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디앤디 ×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테마 연관성
- SK디앤디는 2021년 ‘연료전지 사업 진출(청주 에코파크)’을 공식 연혁에 명시했고, 이후 연료전지 EPC·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했습니다. 2023년에도 칠곡·약목 에코파크 연료전지 EPC 계약을 연이어 공시형태로 알렸습니다. 이는 동사가 실물 사업(디벨로퍼/플랜트 EPC)로 연료전지에 관여했음을 보여줍니다.
- 업계 측면에서는 동사가 2019년 블룸에너지(미국 SOFC 대표기업) 한국 파트너 생태계에 편입된 배경에서 SOFC 상용화 흐름과 같이 거론된 바 있습니다(공급/설치 협력 구도 참고). 국내 SOFC 사업 확산 기사에서도 SK디앤디 프로젝트가 언급됩니다.
(보조) 다른 테마 연관성
- 부동산 디벨로퍼/리츠(상장 리츠 스폰서): 동사는 부동산 개발·운영(오피스, 물류, 주거 등)과 리츠 스폰서/AMC 연계 사업을 영위해 왔고, 상장 리츠 ‘디앤디플랫폼리츠(377190, KOSPI)’의 스폰서이자 전략파트너입니다.
- 신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ESS): 2024.3.1부로 에너지 사업을 ‘SK이터닉스’로 인적분할하며, 분할 전 동사는 태양광·풍력·ESS·연료전지를 모두 포트폴리오로 보유했습니다.
- 정치 테마주: 신뢰 가능한 공개자료에서 특정 정치인과의 직접 연결로 ‘정치 테마주’로 분류된 근거는 확인되지 않습니다(일부 커뮤니티성 언급 제외). 사업 특성상 신재생/에너지 정책, 부동산 정책(리츠·도심개발) 수혜/영향 섹터로 분류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회사 개요 & 사업 현황
- 시장/업종: 코스피, 디벨로퍼(부동산)·에너지(분할 전). 2015년 6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특례상장 아님(일반 상장).
- 주요 사업: 공간개발(오피스/주거/물류 등)·공간운영·투자운용(리츠/AMC) 중심. 2024.3.1 에너지 부문을 ‘SK이터닉스’로 분할 후 부동산 전문회사 성격이 강화됨.
연결 재무제표 요약(최근 3개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영업수익) | 392,413 | 385,082 | 870,877 |
영업이익 | 42,819 | 177,595 | 53,670 |
당기순이익 | 76,213 | 103,078 | 44,195 |
부채총계 | 1,494,510 | 1,661,198 | 892,194 |
자본총계 | 697,066 | 761,878 | 570,030 |
부채비율(%) | 214.4 | 218.0 | 156.5 |
자본금 | 24,190 | 24,190 | 18,617 |
| | | |
- 2024년 자본금 감소는 2024-03-01 인적분할(에너지부문 ‘SK이터닉스’ 신설)에 따른 변경 효과입니다. 분할 관련 세부 배경은 ‘[정정] 증권신고서(분할)’ 공시에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 중요: 2024년 인적분할 효과를 반영해 과거 2022·2023년 수치가 재작성되어 공시됩니다(중단영업 영향 포함). 따라서 과거 보고서/데이터 제공처에서 보신 2022년 수치와 다를 수 있는데, 위 표는 2025-03-14 사업보고서의 최신 재작성 기준입니다.
대주주 지분 구조(‘최대주주등’ 합산, 유동주식 추정 포함)
최대주주등(본인+특수관계인) 합산 지분율: 62.59%(2024/12/11 기준).
자기주식 0.06%, 우리사주 0.01%. → 유동주식비율(추정) ≈ 100 − 62.59 − 0.06 − 0.01 = 37.34%.
5% 이상 상세(공시 추적): 2024년 말 기준으로 SK디스커버리와 한앤코개발홀딩스유한회사가 각각 약 31.27%씩 보유(공동보유 체계)로 확인됩니다.
