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블루(207760)를 “웹툰·모바일콘텐츠·모바일게임” 3대 테마 관점에서 정리하고, 최근 3개년 연결재무, 대주주·유동주식, 상장 이력/특이 이벤트까지 정리했습니다.
1) 테마 연관성
- 웹툰: 자체 플랫폼(미스터블루)에서 웹툰·만화·웹소설을 제작·유통. 원천 IP를 제작·확보해 2차 저작물 확장까지 추구하는 구조라 ‘웹툰 본업’ 노출이 큼. 2022년엔 웹소설 제작사(영상출판미디어·데이즈엔터) 인수로 IP 풀을 확장.
- 모바일콘텐츠: 콘텐츠 B2C(자체 앱/웹)와 B2B 유통을 병행. 국내외 직계약·수급라인을 통한 수직계열화가 특징(플랫폼·출판·유통 일관).
- 모바일게임: 2018년 게임부문을 물적분할해 블루포션게임즈 설립(‘에오스 레드’ 등 운영/개발). 2023년 NH투자증권과 IPO 대표주관사 계약 체결로 상장 추진 이슈가 살아있음.
2) 회사 개요·사업 구조(요약)
- 사업축: (1) 디지털 만화/웹툰/웹소설 제작·유통, (2) 게임 개발·퍼블리싱(자회사 블루포션게임즈). IP를 중심으로 제작→유통→2차저작물로 이어지는 IP 융복합 모델.
- 최근 조직 변화: 2024.5 데이즈엔터(존속)–영상출판미디어(소멸) 합병 결의(7/1 효력)로 웹소설 제작 부문 일원화·비용 효율화 추진.
3) 연결 재무 요약 (단위: 백만원, 최근 3년)
구분 | 2022 | 2023 | 2024 |
매출액 | 77,200 | 74,100 | 70,300 |
영업이익 | 7,400 | 700 | -13,600 |
당기순이익 | 3,100 | -11,200 | -16,700 |
부채비율(%) | 99.87 | 107.07 | 61.61 |
2024년은 신작·조직개편 과정과 자회사 성과 둔화 영향으로 적자.
다만 부채 축소로 부채비율은 61.6%까지 낮아졌습니다.
4) 주주 구성·유동주식비율
5% 이상+특수관계인 합계(지분공시 기준):
조승진 외 2인 53.42%
하베스트제3호 사모투자합자회사 8.86%
(참고) 자사주 0.84%
→ 5%이상 주주 합산(최대주주 측+PEF) 기준 약 62.28% 집중
유동주식비율: 45.74%
5) 대주주(오너/대표) 약력
조승진 대표이사: 연세대 재료/요업공학 전공 →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 근무 → 2002년 미스터블루 창업·대표(온라인 만화 플랫폼 개척). 엔지니어 출신으로 플랫폼/콘텐츠 수직계열화 구축을 주도.
6) 지배·지분 관계(상장/비상장)
- 지배회사(미스터블루) 아래 주요 종속회사(비상장): 블루포션게임즈, 데이즈엔터(구 동아미디어), 영상출판미디어(2024.7.1 합병으로 소멸), 그 외 일부 국내외 법인. 직접 지배하는 상장 자회사는 없음(’25 상반기 공시·IR 기준).
7) 상장 이력
- SPAC 합병 상장(우회상장): ‘동부제2호스팩’과 2015.11.06 합병기일, 2015.11.23 코스닥 신규상장(웹툰/만화 전문 기업 최초 상장 케이스로 주목).
8)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 타임라인
- 2018.10: 게임사업부 물적분할, 블루포션게임즈 설립(게임 내재화).
- 2019.08~: ‘에오스 레드’ 흥행으로 게임 부문 캐시카우화.
- 2022.02.18: 영상출판미디어·동아미디어(현 데이즈엔터) 인수(웹소설 제작사 편입, IP 풀 확장). 인수대금 조달을 위해 BW·CB 병행 발행.
- 2022.12.19: 무상증자(1→3, 2:1) 권리락(기준가 2,610원) 실시.
- 2023.08.30: 블루포션게임즈, NH투자증권과 IPO 대표주관사 계약(자회사 상장 추진 이슈 부각).
- 2023.11.06: 자사주 신탁(20억원) 공시—주주환원 활동.
- 2024.05.13: 데이즈엔터(존속)–영상출판미디어 합병 결의(7/1 효력)—웹소설 제작부문 통합·효율화.
- 2024~2025: ‘에오스 블랙’ 사전예약 200만(회사 코멘트)—게임 신작 모멘텀 강조.
9) 메모: 투자 관점 핵심 체크포인트
- 실적 스프레드: 2024년 연결 적자(영업·순손실) vs 부채비율 하락—자회사 통합 효과·신작 성과가 2025년 이후 손익 정상화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추적 필요.
- IP 체인: 웹소설(데이즈엔터)–웹툰–게임(블루포션)로 이어지는 IP 밸류체인 내재화의 성과(양질 IP 히트, 2차저작물화, 글로벌화).
