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에이팩트 기업분석/ 온디바이스AI, 반도체장비 테마주/ 최대주주/ **최근 적자 이유/ **재무주의/ 25년 공시참조

    작은연못 13 회 2025-09-22

  • 에이팩트(코스닥 200470) 분석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1) 테마 연관성 (온디바이스 AI · 반도체장비)

    • 후공정 OSAT(패키징·테스트) 전문: 에이팩트는 반도체 패키징과 테스트를 일괄 제공하는 종합 후공정 업체입니다. 고객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으로 확인됩니다. 이는 모바일/엣지 SoC, AI 가속 SoC가 완제품으로 쓰이기 전 필수 공정이므로 온디바이스 AI 보급과 직접 연동됩니다.
    • SiP/PoP 등 차세대 패키지 역량: 회사 소개 레포트에서 SiP, PoP 등 고부가 패키지 확장 기조가 확인됩니다. 온디바이스 AI(스마트폰·엣지 디바이스)에서는 이들 패키지가 NPU/AP+메모리 적층에 핵심입니다.
    • 최근 이슈 연동: 엔비디아가 제시한 차세대 메모리 폼팩터 SOCAMM(소캠) 관련 국내 후공정/기판주 군과 함께 에이팩트가 관련 수혜주로 빈번히 지목되었습니다.

    2) 회사 개요·사업내용

    • 설립/성장: 2007년 SK하이닉스 협력사들의 공동출자로 설립된 후공정 기업. 2022년 에이티세미콘 PKG(패키징) 사업부를 양수해 패키징+테스트 ‘턴키’ 체제로 확장.
    • 주요 고객: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대형 IDM 및 국내외 팹리스.
    • 위치/사업 성격: 메모리·비메모리 후공정(OSAT)로 모바일·서버·스토리지·AI 응용에 납품.

    3) 재무요약 (연결·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

    2022            

    2023                 

    2024

    매출액

    73,646            

    93,742                

    86,723

    영업이익

     4,586              

    -22,880                

    -21,533

    당기순이익

    3,089              

    -16,654                

    -50,773

    부채비율(%)

    86.58              

    113.61               

    194.17

    자본금

    21,181             

    21,181              

    21,181

    자본총계                  

    114,773            

    98,081              

    55,236

    보충: 2024년 실적 악화에는

    4분기 반영된 자산손상차손 24,800백만원(=248억원) 영향이 컸습니다.

    4) 주주구성·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 뮤추얼그로우쓰(유), 지분 55.33% (23,440,780주).

    유동주식비율: 44.66%(지수산정 기준). 임원 등 특수관계인 합산은 미미(0.28% 수준).

    5) ‘뮤추얼그로우쓰’ 최대주주의 실체 (교차검증)

    성격: PEF(사모투자펀드) 오로라파트너스가 에이팩트 인수를 위해 만든 SPC(특수목적회사). 2021년 9월 오로라 동반성장 프로젝트 펀드를 통해 경영권 지분 취득.

    자금 출자·배경: OCI 계열유니드글로벌상사와 유니드(014830 상장)가 LP(유한책임출자자)로 대규모 출자. “오너 일가 → 유니드글로벌상사 → 유니드 → (LP 참여) → 뮤추얼그로우쓰(SPC)”의 연결고리가 다수 보도에서 정리됩니다. 즉, 실제 자금 축/의사결정 축유니드/OCI 계열이 깊게 관여.

    ‘누가 움직이나?’: 운용주체는 오로라파트너스(업무집행사원, GP)이며, 자금력·의사결정 영향유니드글로벌상사·유니드(LP) 측에 큼. 유니드글로벌상사의 최대주주는 이화영 회장(OCI 오너 2세)라는 점이 기사로 확인됩니다. (GP 개인 실명은 공시·공식 페이지에 제한적이므로, 구조상 ‘GP 오로라파트너스 + 주도 LP 유니드 계열’ 축으로 이해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포함)

    상장일: 2014-12-26 코스닥 상장(당시 사명 ‘하이셈’). 특례상장 유형: 해당 사항 없음(일반 상장).

    7) 상장 후 주요 이슈·거래(연혁성 이벤트, 타임라인)

    • 2017-02: 상장 2년 만에 최대주주 변경(동진쎄미켐 외 → 팬아시아세미컨덕터서비스 외).
    • 2021-09~11: 뮤추얼그로우쓰가 지분 25.41% 취득하며 최대주주 등극(이후 추가 변동으로 55.33%). 배후에 오로라파트너스·유니드글로벌상사(OCI 계열) 출자 구조.
    • 2022-10~11: 에이티세미콘 PKG 사업 양수(최종 760억원/자산양수도 720억원 명시 공시)비메모리 패키징까지 턴키 강화.
    • 2023-08~09: 두산테스나와 경영권 매각 협상 진행 → 사실상 결렬 보도.
    • 2024-06: 경영권 매각 절차 착수 보도(오로라파트너스/유니드 계열의 출자 구조 설명).
    • 2024-4Q: 대규모 자산손상차손(약 248억원) 반영 → 2024년 순손실 확대.
    • 2025-07: 전환사채(CB) 101억원 발행(기술 고도화 투자 명목).

    8) 2023~2024년 대규모 적자 원인 (기사들 참조함/ 판단시 주의)

    핵심 4가지가 겹쳤습니다.

    1. 산업 둔화·가동률 저하: 범용 반도체 경기 침체, 가동률 하락으로 매출총이익 악화(원가>매출). 공시성 기사에 “경기 침체 지속”을 변동 원인으로 명시.
    2. 에이티세미콘 PKG 자산 양수 후 초기 안착 과정에서 상각·고정비 부담 확대(’22말 인수, ’23~’24 체질개선 진행).
    3. 자산손상차손(2024년 4Q 약 248억원) 대규모 인식 → 순손실 급증(’24).
    4. 고객 집중 리스크: SK하이닉스/삼성전자 매출 의존이 높아 업황 변동 시 실적 민감도가 큼.

    참고: 2025년 상반기에는 매출 +19.4%, 영업손실·순손실 큰 폭 축소손익 개선 추세가 관측됩니다(별도 기준). 구조개선·해외매출 확대 등을 근거로 제시.

    9) 지배/지분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직접 계열 상장사는 없음으로 파악됩니다(에이팩트 자체 연결 범위 내).

    다만 최대주주(SPC) 배후의 출자축에 유니드(014830, 상장)가 주요 LP로 참여(유니드글로벌상사와 함께). 즉, 직·간접 이해관계 상에 ‘유니드(014830)’가 연결됩니다. (지배·연결 편입은 아님)

     

    결론·요약

    온디바이스 AI/반도체장비 테마 적합: 패키징·테스트 턴키 역량(’22 PKG 인수)과 SiP/PoP 고부가 패키지 확장 → 모바일/엣지 AI 칩 수요와 정합.

    재무는 2024년이 저점: 업황 둔화 + 대규모 손상차손이 결합해 ’24 순손실 확대. ’25 상반기 개선 조짐.

    주주·지배 구조 포인트: 뮤추얼그로우쓰(SPC)가 최대주주(55.33%). 오로라파트너스(GP), 유니드글로벌/유니드(LP)가 자금 및 의사결정의 핵심 축. 유동주식 44.66%.

    특이 이벤트: ’22 PKG 사업 대형 인수, ’23 두산테스나와 매각협상 결렬, ’24 매각절차 착수 보도, ’24 손상차손, ’25 CB 발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