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산업 (코스닥 215360)
1) 테마 연관성 (전기차·수소차·리비안) + 기타 테마
- 전기차(EV): 핵심 제품인 고전압 PTC 히터·쿨런트 히터·열관리(thermal) 제어모듈/액츄에이터를 생산·공급. 미국 조지아주에 EV 히터/제어유닛 공장을 설립(’23.11 가동 목표)해 북미 전기차 공급망에 직접 편입.
- 수소차(연료전지/부품): 회사 제품군(PTC·열관리) 특성상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배터리/스택 열관리에도 적용. 회사 공식 제품 페이지에서 PTC/열관리 라인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리비안 테마: 우리산업은 리비안의 쿨런트 히터 등 부품 공급 이력이 다수 기사·지역정부 발표에 등장하며, 2023년 리비안 차세대(R2) 관련 2,600억원 규모 수주 보도가 있었음(언론 인용). 또한 조지아 공장 투자 기사들에서도 리비안·테슬라·루시드 등과의 공급·후보군 언급이 확인됩니다.
- 기타 테마 연결 사례: 테슬라/루시드/카누·현대차 북미 등 글로벌 EV OEM 히터·열관리 공급망 관련 테마(글로벌 증설·수주 레퍼런스). 스텔란티스 대형 수주(’23년 보도) 등 글로벌 완성차 수주 확대 이슈도 반복적으로 노출됐습니다. 정치테마(특정 정치인 연계)로 분류된 확정적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언론/테마자료 검색 기준).
2) 회사 일반 사항·사업 개요
- 지배회사: ㈜우리산업홀딩스(코스닥), 주력 사업은 자동차 공조·열관리 계열(종속회사 ㈜우리산업 등)을 중심으로 영위. 글로벌거점(아시아/멕시코/슬로바키아/미국) 통해 완성차·1차 벤더 공급.
- 상장 계열사: 상장사는 2개(지주 ㈜우리산업홀딩스와 종속 ㈜우리산업). 나머지 계열은 비상장.
- 주요 제품 포트폴리오(종속 포함): HVAC Actuator, Control Head(공조 제어), PTC/Coolant Heater(난방·열관리) 등.
3) 연결 재무 요약 (최근 3개년, 단위: 백만원)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자본총계 | 부채비율 | 자본금 |
2024 | 510,600 | 15,000 | 13,300 | 111,900 | 189.91% | 4,600 |
2023 | 462,200 | 20,500 | 17,800 | 100,900 | 209.27% | 4,600 |
2022 | 364,600 | -24,700 | -18,000 | 85,700 | 177.83% | 4,600 |
- 매출·손익: 사업보고서 ‘요약재무정보’(연결) 기준.
- 자본총계·부채총계(→부채비율 계산), 자본금: 연결 재무상태표/자본금 주석 근거.
4) 대주주·유통주식(유동주) 비율 / 대주주 약력
- 최대주주: 우리산업홀딩스 3,603,334주(지분 39.46%) – 마지막 변동일 2015-08-07.
- 발행주식수: 9,132,163주(보통주).
- 유동주식수/비율: 5,528,829주 / 60.54%
- 5% 이상 기타주주: 현재 없음(우리산업홀딩스 단독 표기). 동일 내용이 2024.1Q 분기보고서 ‘5% 이상 주주’에도 확인됩니다.
참고사항: 최대주주 변경사
“김명준·김정우 → 우리산업홀딩스”로 바뀐 이유와 시기
지배구조 전환(인적분할):
2015-04-01 우리산업홀딩스에서 제조·판매사업을 인적분할해 “우리산업(현 사업회사)” 설립 → 2015-05-06 코스닥 재상장.
최대주주 변경(방법·시점):
2015-08-07 우리산업홀딩스가 공개매수로 우리산업 3,603,334주를 취득하면서 최대주주로 변경(지분 39.46%).
왜 개인 명의가 사라지고 ‘홀딩스’만 보이나?
한국 공정거래법상 일반 지주회사는 상장 자회사 지분 20% 이상을 보유해야 합니다. 인적분할 이후 지주회사(우리산업홀딩스)가 사업회사(우리산업) 지분을 공개매수로 끌어올리는 전형적 구조이고, 그 결과 개인(김명준·김정우) 직접 보유분은 홀딩스 보유로 흡수되어 사업회사 대주주 명단엔 ‘우리산업홀딩스’만 남습니다.
간접 지배 관계(참고):
우리산업홀딩스의 내부 지분은 최근 자료 기준으로 김명준 약 49.7%, 김정우 약 29.0% 등으로 파악됩니다(합계 약 78% 근처). 즉 두 사람은 홀딩스 → 우리산업의 간접 지배 형태입니다.
정리
현재 “우리산업”의 대주주는 우리산업홀딩스 39.46%, 유동주식비율은 약 60.5%. 개인(김명준·김정우)은 사업회사에서 직접 5%+ 주주로 잡히지 않고, 홀딩스 지분을 통해 간접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인적분할(2015-04-01) 후 공개매수(2015-08-07)로 최대주주가 홀딩스로 전환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산업홀딩스 관련 대주주 약력(요지)
김명준: 1966년생. 前 우리산업 대표이사(2012), ㈜우리산업홀딩스 회장(2015), 現 우리산업홀딩스 대표이사(2016~).
김정우: ㈜우리산업 대표이사 등(세부 약력 표기).
5)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우리산업(코스닥) — 지주(홀딩스)의 종속 상장사. 나머지 계열사는 비상장(슬로바키아·미국 등 해외법인 포함).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혁)
상장 이력: 2003-07-02 코스닥 상장, 상장특례: 해당사항 없음.
주요 이벤트(연혁/공시 요지)
2003: 상장 전 액면분할(5,000→500원) 후 코스닥 상장(연혁 표기).
2015-07-01: 인적분할로 지주(우리산업홀딩스, 존속)·사업회사(우리산업, 신설) 체제로 전환.
2015-06-02: 공개매수(자회사 ㈜우리산업 지분 확보 목적) 시행.
2020-11-01: 우리플라텍(주)가 일렉스(주)에 피흡수합병(그룹 내 정리 이슈).
최근 5년 최대주주 변동: 해당사항 없음.
참고사항) 2021·2022년 영업/순손실(적자) 사유/
단순 의견입니다.(투자시 주의)
- 2021년: 코로나 여파 지속 속 국내 완성차향 PTC 히터 공급사 다변화(경쟁 심화) 영향으로 하반기 적자, 연간 영업손실 -73억원 기록.
- 2022년: 매출은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글로벌 공급망 대란(원가·물류비·부품수급 혼선) 지속으로 영업손실 확대(-247억원). 같은 맥락에서 회사 공시도 연결 영업손실 지속을 확인.
- 사업보고서 데이터와 합치성: 2022년 연결 기준 매출 증가·적자 지속(당기손실) 흐름이 원문 재무표와 부합.
기타
- EV·열관리 사이클: 북미(조지아) 거점 확보로 현지 조달 요건(IRA 등) 대응 + 리비안/테슬라/현대차/루시드/스텔란티스 관련 수주 파이프라인이 테마 민감도 높임.
- 유통주식(소액주주) ~21%로 지배주주 결속 강함(두 핵심 주주 합산 78%대). 이벤트 발생 시 공급/수급 민감도 점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