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MBK 김병주, 컨트롤 바이아웃: 지배구조·포트폴리오·딜 메이킹/지오영·롯데카드·홈플러스로 본 전략과 리스크

    작은연못 10 회 2025-10-02

  • MBK 김병주(김병주·Michael ByungJu Kim) 케이스 정리했습니다.

    1) MBK 파트너스·김병주 개요

    MBK Partners: 2005년 김병주가 설립한 북아시아 바이아웃 PEF. 한국·일본·중국 중심, 서울 본사에 도쿄·홍콩·베이징·상하이 오피스. 펀드 I~V 및 스페셜시츄에이션, AUM 300억달러+(Forbes·KED 기준). 2024~2025년 6호 펀드 2nd close 50억달러로 마케팅 중.

    김병주(1963~): 골드만삭스 M&A → 살로몬 스미스바니 아태 투자은행 COO → Carlyle Asia Partners 사장2005 MBK 창업. 하버드 MBA, 하버퍼드대 영문학.

    최근 ‘굵직한 거래/이슈’:

    • 지오영(Geo-Young) 지분 71.25% 인수(약 1.9~2.0조원)(’24.4).
    • 롯데카드(’19 컨소시엄 인수 1.38조원) 재매각 추진(’24~’25).
    • 홈플러스 법정관리(회생) → 법원, 매각 계획 승인MBK 보통주 2.5조원 소각 발표(’25.6).
    • 두산공작기계(現 DN Solutions) 매각(2.05~2.4조원)(’21 계약, ’22 종결).

     

    2) 지배구조(PEF 관점)와 지배구조도

    2-1. 설명

    • 최상단은 운용사(Management Company/GP). GP가 전략·의사결정·운영·엑싯을 주도. 2022년 Dyal Capital(누버거 버먼 계열)이 운용사 지분 약 13% 취득.
    • 펀드(Blind Fund I~V, Special Situations, VI raising)에 연기금·보험사 등 LP가 출자.
    • 개별 딜은 SPC/HoldCo를 통해 피투자회사(OpCo) 지분을 보유·레버리지 구조화. (법무·딜 공지 다수에 동일 패턴)

    2-2. 지배구조도(표)

    레벨실체권한/역할예시
    Lv1MBK Partners(운용사, GP)                투자전략·운영·엑싯 총괄                     Dyal 13% 마이너리티 투자(’22)
    Lv2펀드 비클LP 자본 모수·투자 실행MBK Fund I~V, Special Situations, VI(모집중)
    Lv3SPC/HoldCo지배·레버리지·합병플랜DMT Holdings(두산공작기계 거래 구조)
    Lv4             OpCo(피투자사)실제 사업 수행홈플러스, 롯데카드, 지오영 등

    포인트:

    GP–Fund–SPC–OpCo 4층 구조로,

    대형 컨트롤 바이아웃카브아웃/재편형 딜을 주로 집행.

     

    3) MBK와 지분 관계로 엮인 주요 회사 맵 (상장/비상장 구분)

    ※ 포트폴리오 전수는 방대해 한국 중심의 핵심 거래(현재·최근·대표 엑싯)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3-1. 현재 보유/최근 종결

    회사상장여부산업/역할MBK 지위(요지)코멘트
    지오영(Geo-Young)                     비상장                      의약품 도매                            71.25% 인수(’24.4)EV 약 2조원, 블랙스톤 첫 코리아 엑싯.
    롯데카드비상장신용카드2019 컨소시엄 79.83% 인수(1.38조) → ’24~’25 매각 재추진                            MBK 약 60%, 우리은행 공동.
    홈플러스비상장대형마트/슈퍼법정관리 후 매각 승인(’25.6)·MBK 보통주 2.5조 소각 계획구조개편·고용유지 목적의 법원 승인.