대주주(지배주주 축) 약력(요점)
최창원 SK디스커버리 의장(부회장): 서울대 심리학/미시간대 MBA, SK케미칼·SK가스 등 계열 경영. SK디스커버리 최대주주(지분 약 40.18%)로 SK디스커버리 축(케미칼/가스/바이오/디벨로퍼)을 이끕니다. 2023~24년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선임으로 그룹 2인자 위상 강화.
한앤컴퍼니(한상원 대표 등): 국내 대형 PE. 2018~2020년 SK디앤디에 대한 블록딜·유증 참여로 지분 확보(공동경영 체제 진입) 후, 2025년에는 전 지분 공개매수·자진 상장폐지 추진을 발표.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 회사
- 상위 지배(모회사): SK디스커버리(006120, KOSPI) – SK디앤디를 연결 편입해 온 중간지주 성격(케미칼/가스/바이오/디벨로퍼 축).
- 관계 상장 리츠: 디앤디플랫폼리츠(377190, KOSPI) – SK디앤디가 스폰서/전략 파트너. 보유·거래 공시 및 업계 기사에 따라 직접 지분(보통주 소수)을 들고 있는 구조도 확인됩니다(예: 세미콜론 문래 리츠 지배구조 내 SK디앤디 보통주 4.69%).
상장 이력 & ‘특이 사건’ 연표(핵심)
- 2015.06: 코스피 일반상장.
- 2017.04.07: 주식분할(액면분할) 1.5:1.
- 2018.11 / 2020.05: 유상증자(일반·전환우선주) – 한앤코, 배정 참여로 지분 확대.
- 2021.08: 디앤디플랫폼리츠 상장(스폰서/AMC 연계).
- 2024.03.01: 인적분할(에너지 부문 ‘SK이터닉스’ 신설) → 3/29 변경상장/재상장 및 거래재개, 분할비율(순자산 기준) 존속 약 77% : 신설 약 23%. 분할로 주식수가 0.7696261:1 조정(변경상장 효과). 자본금 감소도 동 분할에 기인.
- 2025.10.01~: 한앤컴퍼니 공개매수 → 전량 취득 후 자진 상장폐지 추진(SK디스커버리 지분 전량 매입 포함).
(특히) 대주주 변경(과정) — 방식과 맥락
1단계(2018~2020): 한앤코가 블록딜(최창원 부회장·SK가스 보유분 일부 매입) + 유상증자(보통주·CPS) 참여로 공동경영 지분을 확보.
2단계(2024): 인적분할로 에너지(연료전지·태양광·풍력·ESS)를 SK이터닉스로 이관, 존속 SK디앤디는 부동산 중심으로 포지셔닝. 지배주주 구성은 SK디스커버리–한앤코의 ‘공동보유 체계’가 유지.
3단계(2025): 한앤코가 SK디스커버리 보유지분 전량 인수 + 공개매수로 전량 취득 후 자진상폐 추진 선언 → 사실상 단일 대주주 체제로 전환하면서 사적시장(비상장)에서의 경영 유연성 확보를 도모.
SK그룹 ‘분파’와 지배구조(요지)
SK Inc. 축(최태원 회장): ‘지주사(SK Inc.)–반도체(SK하이닉스)–에너지(SK이노베이션/온)–ICT(SK텔레콤/브로드밴드)–플랫폼(SK스퀘어 등)’의 주류 그룹축.
SK디스커버리 축(최창원 의장): 케미칼(SKC는 별도 계열), SK케미칼·SK바이오사이언스·SK가스·SK디앤디(분할 전/지분변동 중) 등 케미칼/가스/바이오/디벨로퍼 중심의 별도 중간지주 축. 최창원은 SK디스커버리 최대주주(약 40.18%)이며 2023~24년 SK 수펙스 의장으로서 그룹 전반의 의사결정에도 영향력이 커졌습니다(이른바 ‘사촌경영’ 구도).
정리: SK그룹은 ‘SK Inc.(최태원)’ 메인 축과 ‘SK디스커버리(최창원)’ 축으로 사실상 분화되어 운영돼 왔고, SK디앤디는 그중 디스커버리 축에 속해 성장하다 2025년 한앤코 주도로 사모화(상폐) 수순을 밟는 흐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