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마 연관성 (스마트폰·폴더블폰·2차전지(전고체/소재부품))
- 스마트폰/폴더블폰: 테이팩스의 주력은 디스플레이·모바일용 점착/접착 소재(OCA, 광학·기능성 테이프). OLED·폴더블 패널(엣지/힌지 부위 포함) 라미네이션·커버글라스 접합 등에 쓰입니다.
- 2차전지(소재·부품): 리튬이온 배터리용 바인더/점착제, 분리막·전극 공정용 기능성 테이프를 보유(제품·용도 명시).
- 2차전지(전고체): 사업보고서에 ‘전고체’ 직접 명시는 없습니다. 다만 시장에선 차세대 전지로의 확장 가능성(바인더/접착 기술 기반) 때문에 전고체 테마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직접사업 명시 아님: 보수적으로 해석 권고).
- 그 외 테마/정치 테마: 공시·주요 매체 기준으로 정치인 연계 테마로 확인되는 근거는 찾기 어려웠고, 업계 분류는 주로 디스플레이/모바일·2차전지 소재 축입니다.
2) 회사 개요·사업
- 법인/상장: 1994년 설립, 본사 수원. 2017.10.31 유가증권시장 일반상장(특례상장 아님).
- 사업부문: ①전자재료(모바일·디스플레이용 OCA/기능성 테이프), ②소비재(포장용 테이프).
- 연결 종속회사: 2개(해외법인 포함) 구조로 운영.
3) 연결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4 | 2023 | 2022 |
매출액 | 135,955 | 145,840 | 182,261 |
영업이익 | 1,428 | 6,621 | 25,451 |
당기순이익 | 3,581 | 8,104 | 18,933 |
부채총계 | 35,343 | 47,191 | 49,618 |
자본총계 | 154,616 | 152,691 | 147,967 |
부채비율(%) | 22.9 | 30.9 | 33.6 |
자본금 | 3,798 | 3,795 | 3,772 |
출처: 요약연결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 본문
(부채비율=부채총계/자본총계×100, 계산치)
4) 대주주·유동주식비율 (공시 기준)
최대주주: 한솔케미칼 44.89% (특수관계인 포함 44.99%)
(5% 이상 타 주주는 공시상 없음: 변동내역 요약에도 부재)
유동주식비율: 약 54.4%
5) 대주주 약력(핵심만)
- 법인 대주주: 한솔케미칼(상장). 2016년 테이팩스 인수 주도, 이후 2017년 상장 시점에 44.89% 보유로 재편(공모·희석 영향)
- 그룹 관점(인물): 한솔케미칼 조연주 부회장이 2016년 테이팩스 인수를 주도한 것으로 다수 매체가 보도
6)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 직접적 지분관계: 테이팩스의 최대주주 한솔케미칼(상장) – 한솔케미칼은 테이팩스를 종속회사로 인식(지배력 보유)
- 테이팩스가 지분 보유한 상장 종속사: 없음(연결 포함 회사 2개 모두 비상장)
- 그룹 내 상장사(참고): 한솔테크닉스·한솔로지스틱스·한솔피엔에스·한솔인티큐브 등 ‘한솔’ 계열 상장사 존재. 이는 그룹 차원의 계열이며, 테이팩스가 직접 지분을 보유한다는 의미는 아님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 상장일: 2017-10-31, 유가증권시장 일반상장【】. (특례상장 아님)
8)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혁성·공시 중심)
- 2008-11-12: 액면분할(5,000→500원) – 상장 전 자본 구조 정비 이력
- 2016-05~08: 한솔케미칼 측 SPV(에이치티투자목적)를 통해 테이팩스 인수(지분 99.18%) → 이후 합병·구조 재편
- 2017-10-31: 상장(한솔케미칼 보유지분 44.89%로 표기)
- 회사채 관련: 과거 회사채(비유동 사채) 존재→ 2024년에는 장기사채 계정 0(상환 완료)로 표기
- 배당/스톡옵션: 2024년 현금배당 14.29억원 및 스톡옵션 일부 행사(자본금 소폭 증가)
(유·무상증자/감자/권리락 등) 최근 3개년 공시에서 유상증자·감자·추가 액면분할 등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자본 변동은 주로 스톡옵션 행사에 기인(자본금 3,772 → 3,798백만원)
참고사항: 2023·2024년에 영업이익/당기순이익이 급감한 이유
핵심 요인(공시 직접 기술 + 재무수치 연계):
전자재료(모바일·디스플레이) 업황 둔화 → 매출 감소
· 2024 매출 1,359.5억(백만원), 전년대비 -6.8%
· 관리층 평가: 전자재료 부문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 감소(경영진 분석)
마진 압박(ASP 하락·제품 믹스) → 매출총이익 급감
· 매출총이익: 2022 42,585 → 2023 22,683 → 2024 17,685(백만원)
재고자산 평가손실 인식 등 일회성 부담
· 2024년 재고 관련 손실 인식(사업보고서 주석 기재) → 총이익에 부정적
환율·이자 등 금융환경 영향 완화에도 본업 둔화가 더 큼
· 금융이익/비용 규모는 큰 폭 변동 없으나, 본업 영업이익 자체가 2024년 1,428백만원으로 축소(22년 25,451 → 23년 6,621 → 24년 1,428)
보조 요인(현금흐름·재무상태 맥락):
2024년 사채 계정 소멸(상환 완료)로 순이자비용 부담 완화 측면은 있으나, 수요 둔화에 따른 매출총이익 축소 효과가 압도
요약하면, 스마트폰/디스플레이 수요 둔화 → OCA 등 전자재료 매출/마진 동반 약화 + 재고손실이 2023~2024년 이익 급감의 직접 원인입니다(공시 수치·관리층).
참고사항: 지배주주 변경 내역
변경 시점/방법:
① 2016.05.30 한솔케미칼 SPV(에이치티투자목적)가 테이팩스 지분 99.18% 취득 결정(매각 측: 스카이레이크·칼라일)→
② 2016.08 SPV와 테이팩스 합병을 통해 지분 직접화(50%) 구조 →
③ 2017.10.31 상장으로 공모·희석 반영되어 한솔케미칼 44.89% 기록(공시 ‘신규상장(+)’ 명시).
배경/의미: 한솔케미칼 전자소재 포트폴리오 보강과의 시너지 기대.
현재: 한솔케미칼은 테이팩스를 종속회사로 관리(공시 표현), 지배력 유지.
참고: 그룹 맥락
한솔케미칼-테이팩스 라인은 한솔그룹 전자소재 축의 한 축입니다. 한솔홀딩스 및 그룹 상장사와의 계열 네트워크는 있으나, 테이팩스가 직접 지분을 가진 상장사는 없습니다.
- 테마 적합성: 스마트폰·폴더블(디스플레이 OCA) 및 2차전지 소재(바인더/기능성 테이프)로의 연관성이 직접적입니다. ‘전고체’는 직접 명시가 없어 간접 테마로만 판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실적 둔화는 전자재료 업황·ASP·재고손실이 겹친 구조적/일시적 요인 복합으로 파악됩니다.
- 재무안정성(부채비율)은 2024년 22.9%로 양호, 현금흐름도 영업 CF 흑자 기조 유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