    3-2. 대표 엑싯/과거 보유

    회사상장여부(당시)산업/역할결과/연도메모
    두산공작기계(現 DN Solutions)비상장공작기계DN그룹(DTR)에 매각(’21~’22, 2.05~2.4조)2016년 1.05조 인수→수익 실현.
    오렌지라이프(舊 ING생명)상장생명보험신한금융에 59.15% 매각(2.3조)(’18 계약, ’19 종결)PEF 보유사 IPO·대형 FI 매각 성공 사례.
    코웨이상장렌탈(정수기)지분 22.17% 1.683조 매각(’18) → 이후 웅진 재인수·넷마블로                               장기 트랙레코드.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공동)                         비상장                                 테마파크                           공동 인수(’09) 후 회수김병주 리더십 하 대표 일본 딜(프로필).
    Godiva APAC비상장소비재아시아·오세아니아 사업 인수(’19)소비재 브랜드 카브아웃 사례.

     

    4) ‘오너일가’와 가족관계·지분구조 (사업 연관성 관점)

    • MBK는 ‘가족지배 그룹’이 아닌 PEF입니다. 최상단은 전문 GP이며, 포트폴리오 지배는 펀드·SPC를 통한 계약지배입니다. (Dyal 13%의 마이너리티 외부 주주 존재)
    • 김병주 배우자 박경아: 고(故) 박태준 前 국무총리·POSCO 창업자의 장녀로 다수 유력지에서 확인됩니다. 직접적 사업거래 연결고리는 공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필란트로피·문화예술 보드 활동은 활발).

     

    5) MBK의 ‘사업추구 방식(스타일)’ — 거래유형별

    1. 대형 컨트롤 바이아웃·금융/소비·리테일: 오렌지라이프(보험), 롯데카드(여전), 홈플러스(리테일) 등 규제·소비 접점 자산을 컨트롤로 운영·재편.
    2. 카브아웃/사업부 인수 및 운영개선: 두산공작기계(’16 카브아웃 → ’22 엑싯), Godiva APAC 등.
    3. 공개매수·지분전략(특정 분쟁상황 관여 포함): 한국타이어 지주(Hankook & Company) 공개매수 시도(’23) 보도, 코리아아연 지배구조 분쟁 국면 참여 보도 등 주주행동·경영권 이슈 대응형 접근.
    4. 세컨더리/GP 지분 유동화: Dyal에 운용사 지분 13% 매각(’22, 약 10억달러) → 플랫폼(운용사) 자본구조 다변화.
    5. 리스크 관리 및 공공성 이슈 대응: 홈플러스 회생·매각, 롯데카드 보안 이슈(투자 확대 해명) 등 사회적 파장 큰 자산에서의 책임성 요구 증대.

     

    6) 한앤컴퍼니 vs MBK 교차분석 (스타일·산업 포지셔닝·거버넌스)

    항목한앤컴퍼니MBK 파트너스
    지리적 범위코리아 집중(국내 산업/인프라 비중)북아시아 3국 분산(KR/JP/CN)
    핵심 산업시멘트·해운·첨단소재·식음료 등 설비/운영형금융(보험·여전)·리테일·소비·헬스케어 + 일부 제조 대형 컨트롤
    주요 플레이카브아웃 + 볼트온 + 사모화(P2P)대형 컨트롤·공개매수/지분전략·IPO/대형 FI 매각
    최근 상징적 딜              SK스페셜티·SKC 필름·남양유업(지배구조 개선)                  지오영 인수, 롯데카드 엑싯 추진, 홈플러스 구조개편
    운용사 자본비공개(전형적 GP 구조)Dyal 13% 유치로 준-영구 자본 성격 보강
    리스크 표면화중고차/해운 사이클 등홈플러스 회생, 여전업 보안/규제 리스크 등 사회적 파장 큼

     

    7) 지배구조도

    최상위중간하위(대표 예)
    MBK Partners(GP) — Dyal 13% 외 마이너리티 주주 존재                 Fund I~V / Special Situations / Fund VI(모집 중)                         SPC/HoldCo → OpCo (지오영·롯데카드·홈플러스 등)

     

    8) 김병주 이력·가족관계와 사업 연관성

    • 학력/커리어: 하버드 MBA·하버퍼드(영문) → 골드만삭스/살로몬 → Carlyle Asia 사장MBK 창업(2005). 북아시아 대형 거래(USJ, ING생명, 홈플러스, Godiva APAC) 리드.
    • 가족: 배우자 박경아 — 박태준(前 총리·POSCO 창업자)의 장녀(Forbes). 직접적 거래 연계는 공개 정보상 확인되지 않음(문화·교육 분야 기부·이사회 활동은 활발).
    • 사회공헌: 서울시 공공도서관 건립 300억원 기부(’21),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천만달러(’22), 하버퍼드 2,500만달러(’24).

