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홀딩스(코스피/ 000230) 종합 분석
1) 기업 개요 & 테마 연관성
정체성: 2016년 인적분할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일동홀딩스 ↔ 사업회사 일동제약, 기타 자회사).
상장 이력: 1975-06-28 유가증권시장 상장(특례상장 아님).
핵심 사업
지주회사부문: 지배·투자·브랜드 관리·에셋 매니지먼트 성격.
의약품 제조·판매부문: 일동제약 중심(OTC/ETC, 신약·임상, 해외협업 등). 2024년 해당 부문 영업이익 13,119, 당기순손실 -12,402.
테마(국내 투자자 관행상)
제약/바이오 지주사: 자회사 일동제약 파이프라인·프로바이오틱스 등 그룹 노출.
정치 테마(이슈성): ‘최상목 관련주’ – 최상목 부총리(당시)가 과거 일동홀딩스 사외이사였다는 경력 노출 이슈로 2024-12-24 급등 사례가 공식 경제지에 보도됨(기본면 수급성 이벤트, 펀더멘털 직접 연관은 부재).
코로나 치료제/신약 기대감 연계: 자회사 일동제약-시오노기 조합 ‘조코바’ 관련 기대/실망 이슈에 동조화. (그룹 테마 반응의 2차 노출 성격)
요약: 구조적으로는 제약/바이오 지주사 테마가 본류.
정치 테마(최상목) 연계는 일회성 뉴스 트리거에 가까우며, 본업과 직접적 연관성은 낮음.
2) 연결 기준 재무 요약 (최근 3개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영업수익) | 675,539 | 638,447 | 657,566 |
영업이익 | -98,410 | -79,561 | -2,411 |
당기순이익 | -194,503 | -118,787 | 55,583 |
자산총계 | 862,553,167 | 876,999,055 | 854,701,443 |
자본총계 | 169,100,181 | 169,901,850 | 253,998,132 |
부채비율(%) | ≈410.1 | ≈416.2 | ≈236.5 |
자본금(추정) | 5,770 | 5,770 | 5,770 |
코멘트: 영업손실 지속(’22~’24)이나,
2024년 비영업(기타수익·금융수익 등) 개선으로 순이익 흑자 전환.
3) 주주 구성, 특수관계인 합산 & 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 등(2024-12-31)]
- 씨엠제이씨(CMJC) 15.63% (1,151,990주)
- 오미현 12.86% (1,484,179주)
- 윤원영 2.60% (300,286주)
- 기타 특수관계인 1.03% → 소계 32.12%
[5% 이상 기타 주주]
- 에이치앤큐코리아-1 분할형 사모투자합자회사 20.02% (2,310,000주)
[자기주식] 2.15% (248,310주, 11,540,400주 기준)
[소액주주 비중(사업보고서)] 48.46%
4) 대주주 & 지배구조 포인트
(1) 씨엠제이씨(CMJC) 분석
- 성격: 오너 일가가 지배력 유지에 쓰는 개인(오너) 회사. 과거 ‘케이비네트웍스’에서 씨엠제이씨로 사명 변경, 일동 관련 SI/IT/교육/기술서비스 등 내부거래 다수.
- 지배구조 내 위치: “윤웅섭(오너3세) → CMJC → 일동홀딩스 → 일동제약/계열” 축으로 승계·의결권 결속 장치 역할.
- 재무(2024) (사업보고서에 최초 공개된 요약): 자산 23,530 / 부채 19,852 / 자본 3,678 / 매출 5,470 / 영업이익 1,732 / 순이익 734 → 영업흑자.
- “여러 해 영업적자”라는 주장과 달리 최신치(2024)는 영업흑자가 확인됩니다(과거 연도 공시가 제한되어 장기 추세는 불명확).
왜 적자/부진 인식이 있었나? (합리적 추정)
내부거래 의존高 → 마진 낮고 변동성 큼, 규모의 경제 제한.
서비스/SI 성격의 비용 구조(인건비·외주 등 고정비 성격)로 실적 기복.
규제/세무 점검 이슈 지적 등(과거 내부거래 비중 매우 높음 보도).
(2) 오너 일가 프로필(요지)
윤원영 회장(2세), 윤웅섭 부회장(3세, 연세대 응용통계·美GSU 회계석사, KPMG 경력). 그룹 구조개편·R&D 투자·효율화 추진.
(3) H&Q(사모펀드) 블록
2015~2016 경영권 분쟁 국면에서 백기사 역할(녹십자 보유 지분 인수), 지배구조 안정화 공신. 이후 시간외 대량매매·교환거래 등으로 지분 재조정.
5) 계열·지분 관계(상장/비상장 구분)
구분 | 회사 | 상장여부 | 관계/비고 |
종속·핵심 | 일동제약 | 상장(KOSPI: 249420) | 의약품 제조·판매, 그룹 주력 자회사 |
종속 | 일동바이오사이언스 | 비상장 | 2025-06 지분 47.6% 기관 매각(300억), IPO 준비. 잔여·특관 포함 경영권 유지. |
종속 | 루텍(舊 일동히알테크 흡수) | 비상장 | 부문 정리·흡수합병 등 내부구조조정 보도. |
지분투자 | YTN | 상장(KOSDAQ: 040300) | 금융자산(지분상품) 일부 보유 항목으로 사업보고서 기재. |
전략적 제휴 | 엔젠바이오 | 상장(KOSDAQ: 354200) | ’19 일동제약이 ~5% 전략투자·CDx 협력(MOU), 후속 변동은 공시 참조. |
통합 기준 상장계열 핵심은 ‘일동제약’ 하나.
