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유가증권·코스닥)”에서 사이드카가 발동되는 경우
서킷브레이커와의 차이,
재발동 제한, 장중 시간대 제한 규칙
1) 사이드카의 뜻과 목적
- 선물시장의 급격한 변동이 현물시장(주식)으로 과도하게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프로그램매매 호가의 효력을 잠시(5분)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서킷브레이커처럼 “시장 전체를 멈추는” 장치가 아니라, 프로그램매매만 부분 제한합니다.
2) 발동 요건(모든 케이스)
(A) 코스피(유가증권시장)
- 기준 선물: 거래량이 가장 많은 KOSPI200 선물(통상 근월물).
- 트리거: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이 1분 이상 지속.
- 방향별 조치
- 선물이 급락(−5% 이상) 지속 → 프로그램 ‘매도’ 호가 효력 5분 정지(매도 사이드카)
- 선물이 급등(+5% 이상) 지속 → 프로그램 ‘매수’ 호가 효력 5분 정지(매수 사이드카)
- 현물(개별주식) 거래는 계속되며, 프로그램매매 호가만 멈춥니다.
(B) 코스닥시장
- 기준 선물: KOSDAQ150 선물.
- 트리거(두 가지 동시충족 요건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
- KOSDAQ150 선물 ±6% 이상 변동이 1분 이상 지속 그리고
- KOSDAQ150 지수 자체도 ±3% 이상 변동이 1분 이상 지속
- 급락 조합 충족 → 프로그램 ‘매도’ 호가 5분 정지
- 급등 조합 충족 → 프로그램 ‘매수’ 호가 5분 정지
- 현물 거래는 계속됩니다(프로그램매매만 제한).
3) 발동 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나 (타임라인)
감시·판단 구간
개장 5분 경과 이후부터 사이드카 요건을 계산합니다(개장 직후 과열을 배제).
종가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음(마감 임박 왜곡 방지).
트리거 충족(1분 지속) → 발동 선언
한국거래소가 매수 또는 매도 프로그램매매 호가의 효력을 5분간 정지시킵니다(방향별로 한쪽만 정지).
현물의 일반 주문·체결은 계속 진행됩니다(장 전체 멈춤 아님).
5분 ‘쿨다운’ 구간
정지된 쪽(매수/매도) 프로그램 호가는 접수·적용되지 않음.
이 기간에도 단일가로 전환하지 않고 일반 체결이 진행됩니다(서킷브레이커와 차이).
자동 해제 및 거래 정상화
5분 경과 시 자동 해제되어 프로그램매매 효력이 복원됩니다.
재발동 제한
당일 최대 1회만 발동(한 번 쓰면 그날은 끝). 과거 제도 개편으로 발동 빈도가 크게 줄어든 배경입니다.
4)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관계(혼동 주의)
-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전일 대비 −8%, −15%, −20% 등 큰 폭으로 하락할 때 시장 전체 거래를 중단(1·2단계 20분 정지+10분 단일가, 3단계 조기폐장)하는 훨씬 강한 장치입니다.
- 사이드카는 ‘전(前) 단계’ 성격으로, 프로그램매매만 부분 제한합니다. 큰 폭 하락 시 사이드카 → 서킷브레이커 순서로 연쇄 발동되는 사례가 실제로 존재합니다.
5) 실무적으로 알아둘 세부 규칙(요약)
- 방향 대칭: 급락 땐 매도 사이드카, 급등 땐 매수 사이드카(정지되는 쪽이 다름).
- 장초·장말 제한: 개장 5분 이전 미발동, 장종료 40분 전 이후 미발동.
- 1일 1회 제한: 같은 날 재발동 불가.
- 현물 거래는 계속: 시장 전체 중단은 아님(그건 서킷브레이커).
- 코스닥은 ‘이중 요건’: 선물 ±6% AND 지수 ±3% 동시 충족(1분 지속).
6) 투자자 관점에서의 영향과 체크포인트
체결 전략
사이드카 중엔 해당 방향의 프로그램 수급이 멈추므로 체결 유동성·호가 스프레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 현물 개인·기관의 수동 주문은 계속 들어옵니다.
ETF·인덱스 연동 상품
인덱스 추종 ETF·레버리지/인버스, 인덱스 선물·옵션 포지션은 사이드카→현물 괴리 확대/축소가 단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NAV 괴리·스프레드를 주의하세요. (제도 취지도 이 전이를 완화하려는 데 있습니다.)
연쇄 장치와의 상호작용
VI(변동성완화장치), 랜덤엔드(임의연장), 가격제한폭(±30%) 등 다른 안정화 장치도 동시에 작동 가능—특히 급락장에선 사이드카 → VI/서킷브레이커 순서로 겹치기도 합니다.
발동 빈도·맥락
규정 개정(트리거 상향·1일 1회 제한 등) 이후 발동 빈도는 예전보다 낮아졌지만, 2024-2025년처럼 급변 장세에선 코스피·코스닥에서 매수/매도 사이드카가 실제로 발동했습니다. 뉴스·공시로 즉시 확인.
7) 한눈에 보는 “오늘 장에서 사이드카가 뜨면” 체크리스트
- 어느 시장? 코스피(±5%) vs 코스닥(선물 ±6% & 지수 ±3%).
- 방향? 급락=매도 사이드카, 급등=매수 사이드카.
- 지속 시간? 1분 지속 요건 충족 후 5분 정지.
- 시간대? 개장 5분 이후~장마감 40분 전까지만. 당일 1회.
- 영향? 프로그램 한쪽(매수/매도) 수급 ‘OFF’ → 호가/스프레드 변화 가능, 현물 거래는 계속.
- 연쇄 위험? 지수 급락이 더 커지면 서킷브레이커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음.
기타 고려할 점
- Nextrade(대체거래소)도 KRX와 동일한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프레임워크를 적용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제도 이해는 점점 더 중요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