     

    9) 초기 사업자금(펀드)과 현재 운용 규모

    • 펀드별 약정액(대표 블라인드): I $1.56B(2005), II $1.5B(2009), III $2.7B(2013), IV $4.1B(2016), V $6.5B(2020).
    • 6호 펀드(모금 중): 2차 마감 $5B(’24.11), 타깃 상향 가능.
    • AUM: $30B+(Forbes·KED).
    • 운용사 지분 유동화: Dyal 13%$1B에 매입(’22).

     

    10) 성공 M&A 케이스 (대표)

    • 오렌지라이프(ING생명): MBK→신한금융 59.15% 2.3조 매각(’18~’19). PE 보유사 IPO·대형 FI 엑싯의 모범 사례.
    • 두산공작기계: ’16 카브아웃(1.05조)’21~’22 매각(2.05~2.4조). 운영개선·밸류업 후 회수.
    • 코웨이: 장기 보유 후 22.17% 1.683조 매각(’18). 소비구독형 비즈니스 엑싯.

    반면,

    홈플러스는 ’25 회생절차·매각으로 손실 반영(보통주 2.5조 소각 계획).

    대형 리테일의 구조적 변화 리스크를 보여줌.

     

    11) 김병주 개인 순자산(추정치가 아닌 공식 지표)

    • Forbes ‘Korea’s 50 Richest 2025’ 1위, 약 $9.5B. (연중 변동 가능) 포브스

     

    12) 시간대별 연혁(선별)

    연도이벤트
    2005MBK Partners 설립(Carlyle Asia 출신 코어 멤버)
    2009USJ 공동 인수(대표 일본 딜)
    2013ING생명(현 오렌지라이프) 인수
    2015홈플러스(테스코코리아) 인수
    2016두산공작기계 카브아웃(1.05조)
    2018~19                  오렌지라이프 59.15% 2.3조에 신한금융 매각 종결
    2018코웨이 22.17% 1.683조 매각
    2020Fund V $6.5B 클로징
    2022Dyal, 운용사 13% 취득(~$1B)
    2024지오영 인수(71.25%)
    2025홈플러스 법원 매각 승인·보통주 소각 계획 / 롯데카드 엑싯 추진

     

    13) 지배구조도·지분 흐름 요약 표

    최상위(개인/법인)형태/역할지배수단하위 연결
    MBK Partners(운용사, GP)운용·의사결정                    GP 지분(창업자 등 파트너) + Dyal 13% 외부지분                            Fund I~V/SS/Vl(모집중)
    각 펀드(Blind/SS/Continuation)            자본 풀LP 약정(연기금·보험·대학기금 등)각 딜별 SPC/HoldCo
    SPC/HoldCo딜 비히클지분/레버리지피투자사(OpCo: 지오영·롯데카드·홈플러스 등)

     

    14) 해석·시사점

    • MBK는 ‘대형 컨트롤·소비·금융 중심’, 한앤코는 ‘코리아·산업/운영형’으로 색깔 차이가 뚜렷합니다. MBK의 강점(대형 자금·규제산업 네비게이션)과 약점(리테일 구조 변화·사회적 파장)은 홈플러스에서 집약적으로 드러났고, 지오영은 ‘헬스케어 유통’으로의 축 이동을 보여줍니다.
    • GP 차원의 자본구조 혁신(Dyal 지분 유치)는 운용사의 지속성·유동성을 강화해 장기 운용 플랫폼으로 진화 중임을 시사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