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동양 기업분석/ 시멘트/레미콘, 마스크 테마주/ 재무(당기순이익 큰 적자이유), 최대주주, 관련사(유진기업, 유진투자증권, YTN)/ 25년 공시참조

    작은연못 8 회 2025-09-26

  • 동양(코스피/ 001520)’을 정리했습니다.

    1) 테마 연관성 (시멘트/레미콘, 마스크) + 기타 테마

    시멘트/레미콘

    동양은 레미콘·건재, 건설, 플랜트, 섬유를 영위합니다. 레미콘(건재) 매출 비중이 크고 전국 공급 네트워크를 갖춘 점에서 ‘시멘트/레미콘’ 섹터의 대표 연관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과거에는 시멘트 사업부도 있었으나 2002년 시멘트 부문을 분리(동양시멘트, 현 삼표시멘트)한 이력으로 시멘트 업과의 역사적 연결성도 있습니다.

    마스크(부직포)

    100% 자회사 유진한일합섬MB(멜트블로운)·SB(스판본드) 부직포를 생산하며, 이는 KF 마스크 필터/외피 소재로 쓰입니다. 2021년 MB 부직포 설비 가동, PLA(생분해) 친환경 부직포 상용화 등도 진행되어 ‘마스크’ 테마와의 직접 연관성이 명확합니다.

    기타(미디어·정치 이슈 연동)

    2023~2024년 YTN(040300) 인수 과정에서 유진기업 51% + 동양 49% 출자 SPC ‘유진이엔티’가 사용되었고, 방통위 최대주주 변경 승인으로 사회·정치적 이슈가 부각됐습니다. 결과적으로 동양은 미디어(YTN) 이슈와 연동되어 거론된 바 있습니다(정치테마화 ‘직접’ 지정이라기보다 그룹·SPC를 통한 간접 이슈).

     

    2) 회사 개요

    • 사업: 레미콘·건재, 건설(건축/토목/레저/플랜트), 플랜트(산업용 송풍기), 섬유(아크릴 원사·부직포). 업황상 건설 투자와 연동도가 높습니다.
    • 연혁 포인트: 1976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02년 시멘트 분리(현 삼표시멘트) → 2011년 사명 변경(동양메이저→동양) → 2016년 유진그룹 편입 → 2018년 한일합섬 분할(현 유진한일합섬, 동양 100%).

     

    3) 연결 재무 요약 (에프앤가이드,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767,700             866,300           750,400
    영업이익7,90026,500-900
    당기순이익10,00018,200-74,200
    부채비율(%)        25.539.586.6
    자본금119,900119,900119,900
    자본총계783,500788,200705,200

     

    4) 대주주 지분율 & 유동주식

    최대주주 등(합): 30.44% (기준일 2025-08-26)

    └ 구성: 유진기업 23.78%, 유진투자증권 4.79%, 현대개발 1.45%, 유정민 0.38%, 정진학 0.02%

    자사주: 20.48%

    우리사주조합: 1.52%

    유동주식수/비율: 113,503,072주 / 47.55%

     

    5) 대주주 약력

    • 유진기업(023410): 동양의 최대주주인 유진그룹 지주 겸 건자재 핵심 상장사(국내 1위권 레미콘). 그룹 차원에서 건자재/유통/건설·디벨로퍼/금융까지 다각화.
    • 유경선 회장(유진그룹 총수): 2006년 서울증권(현 유진투자증권)을 인수하는 등 금융 사업 확장, 최근엔 우리금융지주 지분 투자 등 행보로 알려짐.
    • 정진학 사장(동양 대표): 동양 시멘트 분리, 한일합섬 M&A, 2016년 유진그룹 편입 및 2018년 분할 등 그룹 내 구조개편 과정에 관여.

     

    6) 동양과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사

    • 유진기업(023410, KOSPI): 동양 최대주주. 그룹 지주이자 레미콘 1위권.
    • 유진투자증권(001200, KOSPI): 동양 지분 4.79% 보유(특수관계인).
    • YTN(040300, KOSDAQ): SPC 유진이엔티(유진기업 51%+동양 49%)를 통해 최대주주 지위 확보(방통위 승인). 동양은 SPC 지분 49%로 간접 연관.

    • *참고: 유진그룹 계열 TXR로보틱스(484810, KOSDAQ) 상장(2025.3)도 있으나, 이는 동양 직접 연결이 아닌 그룹 내 별도 축입니다.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포함) 및 주요 이벤트(연표)

    • 1976: 유가증권시장 상장. 특례상장 이력 없음(일반 상장).
    • 2002: 시멘트 사업 분리(동양시멘트, 현 삼표시멘트).
    • 2011: 사명 변경(동양메이저 → 동양). 대규모 유상증자 진행(실권 대량 발생).
    • 2014: 액면병합/감자성 주식분할(역분할) 기록(3월 0.2:1, 6월 0.1:1 등, 시장 DB 기준).
    • 2015: 회생채권자 대상 제3자배정 유증(재무 구조정비 맥락). 추가 소규모 유증 공시.
    • 2016: 유진그룹 편입(M&A).
    • 2018: 한일합섬 분할(현 유진한일합섬, 동양 100% 자회사).
    • 2022.5: 레미콘 내 한성레미콘 합병 종료 보고.
    • 2023~2024: YTN 인수용 SPC(유진이엔티) 설립방통위 승인(’24.2). 동양 49% 참여.

     

    참고사항: 2024년 영업적자 전환 & 대규모 순손실의 원인

    핵심은 영업 측면 악화 + 비영업(지분법/손상/이자비용) 충격의 결합입니다.

    영업환경 악화

    건설경기 둔화·부동산 PF 부실 등으로 건설/레미콘 수요·마진이 악화되며 영업이익이 -9억(백만원 환산 -900)로 적자 전환.

    지분법 손실 급증

    사업보고서 정정 공시에 ‘관계기업투자손익 조정 -673억’(백만원 환산 -67,347) 반영. 2023년 +80억 수준에서 2024년 -673억으로 스윙하며 당기손익에 치명타.

    손상차손 인식(자회사)

    2024.3 기사에 따르면 100% 자회사 유진한일합섬 및 그 인니 법인 관련 약 188억원 손상처리가 공시·보도. 이는 연결 순손실 확대 요인.

    금융비용(이자비용) 증가 압력

    2024년 부채총계가 3.1조→6.1조(억원) 수준으로 크게 증가(부채비율 39.5%→86.6%). 금리 환경 속 이자비용 증가는 순손실 확대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음.

    종합하면, 본업 마진 약화(영업)에 관계기업 지분법 손실손상차손·이자비용이 겹치며 순손실 -7,420억원(백만원 -742,000)까지 확대되었습니다

     

    9) 요약

    주요 상장 지분관계

    • 유진기업(023410) – 동양 최대주주(23.78%)
    • 유진투자증권(001200) – 동양 4.79% 보유(특수관계인)
    • YTN(040300) – 유진이엔티(SPC, 유진 51%+동양 49%)를 통해 간접 연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