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테마의 상승기 흐름은 글로벌 식량 수급 불안, 비료 가격 급등, 스마트농업 도입 확대 등의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주목받아 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장에서 주도적으로 움직인 종목들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테마의 주도 포인트(비료 → 농기계 → 스마트팜 등)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의 교체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다음은 최근 몇 년간 농업 테마 상승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흐름입니다.
1. 2021년 하반기 ~ 2022년 상반기
이슈: 요소수 대란, 글로벌 곡물가격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핵심 키워드: 비료·농약·식량자급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남해화학 | 요소수 파동의 중심. 요소 수출 제한 이슈로 인해 대표 수혜주로 급등 |
주도주 | 조비, 효성오앤비, 경농 | 비료 관련주들 강세. 유안비료·복합비료 공급 업체 중심 |
특징 | 이 시기에는 "비료 공급 부족" 이슈가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비료주가 테마를 주도했으며, 요소수 부족 사태가 트리거가 되었음 | |
2. 2023년 상반기
이슈: 국제 곡물가격 급등(옥수수·밀), 라니냐 여파, 곡물 유통망 차질
핵심 키워드: 식량안보, 곡물 수입 의존도 경계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효성오앤비 | 친환경 비료 수요 증가와 유기농 확산 흐름에 부합 |
주도주 | 누보, 경농, 조비 | 비료·농약 종목들이 다시 주도 |
특징 | 친환경 농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이슈가 부각되며 유기질 비료 중심 종목들이 상승을 주도 | |
3. 2024년 상반기
이슈: 정부의 스마트농업 지원 정책 확대, 농기계 자동화 기술 개발
핵심 키워드: 스마트팜, 농기계 수출, 기술농업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TYM | 트랙터 수출 증가와 북미 시장 성장 기대감, 스마트 트랙터 기술 부각 |
주도주 | 대동, 아세아텍 | 농기계 관련주 동반 급등, 자율주행 기술 테마와 연결 |
특징 | 단순한 식량 위기 대응이 아닌 스마트농업 기술 산업화가 투자 포인트로 부상함 | |
4. 2025년 상반기 (최근)
이슈: 스마트팜 예산 대폭 확대, 중동 등 수출 시장 진출 확대, 종자 국산화
핵심 키워드: 스마트팜 수출, 종자 주권, 온실 설비
구분 | 종목 | 설명 |
대장주 | 그린플러스 | 스마트팜 첨단 온실 수출, 중동·동남아 진출 가시화 |
주도주 | 농우바이오, 아시아종묘 | 종자 국산화 및 수출 확대 기대감 부각 |
특징 | 첨단 농업시설 및 고부가가치 종자 산업에 대한 관심 확대. 비료·농약 종목보다는 기술 집약도가 높은 기업들이 중심으로 전환됨 | |
요약 정리: 테마별 대장주 흐름 변화
시기 | 테마 주도 이슈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
2021~22 | 요소수 대란, 곡물가 상승 | 남해화학 | 조비, 효성오앤비 |
2023 | 유기농 확대, ESG 농업 | 효성오앤비 | 누보, 경농 |
2024 | 농기계 수출, 스마트 트랙터 | TYM | 대동, 아세아텍 |
2025 | 스마트팜 온실 수출, 종자 국산화 | 그린플러스 | 농우바이오, 아시아종묘 |
이와 같이 농업 테마는 단일한 이슈보다 정책, 국제 곡물 시세, 기술 진화, 기후 이슈 등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의 성격이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트렌드보다는 중기적인 이슈 방향성과 정책 타이밍을 고려한 접근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