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화나(대마) 테마는 정책 이슈나 제도 완화 기대감, 해외 마리화나 시장 확대, 대마 성분 의약품 연구 개발 이슈, CBD 관련 식약처 언급 등 비정기적이고 모멘텀 중심의 수급 이슈에 따라 급등락하는 특징이 강합니다. 상승 흐름이 몇 차례 반복되었으며, 그 시기마다 대장주와 주도주가 다소 변화해왔습니다.
마리화나(대마) 테마 주요 상승기별 대장주/주도주 변화 분석
상승 시점 | 주요 트리거 | 대장주 | 주도주 | 특징 |
2018년 하반기 |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10월) | 오성첨단소재 | 비엘팜텍, 한국비엔씨 | 캐나다/북미 중심의 글로벌 대마 이슈. 국내에서도 관련주 급등 |
2020년 7~8월 | 美 대선 앞두고 대마 합법화 정책 이슈 부각 | 한국비엔씨 | 씨티씨바이오, 아이큐어 | 한국비엔씨가 대마 기반 항염증 치료제 언급하며 테마 중심 등극 |
2021년 1~3월 | 美 바이든 당선 이후 대마 합법화 공약 주목 | 화일약품 | 우리바이오, 비엘팜텍 | 제약업체들의 대마 성분 연구 기대감 부각, 식약처 CBD 규제 완화 논의 동반 |
2022년 4~5월 | 국내 식약처 ‘CBD 식품 원료 허용 검토’ 언급 | 아이큐어 | 엔에프씨, 애머릿지 | 경피약물전달 기반 업체 부각,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연계 업체 상승 |
2023년 6~7월 | 일본, 태국 등 아시아 국가 대마 관련 규제 완화 | 인벤티지랩 | HLB바이오스텝, 한국비엔씨 | 아시아 시장 개방 수혜 기대감으로 연구개발 중심 종목 급등 |
2024년 2월 | 美 연방정부 대마 규제 조정 움직임 | HLB바이오스텝 | 씨티씨바이오, 비엘팜텍 | 신약 연구개발 테마와 겹쳐져 HLB 계열 급등. 바이오주 중심의 상승 양상 |
상승기별 대장주 변화 특징 요약
- 2018~2020년: 대마 재배 및 추출 관련 기대감 중심으로 오성첨단소재, 비엘팜텍 등 저평가 재료주 중심 테마 형성
- 2021~2022년: 의료용 대마, CBD 활용 식품 및 의약품 개발 기대감 중심. 한국비엔씨, 아이큐어, 화일약품 등 바이오 기업 주도
- 2023~2024년: 플랫폼 기술 기반의 바이오기업(인벤티지랩, HLB바이오스텝)과 글로벌 시장 진출 모멘텀 보유 종목 중심으로 주도권 이동
정리
마리화나 테마는 장기적 수익모델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뉴스와 정책, 글로벌 흐름에 따라 단기 급등세를 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에 따라 매 상승 시기마다 정책 테마 수혜주 → 바이오 R&D 중심주 → 식품/화장품 응용 업체 순으로 주도주의 무게 중심이 바뀌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