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륭물산, 코스닥, 014970
1980년에 식품 위생용 종이·용기 제조업으로 설립된 카톤팩(우유팩) 전문업체입니다. 경기도 파주시(공장·본사)에 기반을 두고 있고, 플라스틱 식품용기/의료용 수액필름/합성도료를 하는 비상장 종속회사 2개(SR테크노팩, SR케미칼)를 두고 있습니다.
1. 테마 연관성
1) 탈 플라스틱(친환경) 테마
사업 자체가 ‘플라스틱 대체 포장’
주력 제품인 카톤팩은 우유·주스 등 액체식품을 담는 종이 용기이며, 기존 플라스틱병·비닐 포장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으로 분류됩니다.
종속회사 SR테크노팩은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소재 ‘GB-8’ 개발·미국 FDA 인증 등을 통해 친환경 소재 포장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정책 테마와의 연결
정부의 폐플라스틱 감축 정책(플라스틱 빨대·컵 규제 등)과 함께, 친환경 포장재 기업(카톤팩·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소재)로 각종 리포트와 기사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됩니다.
최근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탈플라스틱 로드맵’ 추진 발언 이후, 탈플라스틱 관련주로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 요약하면, 카톤팩·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소재라는 제품 특성과 정부의 플라스틱 규제 정책/탈플라스틱 공약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테마에 편입된 상황입니다.
2) DMZ 평화공원 테마
- 삼륭물산은 파주시 월롱면 통일로 일대에 본점 및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 공장부지와 주변 토지 위치 때문에 ‘DMZ 인근 토지 보유주’로 분류되며 DMZ 평화공원·남북경협 관련주 테마에 묶여 있습니다. (테마 사이트에서 DMZ 평화공원·비무장지대 수혜주로 언급)
→ 남북관계 개선·DMZ 개발 이슈가 부각될 때 보유 토지 가치 상승 기대감으로 테마성 수급이 붙는 구조입니다.
3) 그 밖의 테마성 이슈
- 일부 테마 분류 사이트에서는
- 일본 불매/수출규제 관련주: 국내 포장재 공급망 강화, 수입 대체 기대감 측면에서 언급.
- 정치 테마로는 최근 기사들에서 탈플라스틱 공약(이재명 정부 정책)과 연동된 정책 수혜주 정도로 언급됩니다.
2. 회사 일반 사항 및 사업 개요
1) 기본 정보
- 상호: 삼륭물산 주식회사 (SAMRYOONG Co., Ltd.)
- 설립일: 1980.08.25
- 상장일: 1992.12.22 (코스닥, 일반 상장, 특례상장 아님)
- 본점·공장: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통일로 644번길 35
- 업종: 코스닥 종이·목재 / FICS 분류 ‘용기 및 포장’
- 종속회사 수(연결): 2023년 3개 → 2024년 2개 (마켓포투모로우를 SR테크노팩에 흡수합병)
2) 사업 구조
지배회사(삼륭물산 본체)
주요 사업: 위생용 포장용기(액체음료용 카톤팩) 제조·판매, 부동산 임대업 등.
카톤팩 시장은 삼륭물산·한국팩키지·에버그린패키징코리아·삼영화학 등 4개사가 과점하는 구조로, 우유·주스·음료 OEM 업체에 100% 주문생산 방식으로 공급.
주요 종속회사 – 에스알테크노팩(주)
사업: 무균밥 용기(CJ 햇반 등), 커피음료컵 등 식품용 플라스틱 용기 및 필름, 의료용 수액필름 제조.
충남 천안 공장에서 의료용 수액필름을 중국·인도 등 아시아와 유럽·중동·남미 제약사로 수출.
정부의 플라스틱 감축 정책에 대응해 친환경 포장소재 개발(GB-8) 및 인증 취득.
종속회사 – 에스알케미칼(주)
합성 도료·잉크·코팅제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도료 연구·생산.
과거 종속회사 – 마켓포투모로우(주)
배달용기 쇼핑몰 ‘PACKUS’ 운영(플라스틱 용기 통신판매).
2024.02.01 SR테크노팩에 흡수합병(100% 자회사 간 합병, 신주 발행 없음).
3. 연결 기준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90,280 | 86,280 | 94,050 |
| 영업이익 | -1,172 | 1,179 | 5,786 |
| 당기순이익* | -2,622 | 2,026 | -5,943 |
| 자산총계 | 112,471 | 104,709 | 98,684 |
| 부채총계 | 52,857 | 44,515 | 47,010 |
| 자본금 | 7,563 | 7,563 | 7,563 |
| 자본총계 | 59,614 | 60,194 | 51,674 |
| 부채비율(%) | 88.7 | 74.0 | 91.0 |
- 매출은 900억 내외의 박스권,
- 영업이익률은 1~5% 수준의 저마진 구조이며
- 순이익은 2020년 이후 흑자·적자를 반복하는 패턴입니다.