나머지는 비상장 자회사/관계회사이거나 소수 지분 투자입니다.
6)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혁·자본·M&A) — 타임라인
- 1975-06-28: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6-08-01: 지주사 전환(인적분할) – 일동홀딩스(지주) / 일동제약(사업) 체제 확립,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일동히알테크 분할 신설.
- 2015~2016: 녹십자와의 지분 갈등 국면 종결 – H&Q(PEF) 백기사 역할로 안정화.
- 2019~2020: H&Q 측 일동제약 지분 일부 정리, 일동홀딩스가 시간외 매입 등으로 재정비.
- 2023~2024: 그룹 구조조정·내부 흡수합병(루텍/히알테크 등)로 적자 축소 목적의 조정 진행 보도.
- 2024-12-24: 정치(최상목) 이슈로 주가 급등 – 사외이사 경력 부각(수급 이슈).
- 2025-06~07: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지분 47.6% 기관 매각(300억), IPO 준비 및 재원 확보.
최대주주 변경: 공시 기준 지배주주(오너일가·CMJC) 체제 유지. H&Q는 2대 주주 블록의 재조정이 있었으나 실질적 지배 이전(체인지 오브 컨트롤) 공시는 없었습니다.
참고사항 “영업이익이 지속 적자” 원인 분석(연결 관점)
- 연구개발(R&D) 부담: ’22~’24 FnGuide 항목상 연구개발비/판관비 비중이 높고(’22 1,194억 → ’24 559억으로 조정 중), 매출총이익 대비 판관비 과중으로 영업손실 지속.
- 제품 믹스/재고·원가: 매출총이익 변동성(’23 둔화 → ’24 개선)이 있었으나 판관비 감축 속도가 관건.
- 비영업 영향: ’24년 기타수익/금융수익 급증으로 순이익 흑자, 구조조정·자산·지분 관련 이슈 반영 가능.
참고사항: 부채비율 200%+ (과거 400%+ 포함) 상황에서의 일반적 대응 패턴
국내 상장사들이 생존/정상화를 위해 빈번히 쓰는 패턴(케이스 스터디 기반):
- 자산 매각·지분 매각: 비핵심 자산·보유지분 처분(예: 2025년 일동바사 47.6% 매각, 300억 유입 → 차입상환/운전자금).
- 자본 확충: 유상증자(주주·제3자), 전환사채(CB)/교환사채(EB) 등 자본성 조달로 자본총계 확충→부채비율 낮춤.
- 사업 포트폴리오 슬림화: 비수익 사업 정리·흡수합병·물적/인적분할 등으로 손익/현금창출력 개선(루텍/히알테크 케이스 보도).
- 운전자본 개선: 재고 축소·매출채권 회전 가속·설비·임차 재조정(S&LB 포함).
- 리파이낸싱: 금리·만기 구조 최적화, 약정 재협상(차입구조 장기화).
일동홀딩스는 2024에 순이익 흑자 전환과
2025 지분 유동화로 부채비율을 추가로 낮출 여지를 만든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기타: 상장 방식 & 특이사항 정리
상장 방식: 1975년 일반상장. 특례상장 이력 없음.
특이 이벤트: 지배구조 전환(2016), H&Q 백기사, 내부 M&A/흡수, 자회사 지분 유동화(2025), 정치 이슈 단기 급등(2024-12).
결론·체크포인트
- 영업이익 적자 지속 → 판관비·R&D 부담 구조의 개선 속도가 핵심. 2024년 순이익 흑자는 비영업 요인 비중이 커 지속가능성 점검 필요.
- 부채비율은 2024년에 236%대로 크게 개선. 2025 일동바사 지분 유동화는 추가 완화 요인.
- 지배구조는 CMJC-오너일가 축이 유지, H&Q 2대주주 블록은 역사적으로 방어적 파트너 역할. 지배주주 변경 이력 없음(최근 공시 기준).
기타 참고사항: 일동제약 생산품 이름들 / 대표 제품(브랜드)
OTC·의약외품/의료기기
- 아로나민 시리즈 (아로나민골드정, 골드프리미엄정, 씨플러스정, 이맥스플러스정, 실버액티브정, 실버프리미엄정) — 일동의 간판 종합비타민 라인.
- 로이히츠보코 코인플라스타(소염진통 첩부제) — 니치반과 라이선스, 국내 독점 공급.
- 메디터치 H(울트라씬·믹스·돗트 등 상처케어 드레싱 라인)
- 레녹스 카타플라스마(록소프로펜 카타플라스마)
- 덴큐(치주질환 보조치료제·치과위생 라인)
- 레날민/라라포스/마그라민 등 비타민·영양제 라인업
- 비오비타(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
ETC(전문의약품)
- 글리팜/글리팜엠(당뇨병 치료제), 그리타존, 나푸롤, 다포르 등 주요 처방의약품 라인
- AMLOTEN(순환기계), ALGIK 주사제(항암) 등 영어 사이트 신제품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