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리거(코스닥/ 043710)
1) 가능한 테마(인포스탁 미등재 기준, 외부 근거로 도출)
- 의료미용/MSO(병원경영지원): 회사 소개·사업분야가 톡신/필러/스킨부스터 등 미용의료와 MSO성 경영지원에 초점(‘Medical Beauty’, ‘헬스케어’, ‘뉴미디어마케팅’) .
- K-뷰티(더마·화장품 OEM/ODM): 화장품 제조/유통·ODM을 병행한다고 명시.
- 방역/방호복(과거): 2020년 팬데믹 당시 방호복 SP-2020 공급 보도가 존재(과거 방역테마 연동 이력).
- 패션·아이웨어(과거 다각화): 2019년 룩옵틱스(룩옵티컬 운영) 50% 지분 167억 인수(패션 아이웨어 유통/프랜차이즈 진출).
2) 회사 개요 & 사업
- 설립/상장: 1991년 설립, 2002-07-11 코스닥 상장(과거 사명 ‘로켓모바일’, 이후 ‘서울리거’로 전환).
- 사업부: 화장품 제조(ODM/OBM), 미용의료(톡신/필러/스킨부스터), 헬스케어 협업(예: SD바이오센서 협업 서술), 뉴미디어 마케팅(인플루언서 기반) 등.
- 최근 조직/사업 변동: 2025년 자회사 ‘서울리거뷰티’ 흡수합병.
3) 연결 재무 요약(단위: 백만원)
연도 | 매출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자본금 | 자본총계 |
2024 | 19,340 | -3,347 | 5,381 | 28.4% | 25,099 | 39,130 |
2023 | 22,559 | -7,541 | -3,296 | 38.9% | 25,099 | 26,912 |
2022 | 10,107 | -6,592 | -6,385 | 26.8% | 25,033 | 30,103 |
- 2024 실적(매출 193억, 영업손실 33억, 순이익 54억)은 외부 요약치와도 일치(순이익은 비영업 이익 요인이 컸고, 영업손실은 지속).
4) 대주주·특수관계인 및 유동주식비율
기준일: 2025-04-17(최대주주 등), 2025-02-18(5% 이상 그룹) /
최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자): 세심(外5) 56.20%
상세(일부): 세심 45.45, 제이든앤컴퍼니 2.56, 인터미션 2.21, 정기훈 2.00, 김미혜 2.00 등.
그 외 5%+ 그룹:
런처스(外2) 6.41(런처스 2.31, 홍제윤 2.11, 홍희정 2.00) – 2025-02-18 기준.
심주엽(外1) 6.18(심주엽 5.40, 하은환 0.78).
합계(최대주주등+5%이상): 약 68.79% → 유동주식비율 ≈ 31.21%(자사주 0%).
KRX 공시에도 ‘런처스’ 관련 대량보유/3자배정 납입(2025-01-11) 정황이 확인됩니다(대표이사 홍제윤).
5) 주요 주주 약력
- 세심(주): 2013-12-20 설립, 업종 경영컨설팅, 대표 이재규(현 서울리거 대표이사). 주소 시흥시, 업태 M71531. 회사가 2023-05-04 질권 실행으로 최대주주 변경 공시 시 ‘세심’이 새 최대주주로 등장.
- 런처스(주): 2024-25년 제3자배정 유증 참여자. KRX 대량보유공시에 ‘홍제윤(런처스 대표이사)’ 명시.
- 심주엽: 前 휴젤 대표집행임원(2017 공동대표 선임, 2018 휴젤 대표직 이탈), 2018-06-27 서울리거 최대주주로 한 차례 등극(3자배정 결과), 이후 2023-05-04 세심으로 최대주주 변경. 최근엔 바이오 업계 자문/경영 참여 기사 다수.
6)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 타임라인
- 2002-07-11: 코스닥 상장(당시 ‘로켓모바일’).
- 2018-06-27: 심주엽으로 최대주주 변경(3자배정 납입).
- 2019-06-20: 룩옵틱스 50% 지분 167억 인수(패션/아이웨어 진출).
- 2020년: 방호복 공급 이력 보도(방역테마 연동).
- 2023-05-04: (주)세심으로 최대주주 변경(질권 실행 결과).
- 2024-09-10 → 12-31 → 2025-01-20: 제3자배정 유상증자(세심/런처스/제이든앤컴퍼니 등), 금액·일정 정정·증액. 발행가 670원→550원, 상장 2025-02-18. (회사 공고, KRX 공시, 언론)
- 2025-02-18: 유증 신주 상장(대량보유공시/주주구분 반영).
- 2025: 자회사 ‘서울리거뷰티’ 흡수합병(사업 재편).
지배·지분 관계 상장사: 공시/개요상 직접 지배하는 상장 자회사 없음(주요 종속·관계기업은 비상장 위주). 과거 인수 대상(룩옵틱스)도 비상장. 대주주(세심·런처스)는 비상장 법인, 심주엽은 개인. 더벨+1
참고사항) 왜 영업이익/순이익이(대체로) 적자인가?
영업단(구조적 적자 지속):
① MSO·유통(톡신/필러 등) 중심 모델은 마진 방어가 약하고 판관비(인건비·마케팅·물류)가 높음.
② 제조(ODM) 전환 단계 비용(개발/설비·QA/인증·샘플/원재료)와 초기 가동률 부담.
③ 2024년 순이익 흑자는 비영업(금융/투자·평가) 요인 영향이 커서 일회성에 가깝고, 영업손실은 지속(구조개선 필요).
기타) 대주주 변경 당시 상황
- 2018-06-27: 3자배정 유증 납입으로 심주엽 → 최대주주(14.9%). 경영참여 목적 공시.
- 2023-05-04: 질권 실행 결과, 세심(外1)이 최대주주로 변경(34.30%). (변경 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주식에 설정된 질권을 세심이 실행)
- 2024-25: 세심·런처스·제이든앤컴퍼니 대상 3자배정 유증(여러 차례 일정/금액 정정·증액, 2025-02-18 상장). 이후 세심(외5) 지분율 56.20%로 확대.
체크 포인트(투자·사업 관점)
- 재무: 영업적자 지속 → 제조(ODM) 전환 성과, MSO 네트워크 실적(시술/시그널), 마케팅 효율화가 흑자전환의 관건. 2024 순이익은 비영업 요인 가능성 높아 반복성 점검 필요.
- 지배·지분: 최근 3자배정 유증으로 최대주주 측 지배력 강화(희석/유통주식비율 변화) → 락업·오버행·추가 유증 가능성을 KRX 공시로 상시 체크 권고.
- 테마: K-뷰티/의료미용/MSO/화장품 ODM이 기본축. 과거 방역/아이웨어는 레거시. 신사업(그린테크·뉴미디어)은 사업보고서·회사 사이트 수준의 서술로, 매출 기여는 추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