4. 매출 구조 (제품·사업별)
정확한 제품별 금액은 사업보고서의 “사업의 내용 – 매출현황” 표를 봐야 하지만, 공개 리포트·기사 기준으로 정리하면:
카톤팩(우유·음료용 종이팩)
삼륭물산 단독(별도) 매출의 약 99%를 차지하는 주력 사업.
연결 기준 매출에서도 약 55% 내외를 차지한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식품용기·무균밥 용기·커피컵·의료용 수액필름 (SR테크노팩)
2023년 기준, 에스알테크노팩 매출이 432억 원(연결 매출의 약 절반) 수준으로 추정된다는 기사.
도료·코팅제(에스알케미칼), 임대업 등 기타
연결기준으로는 한 자릿수 비중으로 추정(매출 규모는 수십억 원 수준).
→ 요약 구조(대략적인 비중)
카톤팩(우유팩 등 종이용기): 50~60%
플라스틱 식품용기·의료용 수액필름: 30~40%
기타(도료·임대 등): 10% 미만
(정확한 연도별 비율은 사용자가 직접 사업보고서 ‘매출액 및 판매량’ 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대주주 및 지분 구조
1) 5% 이상 주주 및 특수관계인(최근 공시 기준)
2024.05.29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일반)에 따르면,
대표보고자 조홍로(1975년생)이 최대주주이며,
특수관계인(가족 및 재단, 임원 등)을 포함한 지분율은 79.97%입니다.
2025년 주주총회 관련 공시에서 확인되는 주요 보유 현황(일부):
신지영: 746,910주 (약 4.9%)
조혜진: 716,500주 (약 4.7%)
(재)용운장학재단: 700,000주 (약 4.6%)
→ 이들을 포함한 ‘조홍로 외 특수관계인’ 합산이 79.9% 수준이고, 개인별 지분은 조홍로 > 가족 > 재단 순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개인별 %는 일부 공시에서만 제공되고, 이후 상속 정리 과정에서 약간 변동 가능성이 있어 여기서는 합산치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2) 의결권 구조 및 유동주식
- 발행주식수: 15,125,000주, 액면 500원 (자본금 7,562,500,000원)
- 자기주식: 약 300,000주(1.9% 수준) – 분기보고서 주식총수 표 기준.
| 구분 | 지분율(추정) | 비고 |
| 최대주주 등(조홍로 외 특수관계인·재단) | 약 80.0% | 대량보유보고서 기준 합산 |
| 자기주식 | 약 1.9% | 30만주 수준 |
| 유동주식(기타 주주) | 약 18.1% | 나머지 |
→ 유동주식비율이 20% 미만이라 거래량이 작고, 수급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구조입니다.
6. 대주주(오너) 약력 – 조락교 & 조홍로
1) 창업주 조락교 (별세)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1980년 삼륭물산을 설립.
카톤팩 사업을 국내에 안착시키며, 서울우유 등 주요 유업체와 장기 거래관계를 구축.
장학재단(용운장학회, 연경장학재단)을 설립해 공익 활동도 병행.
2024.01.13 별세 후, 보유 지분이 상속되면서 최대주주가 아들 조홍로로 변경.
2) 현 최대주주·대표이사 조홍로
1990년대 중반 이후 회사에 입사해 생산·경영 전반을 담당, 2011년 1월 대표이사 취임 후 현재까지 경영.
1975년생으로 공시상 국적은 대한민국, 최대주주로서 경영권 행사 목적의 지분 보유.
장학재단인 용운장학회·연경장학재단 이사장으로도 활동, 창업주의 공익 사업을 승계하는 모습.
운영주체
지분 80% 내외를 가족·재단과 함께 보유한 절대 지배 구조로, 외부 세력의 경영권 위협이 사실상 없습니다.
관련 인물
모친 허태화, 가족(신지영, 조혜진 등), 장학재단, 사내이사·감사 등이 특수관계인 그룹을 형성.
투자·사업방식(추론)
장기 보유·내부 유보형: 잦은 유상증자·CB/BW를 활용하기보다, 안정적 영업현금흐름과 은행 차입에 기반한 투자. CB·BW 잔액이 0이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M&A를 통한 사업 다각화: SR테크노팩·SR케미칼·마켓포투모로우 인수를 통해 종이팩 → 플라스틱 용기·의료용 필름·도료로 저변을 확대.
