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센스(357580) 기업 분석입니다.
1) 테마 연관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맥신·무선충전·페라이트)
-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2023.12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와 SOFC 부품 국산화·글로벌 공급망 구축 MOU 체결. 아모센스 역할은 SOFC용 전해질 지지체(세라믹 기판) 공급로 명시됨. 이후 국내 SOFC 부품 국산화 성과 발표 이슈와 함께 관련주로 묶여 거래되었습니다. 2025.6 기사에도 SOFC 세라믹 기판 매출 발생(4분기 예상) 언급이 있습니다.
- 맥신(MXene): 맥신은 고전도·EMI 차폐 특성으로 2차전지·웨어러블·무선충전 등 응용이 활발한 차세대 소재입니다. 아모센스는 맥신 직접 양산을 공식 공시한 바는 없지만, EMI 차폐·무선충전 소재 사업과의 접점, 그리고 “맥신 대량생산 기대” 뉴스에 테마로 연동되며 급등 이력이 반복됐습니다(2023.8·2025.9 특징주). 테마성 연동임을 보수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습니다.
- 무선충전·페라이트: 아모센스는 NiZn 페라이트 시트·초박형 메탈 시트 등 무선충전 차폐 시트 제품을 보유. 과거 비정질 금속 리본+페라이트를 결합한 고출력 하이브리드 차폐시트를 발표했고, 삼성전자·구글 등 모바일·웨어러블 고객사 납품 이슈가 보도되었습니다. 이는 무선충전·페라이트 테마의 직접 근거입니다.
2) 회사 개요·사업
설립: 2008년, 상장: 2021-06-25(코스닥). 소재·모듈·디바이스/플랫폼 3축(무선충전 차폐시트, LTCC·지르코니아 등 소재 / 무선충전·RF·GaN·센서·라이팅 모듈 / IoT 디바이스) 구조. 최근 SOFC 전해질 지지체로 사업 확장.
3) 연결 재무 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액 | 63,000 | 87,500 | 134,200 |
영업이익 | 900 | 800 | 7,200 |
당기순이익 | -900 | -1,400 | 1,700 |
부채비율(%) | 141.37 | 205.02 | 198.96 |
자본금 | 5,600 | 5,600 | 5,600 |
자본총계 | 37,600 | 36,400 | 41,400 |
4) 지분 구조(5% 이상 주주 합산·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 등 합계: 63.83%
김병규 39.55%, ㈜아모텍 18.92%, 이혜란 5.36% 등
우리사주조합: 1.17%
유동주식비율: 35.00%
→ “5% 이상 주주+특수관계인 합계”는 63.83%, 유동주식비율은 35.00%로 확인됩니다.
5) 대주주 약력(요약)
- 김병규: 아모텍 창업주·회장(서울대 금속공학 박·석·학, 1994년 아모텍 설립). 소재·전자부품(MLCC 등) 확대, 다수 학회·단체 활동 경력. 현재 아모센스 최대주주이자 아모텍 최대주주이기도 함(그룹 내 소재·부품 포트폴리오 전개).
6)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 아모텍(052710): FnGuide 스냅샷에 아모텍 18.92% 보유 명시. 최대주주(김병규)가 아모센스·아모텍 모두에서 지분을 보유해 동일 오너 계열 관계. 2024년에는 아모텍 자회사(아모에스넷)를 아모센스가 취득(10억 원 규모)한 거래가 외부 매체에서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가격 적정성·이사회 독립성 이슈 제기).
주: 위 M&A성 거래는 ‘관계사 간’ 내부거래 성격이어서
향후 거버넌스 리스크(이사회 독립성·사익편취 의혹 등) 체크 포인트입니다.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포함)
상장일: 2021-06-25
상장 방식: 기술특례 상장(기관 수요예측 116.79:1, 공모가 12,400원 확정). 시장 수요는 다소 약했으나, 기술특례로 코스닥 입성.
8) 상장 이후 ‘특이 이슈’ 타임라인(주요 공시·거래·이슈)
- 2023-09-05: 추가상장(국내 사모 CB 전환).
- 2024-04~06: 제2·3회차 전환사채(CB) 발행결정·발행결과 공시, 일부 자기 보유 전환사채 조기취득/소각 공시.
- 2024-09-30: 타법인 주식·출자증권 취득 결정(관계사 건).
- 2024-11~12: 전환가액 조정(리픽싱) 공시와 [투자주의] 거래집중 지정.
- 2025-01-14: 전환가액 조정 공시.
- 2025-03-14: 감사보고서 제출.
- 2025-07-16: 제4회차 CB 발행결정,
- 2025-07-18: 증권발행결과(자율),
- 2025-07-24: 만기전 사채취득(자기CB 매입·소각 성격) 연속 공시.
- → CB 발행–리픽싱–부분 취득·소각 흐름이 반복된 점이 재무/주주가치 측면의 핵심 체크 포인트였습니다.
9) 정리
- 본업(무선충전 차폐시트·페라이트·모듈)은 확실하고, SOFC 전해질 지지체는 신사업(성장 옵션).
- 재무는 2024년 매출 성장에도 적자·부채비율 상승·자본 축소가 명확. CB(전환사채) 반복 발행/리픽싱·취득/소각 공시가 잦아, 희석/레버리지 관리를 면밀히 봐야 합니다.
- 거버넌스는 동일 대주주 체계(아모텍·아모센스)에서 관계사 거래 이슈가 수면 위로 오른 전례가 있으니, 내부거래·가격공정성·이사회 독립성 모니터링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