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레미콘 테마는 경기 민감형 순환 테마로서,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부동산 경기 회복,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라 반복적인 상승 국면을 형성해왔습니다. 이 테마의 상승 시기에는 시멘트 생산업체가 초기 주도하고, 이후에는 레미콘 유통업체 및 지역 건자재 업체로 확산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아래에서는 최근 주요 상승 사이클을 중심으로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를 정리합니다.
1. 2021년 하반기 ~ 2022년 상반기: 시멘트 원가 상승 + 공급부족 이슈
배경
- 석탄, 유연탄 가격 급등으로 인한 시멘트 원가 압박
- 시멘트업계 가격 인상 단행 → 공급 부족 이슈 확산
- 건설수요 회복 기대감과 함께 시멘트 업종 전반 강세
대장주:
- 삼표시멘트: 가격 인상 수혜 기대감과 실적 성장으로 주도
- 성신양회: 구조조정 이후 실적 턴어라운드 → 시멘트 단가 인상에 직접 수혜
주도주 확산:
- 한일현대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중·남부 시멘트 생산업체로 동반 강세
- 유진기업, 쎄니트: 레미콘 단가 인상 기대감에 따라 2차 확산
2. 2023년 하반기: SOC 예산 확대 기대 + 지방 건설경기 부양책
배경
-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계획 발표
- 철도, 고속도로, 재건축·재개발 착공 확대 기대
- 폐기물 재활용 시멘트 기술 도입 등 친환경 테마 결합
대장주:
- 성신양회: ESG 강화와 함께 폐기물 소각과 연계된 친환경 시멘트 이슈로 급등
- 삼표시멘트: 지역 건설 프로젝트 수혜주로 재부각
주도주 확산:
- 부산산업, SG, 강동씨앤엘: 지방 SOC 수혜 기대감 → 레미콘 관련 강세
- 서산: 친환경 시멘트 클링커 생산 부각되며 테마 내 독립적 흐름
3. 2024년 상반기: 레미콘 단가 상승 및 건설 착공량 반등 기조
배경
- 레미콘 단가 상승 발표 (대한건설협회 중심 협상 타결)
- 수도권 정비사업 재개 기대
- 골재 및 시멘트 수급 긴장 지속
대장주:
- 유진기업: 레미콘 대장주로서 수도권 공급 1위 → 단가 인상 수혜
- 쎄니트: 수도권 건자재 공급망 보유, 블록 및 레미콘 매출 증가
주도주 확산:
-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대형 주택공급 정책 기대감
- 모헨즈: 시멘트 운반 물류 특화주로 간접 수혜주 급부상
4. 테마별 주도주 전환 흐름 요약표
시기 | 대장주 | 1차 주도주 | 2차 확산주 | 핵심 모멘텀 |
2021.10~2022.4 | 삼표시멘트 | 성신양회, 한일현대시멘트 | 유진기업, 쎄니트 | 시멘트 단가 인상, 원자재 상승 |
2023.7~2023.12 | 성신양회 | 삼표시멘트, 아세아시멘트 | 부산산업, SG, 서산 | 지방 SOC, ESG 시멘트 |
2024.1~2024.6 | 유진기업 | 쎄니트, 한일시멘트 | 모헨즈, HC홈센타 | 레미콘 단가 상승, 수도권 착공 확대 |
시멘트/레미콘 테마는 초기 상승 시에는 시멘트 생산업체 중심, 이후 레미콘·지역 건자재 유통 업체로 확산되는 흐름을 반복해왔습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레미콘 단가 인상 및 수도권 정비사업 재개 기대가 테마 재부각의 핵심 모멘텀이 될 가능성이 크며,
유진기업, 쎄니트,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등이 재차 주도주로 부각될 여지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