친환경·ESG 방향성: 정부의 탈플라스틱 정책에 맞춘 친환경 소재(GB-8 등)와 의료용 특수필름 개발에 R&D·CapEx를 집중.
7. 지배관계·계열사 중 상장회사 존재 여부
- 사업보고서 및 IR 리포트에 따르면, 삼륭물산의 종속·관계기업은 에스알테크노팩(주), 에스알케미칼(주)(및 과거 마켓포투모로우) 등 모두 비상장사입니다.
- 공시·IR 자료, 테마 리포트를 찾아봐도 타 상장사와 지배·지분 관계를 가진 사례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투자지분으로 상장 주식을 일부 보유했을 가능성은 있으나, 지배력 행사 수준은 아님.)
→ 결론: 삼륭물산은 오너일가·재단·자회사들로 구성된 독립적인 중견 그룹이며, 다른 상장사와의 지배관계는 현재 확인되지 않습니다.
8. 상장 이력·자본 변동·특이 이벤트 (타임라인 중심)
(1) 오래된 이력 포함 주요 이벤트
- 1980: 삼륭물산 설립(위생용 종이상자·용기 제조).
- 1992.12.22: 코스닥 상장(특례상장 아님).
제3자배정 유상증자(예: 2010년 4월 50만주, 10,020원 등).
과거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한 흔적은 있으나, 현재 잔액은 0 (최근 재무제표에서 CB·BW 잔액이 모두 0으로 표기).
- 2011.01: 조홍로 대표이사 취임.
- 2010년대 중반: 에스알테크노팩·에스알케미칼 등 인수·자회사 편입.
- 2018.06: 파주 물류창고 화재 등으로 일시적인 설비 피해(관련 기사 다수).
(2) 최근 5년(2020~2024년) 주요 이벤트
| 연도 | 주요 사항 |
| 2020 | 매출 869억, 영업이익 20억, 순손실 55억 기록 – 펄프·수지가 등 원재료 가격 상승과 COVID-19 영향으로 수익성 악화. |
| 2021 | 매출 877억, 영업이익 9억, 순손실 13억 – 저마진 구조 지속.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GB-8’ 개발 및 인증 등 ESG 투자 강화. |
| 2022 | 매출 903억, 영업손실 12억, 순손실 26억 – 원가 부담·감가상각 등으로 적자 확대, 부채비율 88.7%. |
| 2023 | 매출 862.8억, 영업이익 11.8억, 순이익 20.3억으로 흑자 전환. 카톤팩 가격 인상·원가 안정·SR테크노팩 실적 개선 영향. |
| 2024 | 매출 940.5억, 영업이익 57.9억이지만 순손실 59.4억 – 영업 외 비용(금융비용, 평가손실 등)과 감가상각·손상 인식 추정. 동시에 마켓포투모로우 흡수합병, 최대주주 상속 및 변경, 자기주식 취득 등 중요한 이벤트 다수. |
(3) 지배주주 변경 이벤트
2024.01.15 – 최대주주 변경 예정 공시
기존 최대주주: 조락교 외 5인, 지분 79.94%.
사유: 조락교 회장 별세 → 향후 상속 절차 완료 후 최대주주 변경 예정.
2024.05.27 – 상속 완료, 최대주주 변경 공시
기존: 조락교 외 5인 → 변경 후: 조홍로 외 4인.
2024.05.29 –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대표보고자: 조홍로(75년생).
보고 후 지분율: 79.97%.
(재)용운장학회: 신규로 4.63% 기재(상속 구조상 일부 지분이 재단으로 이동).
→ 핵심:
상속을 통해 지분 구조가 “조락교 중심 → 조홍로 + 재단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여전히 총 지배력은 80% 수준으로 매우 견고합니다.
9. 2020년 이후 자주 발생한 순손실(적자) 원인 분석
수치와 공시를 종합해 보면, 적자 원인은 “구조적인 저마진 + 원가·비용 변동 + 영업 외 손실” 3가지가 겹친 결과로 보입니다.
저마진 구조
카톤팩·식품·의료용 포장재는 중간재·OEM이라 단가 협상력이 낮고, 대형 유업체·식품회사(소비자)와의 장기계약 구조 속에서 마진이 낮게 형성됩니다.
IR 리포트 기준 2020~2022년 영업이익률은 1~2% 안팎 또는 적자 수준.
