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로보스타 기업분석/ 로봇, 반도체장비, OLED, 3D프린터, 4차산업 테마주/ 재무, 최대주주(LG전자)/ 25년3월 공시참조

    작은연못 12 회 2025-09-18

  • 로보스타(090360) 분석입니다.

    1) 테마 편입·연관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로보스타는 SCARA·수직다관절·직각좌표(리니어) 등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보유·제조하며, 공장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 협동로봇(RB 시리즈) 레퍼런스가 업계 기사로 확인됩니다.

    지능형로봇/인공지능: 자사 소개에서 머신러닝·컴퓨터비전 기반 소프트웨어·지능형 모션 보정 등 “AI 융합 자동화”를 강조. 스마트팩토리용 통합 솔루션을 지향합니다.

    반도체장비: EFEM, 웨이퍼 트랜스퍼 로봇, 로더/언로더 등 반도체 이송·핸들링 핵심 모듈을 공급.

    OLED/디스플레이: 대형 유리기판(Glass) 이송 로봇 등 디스플레이(특히 OLED) 공정용 이송 로봇 포트폴리오를 보유.

    3D프린터: 직접 3D프린터 완제품을 주력으로 하진 않지만, 정밀 모션·로봇/스테이지 기술이 적층제조(3D프린팅) 장비의 핵심 구동·정렬 기술과 맞닿아 있어 시장에서 관련 테마로 분류되곤 합니다(테마 분류 관행 차원의 언급).

    4차산업 수혜주: 로보스타는 로봇·시스템엔지니어링 2개 축으로 스마트팩토리·반도체·2차전지·디스플레이 수요 수혜 포지셔닝. FnGuide 기업요약에도 동사 사업 포지션이 명시됩니다.

    2) 회사 개요·사업

    • 법인 개요: 1999년 설립, 2011년 10월 17일 코스닥 상장(특례상장 아님). 본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인로 700.
    • 사업부문: (1) Robot(산업용 로봇 제조) (2) System Engineering(라인 자동화·스마트팩토리 구축).
    • 주요 제품/솔루션: SCARA·수직다관절·리니어/가니트리 로봇, 반도체 EFEM/웨이퍼 이송 로봇, 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이송 로봇, 컨트롤러/정밀스테이지 등.
    • 종속회사: 중국 상하이 법인 ROBOSTAR(SHANGHAI) Co., Ltd. 보유(비상장).
    • 최근 경영: 2024-03-22 배병주 대표이사 선임(이병서 전 대표 임기만료 후). 2025년 반기보고서·IR 공지에서도 대표이사 ‘배병주’로 확인.

    3) 재무 요약(연결,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143,200            102,700           89,100
    영업이익1,8001,100100
    당기순이익3,3007002,200
    부채비율(%)            51.7628.8822.40

    4) 대주주 지분(5%+ 특수관계인 합계)·유동주식비율

    • 5%+ 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인) 합계: 33.41% (LG전자 외 1인). (최종변동 2023-03-28)
    • 유동주식비율(보통주): 66.59% (유동주식수 6,492,500주 / 발행주식 9,750,000주).

    5) 대주주 약력 (‘법인 대주주’ 개요 + 현 대표 프로필)

    • 법인 대주주: LG전자(066570) — 2018년 로보스타 지분 인수 후 최대주주(현재 약 33.4%). LG전자는 생활가전·HE·VS·BS 등 글로벌 전자기업으로, 로봇·AI를 신성장축으로 육성하며 로봇 M&A/지분투자를 지속 시사.

    • 배병주 대표(로보스타) — 2024-03 선임. 1999년 LG전자 입사 후 물류·차부품장비 등 기술·생산조직을 거친 제조·자동화 전문가. 취임 후 ‘로봇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을 추진.

    6) 지배·지분관계에 있는 상장사

    • LG전자(066570, KOSPI) — 로보스타 최대주주(33.41%). (동사가 지배하는 상장 자회사 없음/종속사는 비상장 위주)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 상장일: 2011-10-17(코스닥). 특례상장: 해당사항 없음(일반 상장).

    8)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 타임라인

    • 2018-05-29: LG전자, 최대주주 지분(김정호 외 1인 보유 97.8만주) 인수 계약 체결(12.54%). 동시 3자배정 유증 계획 공시.
    • 2018-07-17: 최대주주 변경 → LG전자. 2018-07-30: LG전자 배정 신주 1,950,000주 상장(자본금 48.8억). 이후 지분을 33.4%까지 확대.
    • 2021-03-19: 대표이사 이병서 선임(전 두산로보틱스 대표) — 기업 리포트/업계기사.
    • 2024-03-22: 대표이사 배병주 선임(이병서 임기만료). 이후 스마트팩토리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편 강조.

     

    표 – 주주구성(요약)

    항목보통주(주)지분율(%)                 기준일
    최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인)           3,257,500            33.412023-03-28
    유동주식수6,492,50066.592025-06 기준(지수산정)
    발행주식수9,750,000100.00최근 Snapshot

     

    기타

    • 테마 적합성: 반도체 EFEM/웨이퍼로봇·OLED 유리이송 등 장비-공정 이송핵심 역량이 명확해, 로봇·반도체장비·OLED 테마에 “직접성”이 높은 편입니다. AI/지능형로봇·4차산업 수혜는 스마트팩토리 포지션을 통한 간접/확장 스토리로 보는 게 타당합니다.
    • 지배구조: LG전자 33.4% 단일 대주주 체제(특수관계 포함)로 비교적 단순. 유동비율도 66.6%로 유통물량이 적지 않아 수급 탄력성(뉴스·M&A 모멘텀)에 반응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