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일동제약 기업분석/ 비만치료제, 제약업, 코로나19치료제 테마주/ 재무(**적자, 부채비율 주의)/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8 회 2025-09-29

  • 일동제약(코스피/ 249420)

    1) 테마 연관성 요약

    • 비만치료제: 일동제약 R&D를 분사한 유노비아(Unovia)가 경구 GLP-1 비만 약물(ID110521156) 1상 톱라인 공개(‘25.9 예정) 등 파이프라인을 보유. 관련 데이터와 기대감으로 일동제약이 비만치료제 테마로 반복 언급됩니다.
    • 코로나19 치료제: 일본 시오노기(Shionogi)의 경구용 치료제 조코바(Xocova, S-217622)에 대해 국내 권리·공동개발 협력을 지속해 온 점이 테마 연결 고리입니다.
    • 코로나 진단키트: 팬데믹 국면에서 래피젠 등과 진단키트 공급계약·판매를 진행해 관련 테마에 엮였습니다(22년).
    • 그 외 테마(정치·특이): 전형적 ‘정치 테마주’로 분류된 사례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다만 24.12에 최상목 부총리(과거 일동홀딩스 사외이사) 이슈로 그룹주가 단기 급등한 적은 있습니다(정책·인사 이슈 연동의 일시적 수급).

    2) 회사 개요·사업

    • 상장회사명/결산: 일동제약(코스피 249420), 12월 결산.
    • 지배구조 축: 일동홀딩스가 지주사, 일동제약은 의약품 제조·판매가 주력. 사업목적(의약품·건강보조식품 제조/수출입 등)은 사업보고서 명시.
    • 최근 조직 개편: 2023.11에 R&D 부문을 물적분할해 유노비아를 신설(지주사 사업보고서 주석에도 “일동제약 R&D부문 물적분할” 명시). 이후 모회사(일동제약) 비용부담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3) 연결 기준 재무요약(단위: 백만원)

    구분202420232022
    매출액614,940600,757637,714
    영업이익(손실)13,118-53,943-73,481
    당기순이익(손실)       -12,401              -80,961           -142,169
    부채비율(%)270.3257.8230.8
    자본금28,06228,06326,803
    자본총계159,057169,542198,224

    4) 대주주·유동주식

    • 5% 이상 주주(’24.12.31): 일동홀딩스 34.41%(단독). 5% 이상 외부 기관(국민연금 등)은 해당 시점 미포함.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합계(’24.12.31): 38.87%. (일동홀딩스·CMJC·윤웅섭 등 특수관계인 합산 표기)
    • 유동주식비율: 약 65.1%(최대주주등 34.46%·자기주식 0.41%·임원 0.06% 제외 추정).

    5) 대주주 약력(핵심)

    윤웅섭 대표이사 부회장(1967년생): 연세대 응용통계, 美 조지아주립대 회계학 석사, KPMG→일동제약 합류 후 2014 각자대표, 2021 부회장. 그룹 3세 경영, R&D 중심 전략을 주도.

    6)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일동홀딩스(지주사): 코스피 상장, 일동제약 지배. (지주사 사이트·그룹사 현황 참조)

    2025년에 일동바이오사이언스(비상장)의 지분 일부를 일동제약이 취득(22.5%)하는 그룹 내 재편이 있었습니다(지주→일동제약 매각). 상장사는 아니나, 그룹 자본 재배치의 의미가 큽니다.

    현 시점 확인되는 계열 상장사는 ‘일동홀딩스’가 유일합니다. (아이디언스·유노비아·일동바이오사이언스 등은 비상장)

    7) 상장 이력·특이 이벤트(연대기)

    • 2016.08.31 재상장: 구 일동제약 분할로 지주(일동홀딩스)/사업회사(일동제약) 체제 전환 후 재상장. 특례상장 유형: 해당 없음.
    • 2021.01.28: 전환사채(CB) 1,000억 발행(운영·R&D 재원).
    • 2022~: 시오노기 조코바(Xocova) 국내 협력·권리 보유. (코로나19 치료제 테마 부각)
    • 2023.05: 대규모 구조조정(조직·인력 효율화).
    • 2023.10.20: CB 300억 추가 발행.
    • 2023.11: R&D 부문 물적분할 → 유노비아 신설. (이후 모회사 R&D비 큰 폭 감소)
    • 2024.05: 토지·건물 일부 자산매각(279억)로 재무개선.
    • 2024.10: 일동바이오사이언스 프리IPO 풋옵션 관련 지분 재취득 공시(지주).
    • 2025.07~08: 지주(일동홀딩스) 보유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지분 22.5%를 일동제약이 취득(그룹 내 재편).
    • 2025.09.11: 최대주주등 소유주식 변동신고(보고자 변경 성격). 지배주주 자체가 바뀐 것이 아니라 ‘최대주주등’ 신고 그룹 대표가 변경된 사안으로 해석됩니다. K

    참고사항) 2021~2023 대규모(영업·당기) 적자 원인 분석

    요점만 정리합니다.

    1. R&D 투자 급증: 매출 대비 R&D 비중이 21~23년에 16~20%대까지 상승. R&D 현금지출이 손익을 크게 훼손했습니다. (‘23.11 분사 전까지 모회사에 비용 집중)
    2. 코로나 치료제의 국내 허가 지연: 조코바의 일본 긴급사용과 달리 국내 성과가 지연돼, 기대 매출이 현실화되지 못한 반면 임상·기술료·재고·영업비용 부담이 남았습니다.
    3. 재무비용·운영효율: 2021·2023년 CB 발행과 고금리 구간이 겹치며 금융비용·유동성 관리 부담이 확대. 2023년부터 구조조정·자산매각으로 비용을 낮춰 2024년에 흑자전환(연결 영업이익 흑자) 효과가 확인됐습니다.

     

    상장 유형

    • 상장 유형: 재상장, 특례상장 아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