원재료·에너지 가격 상승
펄프·알루미늄·플라스틱 수지 등 원재료와 에너지 가격이 2020~2022년 지속 상승했지만, 납품단가 전가가 지연되면서 매출은 비슷한데 매출원가율이 악화 → 영업이익 축소.
감가상각·투자 부담
SR테크노팩의 의료용 필름 설비 증설 등으로 설비투자 규모가 커지고 감가상각비가 증가, 저마진 구조에서 이 비용을 충분히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업 외 손실 및 금융비용
2024년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순손실이 크게 난 점은, 금융비용(이자비용)·환차손·투자자산 평가손실·세금비용 등 영업 외 요인이 컸다는 뜻입니다(사업보고서 추정).
수요 측면 – 우유·음료 소비 감소
저출산·대체음료 증가 등으로 우유 시장이 정체/감소하는 가운데, 우유팩 비중이 높은 삼륭물산은 볼륨 성장이 제한되는 구조입니다.
→ 종합하면,
2020~2022년: 매출은 유지되나 원가·감가상각·이자비용 등 비용 증가 → 반복적인 순손실.
2023년: 카톤팩 단가 인상·원가 안정으로 일시적 흑자 전환.
2024년: 매출·영업이익 개선에도 불구하고 영업 외 손실과 일부 일회성 비용으로 대규모 순손실.
10. 전환사채·기타 부채 및 자금 흐름
CB/BW 등 메자닌 잔액: 현재 0
Valueline·재무상태표에서 최근 수년간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잔액이 모두 0으로 확인됩니다.
과거 반기보고서에는 미행사 신주인수권부사채 관련 표가 있으나, 최근에는 만기·상환 또는 행사로 인해 계정이 사라졌습니다.
주요 차입 구조
2024년 말 기준, 차입금은 모두 일반 은행차입(단기·유동성 장기차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동이자부 차입금 규모는 50억 원 수준(100bp 금리 상승 시 이자비용이 연 5,000만 원 증가하는 민감도).
부채총계 47,010백만원, 부채비율 91% 수준으로 레버리지 부담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자기주식 취득
2024.04.25 이사회에서 자기주식 취득 결의(규모는 공시 참조). 이는 오너일가 지배력 강화 + 주주가치 제고 시그널로 볼 수 있습니다.
→ 요약:
최근 몇 년간 삼륭물산은 CB/BW 등 메자닌을 활용하지 않고,
은행 차입 + 내부 유보 + 일부 자기주식 취득 중심으로 자본정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메자닌 리픽싱 리스크는 사실상 없고, 금리·환율·원자재 가격에 따른 일반적인 레버리지 리스크만 존재합니다.
11. 투자 시 고려해야 할 핵심 포인트
장점·모멘텀 요인
국내 카톤팩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가진 선도 업체.
SR테크노팩을 통한 무균밥용기·의료용 수액필름 등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
정부 탈플라스틱 로드맵·친환경 포장 정책, 남북경협/DMZ 이슈 등 정책·테마 모멘텀
신용등급 A-를 5년간 유지 – 재무구조는 비교적 안정적.
리스크 요인
우유팩 중심의 수요 정체·감소(저출산, 대체음료) → 성장성 제한.
저마진 구조 + 원가 변동으로, 매출이 유지돼도 순이익이 크게 흔들리는 체질.
대주주·특수관계인·재단이 80% 내외를 보유하는 극단적 소수지분 구조 →
지배구조 투명성·소액주주 친화 정책이 중요,
유동성 부족으로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테마주 성격: DMZ·탈플라스틱 이슈로 단기 급등·급락이 빈번, 펀더멘털과 괴리될 수 있음.
체크 포인트
향후 우유팩 외 포장재(의료용 필름,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의 매출 비중 확대가 실제로 얼마나 진행되는지.
2024년 큰 순손실을 낳은 영업 외 손실(손상차손, 평가손실 등)의 일회성 여부.
자기주식 취득 이후 배당 정책·주주환원 전략 변화.
DMZ 토지·부동산 가치를 활용한 비핵심 자산 매각 or 개발 계획 여부.
마무리
요약하면, 삼륭물산은 “우유팩 + 무균밥·수액필름”을 축으로 한 포장재 중견업체로,
- 재무구조는 비교적 안정적(A- 등급)이지만
- 저마진 구조와 수요 정체, 영업 외 손실 때문에 순익 변동성이 크고,
- 지배력 집중·유동성 부족, 테마주 성격이 동시에 존재하는 회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