 확장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테마 내 주목 종목 요약

    구분종목명투자 포인트
    대장주HD현대건설기계, 디와이파워중장비 시장 점유율 및 실적 안정성
    수혜주스페코, SG, 에스와이아스콘 원재료 또는 믹싱 설비 공급
    설계·기획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희림국내외 인프라 설계 EPC 수주 확대
    AI/스마트건설폴라리스AI, 이노인스트루먼트스마트 인프라 연계 기술 부각 가능

     

    아스콘 테마는 전통적인 건설 인프라 테마에 속하지만, 스마트 건설, 친환경 아스콘, 디지털 설계 기반 공사 등과 융합되며 점점 더 다층적인 수혜 영역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반기 정부 예산 집행이 본격화되면 도로 포장 관련 기업들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테마에 속한 기업들 중 수주잔고 증가, 영업이익률 개선, 재무 안정성 확보 여부에 따라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