- 자회사 이슈: 블루포션게임즈 IPO 진척도(예심·청구/철회), 신작 라이브 성과가 그룹 밸류에 미치는 영향.
기타) 요약 정리표
A. 테마 매핑
테마 | 연결 고리 | 증거/근거 |
웹툰 | 자체 플랫폼·제작/유통, 웹소설 제작사 편입(‘22) | 공시/가이드에서 IP 융복합·제작·유통 명시 |
모바일콘텐츠 | B2C 앱/웹·B2B 유통·수직계열화 | 경영진 인터뷰·회사 소개 |
모바일게임 | 블루포션게임즈(‘18 분할)·신작 파이프라인 | 자회사 IPO 추진·회사 코멘트 |
B. 연결 재무(백만원) / 위 표 참조
C. 주주·유동주식
구분 | 주체 | 지분율 | 비고 |
최대주주 등 | 조승진 외 2인 | 53.42% | 2022/12/19 기준 |
5%+ 주주 | 하베스트제3호 PEF | 8.86% | 2024/05/31 |
자사주 | — | 0.84% | 2024/05/31 |
유동주식비율 | — | 45.74% | 에프앤가이드 산식 |
| | | |
D. 상장/특이 이벤트(요약)
일자 | 이벤트 |
2015-11-23 | 동부제2호스팩 합병 통한 코스닥 상장(우회상장) |
2018-10 | 블루포션게임즈 분할 설립(게임 내재화) |
2022-02-18 | 영상출판미디어·동아미디어(현 데이즈엔터) 인수(웹소설 제작 편입) |
2022-12-19 | 무상증자 2:1 권리락(기준가 2,610원) |
2023-08-30 | 블루포션게임즈, NH증권과 IPO 대표주관사 계약 체결 |
2024-07-01 | 데이즈엔터(존속)–영상출판미디어(소멸) 합병 효력 발생 |
참고사항 : 23~24년에 수익성이 무너진 “주요 원인”
2023년: 흑자 축소·순손실 확대의 구조
회사 공식 공시(‘매출/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매출) 게임 매출 감소 + 콘텐츠 업계 과다 경쟁으로 외형 압박,
(비용) 신작 개발 및 사업영역 확장으로 판관비 상승,
(비현금) 영업권 손상차손 인식(= 손익악화 요인).
비영업(순이익) 측 요인: 2022년에 발행했던 전환사채·BW 관련 파생금융부채 평가손실이 2023.2.7 자율공시로 확인(구조적으로 변동성이 큰 항목). 이런 항목은 주가·전환가 변동에 따라 순손익을 흔드는 고정 리스크로 작용.
2024년: 영업이익 대폭 적자 전환(–143.6억)과 순손실 확대(–158.6억)
- 회사가 인정한 1차 원인: 국내 웹소설 경쟁 심화(플랫폼·CP 간 출혈 경쟁)와 모바일게임 이용자 감소 → 톱라인 약화.
- 결정타(게임 부문): 자회사 블루포션게임즈의 신작 〈에오스 블랙〉이 기대만큼 흥행하지 못해 마케팅비/운영비 부담이 커졌고, 개발 과정에서 자산으로 쌓였던 개발비가 출시 후 상각·비용화되며 한꺼번에 영업비용이 튀는 구조가 발생. (더벨: “상장 이래 첫 적자, 신작 개발비 자산화→출시 후 상각이 역풍”)
- 믹스 악화도 컸습니다. 과거엔 고마진이던 ‘에오스’ 계열 게임 매출이 이익을 받쳤는데(2019~20년 게임 영업이익률 고점), 24년엔 게임 기여가 약해지며 총마진이 급격히 희석.
- 숫자 확인(잠정/확정 공시 요약): 2024년 연결 영업손실 –143.6억, 순손실 –158.6억으로 발표.
보조 증거·맥락
- 블루포션게임즈 2023년 자체 실적도 영업적자(신작 전 준비 국면). 2024년 6월 〈에오스 블랙〉 론칭 직후 초반 순위 진입은 있었으나, 연간으로 수익화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우세.
- 2023년 공시에서 이미 신규개발·사업확장 비용 증가 + 영업권 손상이 명시돼 있었고, 2024년엔 여기에 신작 상각/마케팅 발생 타이밍이 겹치며 영업이익이 큰 폭의 마이너스로 전환.
정리
- 23년: 시장 경쟁 심화(특히 웹소설) + 게임 매출 둔화로 외형이 흔들리는 가운데, 신규개발·확장비용과 영업권 손상(비현금)이 겹쳐 순이익이 크게 악화.
- 24년: 웹소설 경쟁·게임 DAU 하락으로 매출 압박 지속 + 〈에오스 블랙〉의 마케팅/운영비 부담과 개발비 상각(출시 후 비용화)이 한꺼번에 반영되며 영업적자 대폭 확대. (공시·언론 모두 같은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