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다날/ 전자결제,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STO, NFT 등 테마주/ 재무, 최대주주/ 대규모 적자이유/ 25년 공시참조

    작은연못 12 회 2025-09-19

  • 다날(064260)

    테마와의 연관성

    • 전자결제/핀테크: 본업은 휴대폰결제(PG)·모바일 인증 등 결제사업. 국내외에서 휴대폰·신용카드·바코드 결제를 영위합니다.
    • 가상자산·스테이블코인: 자회사 다날핀테크와 스위스 PayProtocol AG를 통해 ‘페이코인(PCI)’ 생태계를 운영/연계.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논의도 지속돼 왔습니다.
    • STO(토큰증권): 계열 다날엔터테인먼트가 공연 투자계약증권 등 STO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 콘텐츠 IP와 블록체인을 접목.
    • 음원/음반·모바일콘텐츠: 다날엔터테인먼트(유통·IP)와 과거 모바일 콘텐츠 사업을 통한 테마 연계.
    • NFT: 2021년 전후로 페이코인 지갑 연동 NFT/콘텐츠 실험이 소개되었습니다(시장 상황에 따라 강도는 조절).

    회사 개요·사업구조(요약)

    설립/상장: 1997.07 설립 → 2004.07.23 코스닥 상장(특례상장 아님). 본점 성남시 분당구.

    주요 부문: (1) 전자결제(PG/휴대폰결제), (2) 엔터테인먼트/콘텐츠(다날엔터테인먼트), (3) 푸드테크(다날F&B·로봇카페 ‘비트코퍼레이션’), (4) 블록체인/페이코인(다날핀테크·PayProtocol AG).

    연결 재무 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연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                   

    자본총계

    2024

    260,900

    1,400

    2,900

    140.5%

    34,475      

    310,000

    2023

    295,500

    3,500

    -40,600

    160.5%

    34,475      

    295,500

    2022

    294,900

    -2,800

    -33,800

    125.2%

    34,475     

    332,700

    대주주·유동주식

    최대주주(특수관계 포함): 박성찬 외 1인 17.63%(’21.12.31 기준 공시 표기, 최신 공시에서도 최대주주 지위 유지).

    그 외 5% 이상: 최근 사업보고서상 한국증권금융 2.46%로 5% 미만(과거에는 5%대 보유 시점 존재).

    자사주: 2,159,895주(약 3.13%).

    유동주식수/비율: 54,347천주 / 약 78.8%.

    대주주 약력(요약)

    박성찬 창업자(회장): 1997년 다날 설립, 세계 최초 휴대폰 결제 상용화 주도. 언론 프로필에 따르면 건축 전공, 경영자과정 수료 등 이력. 벤처 1세대로 콘텐츠·결제 혁신에 주력.

    지배관계/지분관계 상장사

    연결 종속회사 중 상장사 0개(비상장 14개; 당기 변동 포함).

    따라서 상장 계열사는 현재 없음(지배·지분관계는 비상장 위주).

    상장 이력

    코스닥 상장일: 2004.07.23

    특례상장 여부: 해당 없음(일반 상장)

    특이 이슈 타임라인(상장 후)

    • 2012: 다날엔터테인먼트 재편(콘텐츠·IP 유통 강화).
    • 2020.10: 비트코퍼레이션(로봇카페) 다날F&B에서 인적 분할 설립. ’21 시리즈A 100억원 유치.
    • 2019~: 다날핀테크·PayProtocol AG 설립/정비, PCI 발행·운영 구조 확립(스위스 SRO 등록).
    • 2023.01~02: FIU가 PayProtocol 변경신고 불수리국내 PCI 결제 서비스 중단. 규제 리스크가 결제·가맹 생태계에 직접 타격.
    • 2021~2023: 정기주총에서 감사 선임 부결(의결정족수 부족) 지속 보고(거버넌스 이슈).
    • 2024.03: 사업보고서 공시(연결 종속·유동화·파생상품 주석 상세).
    • 2025.02: 코빗 연계 방식으로 국내 PCI 결제 재개 시도(규제 구조 변경 반영).

    참고: 2022~2023 당기순손실이 큰 이유

    디지털자산(디지털화폐) 대규모 손상

    2023년 보고서 주석에 디지털화폐 손상 14,459,935천원(약 144.6억원) 인식 내역이 확인됩니다. 크립토 가격 하락·사용성 위축과 연동된 손상 반영으로 보입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파생금융부채 관련 공정가치 변동(P/L 반영)

    행사가격 조정 조건으로 부채 분류된 금융부채(BW) 및 파생금융부채가 상당 규모(유동 72.7억원 등) 계상. 공정가치 변동이 손익에 유의한 변동성을 유발합니다.

    규제 여파에 따른 페이코인 국내 결제 중단(’23.2)

    FIU 불수리로 국내 결제서비스 중단, 결제·정산 트래픽과 관련 부문의 수익성 악화/비용 회수 지연 초래. 관련 생태계의 구조조정 비용·평가손 포함 가능성이 큽니다.

    계열(코인 관련) 손실 지속

    2023년 페이프로토콜AG -134억원, 다날핀테크 -106억원 등 손실 지속 보도. 연결 범위·지분율에 따라 지분법/연결 손익에 부정적.

    기타 이벤트

    (주석) 자산유동화차입금 2,000억원 등 대규모 조달 구조는 금리 환경 악화 시 금융비용 부담 요인. 또한 종속회사 파산(플렉스페이) 등 일회성 요인도 존재.

    요약 코멘트: 2022~23년 적자는 디지털자산 손상파생·CB/BW 평가손, 그리고 페이코인 국내 결제 중단에 따른 사업 위축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됩니다. 2024~25년에는 연계 결제 모델(거래소 연동) 등 구조 변경으로 리스크를 낮추는 시도가 관측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