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인스투루먼트 (코스닥/ 215790)
1) 테마 연관성 (우크라이나 재건·5G·통신장비, 기타 테마)
- 통신장비/5G: 이노인스트루먼트의 주력은 광융착접속기(Fusion Splicer), 광섬유 절단기(클리버) 등 광통신 시공 장비입니다. 5G/FTTx, 데이터센터·백본망 증설에서 필수 툴이라 통신장비·5G 테마와 직접 연결됩니다(제품 매출이 전부 광통신 시공용) .
- 우크라이나 재건: 전쟁 후 광통신 인프라 재구축(지하/지상 광케이블 신규 포설·복구) 수요가 핵심인데, 광융착접속기는 광케이블 접속 공정의 표준 장비이므로 재건 테마와 논리적으로 연결됩니다(장비 카테고리상 직접 수혜 가능성).
- 기타 특이 테마: 사업목적에 수상운동용구 장비(e-foil) 가 포함되어 있고, 매출도 소규모 발생(’24년 236백만원, 0.6%)—레저/스포츠(퍼스널 모빌리티) 테마로 가끔 언급될 수 있습니다 .
2) 회사 일반사항 & 사업개요
- 법인명/대표: ㈜이노인스트루먼트 / 대표이사 한혁
- 상장: 코스닥, 2017-05-08(스팩(NH기업인수목적5호) 합병상장, 특례상장 아님) .
- 본점: 인천 연수구 송도미래로 30 송도스마트밸리 E-2206
- 주요사업: 광융착접속기/클리버 등 광통신 시공장비 제조·판매, 일부 e-foil 레저장비, 계측기기 임대/서비스 등 .
3) 연결 재무요약(단위: 백만원, 최근 3년)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49,851 | 43,872 | 41,175 |
| 영업이익(손실) | 2,919 | (18,881) | (27,454) |
| 당기순이익(손실) | 5,622 | (18,086) | (39,432) |
| 부채총계 | 30,694 | 32,083 | 35,921 |
| 자본총계 | 98,164 | 79,393 | 42,690 |
| 부채비율(=부채/자본) | 31.3% | 40.4% | 80.1% |
| 자본금 | 20,142 | 20,142 | 20,142 |
3-1) 매출구조(제품·서비스 비중, 2024년 연결, 단위: 백만원)
| 구분 | 금액 | 비중 |
| 광융착접속기 | 24,518 | 59.5% |
| 광섬유절단기(클리버) | 2,997 | 7.3% |
| 기타 광통신장비/부품/서비스 | 13,423 | 32.6% |
| 워터스포츠(e-foil) | 236 | 0.6% |
| 합계 | 41,175 | 100% |
근거: “주요 제품 등의 현황(연결)” 표 .
4) 주주 구성(5%+ 포함)·유동주식비율
- 최대주주: 조봉일 25.72%
- 특수관계인 포함 합계: 28.46% (JIN YAOHUI 1.85%, ZHAO YANGRI 0.89% 포함)
- 소액주주(의결권 <1% 보유자) 지분: 62.23% (’24.12.31 기준)
- 의결권 주식수: 40,283,149주 → 유동주식비율은 실무상 “최대주주+특수관계인+자사주 등 제외”로 추정하므로 약 71.5%(보고서의 ‘기타’ 71.5%)로 판단됩니다.
대주주 약력(요약)
- 조봉일: China Telecom 엔지니어(1999.03) → 상해정일통신 대표(2002.08~2007.01) → (주)이노인스트루먼트 근무(2007.02~2015.12) → SUITA ELECTRIC GLOBAL 영업임원(2023.01~) .
5) 상장 이력·특이 이벤트 타임라인
2017-04-25: NH스팩5호와 합병 완료(스팩합병상장). 회계상 사업결합 불인정(명목회사와의 합병) .
2018-05-04 기준: 주식병합(액면 100원 5주 → 액면 500원 1주) 완료(2018-03-30 주총 결의) .
공모/증자/CB 등 자금조달:
2015-04-30 IPO 자금 13,000백만원(스팩측 공모, 합병일에 귀속) .
2015-03-11 전환사채 2회 1,500백만원(스팩 측) .
2018-04-13 전환사채 3회 30,000백만원(시설·운전자금) .
2020-04-10 유상증자 34,300백만원(채무상환·기타자금) .
기타: 최근 보고기간에 재무제표 재작성, 분할/합병/양수도 특이사항 없음 .
6)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존재 여부
- 연결대상 종속·손자회사 대부분 해외 비상장 법인(중국·유럽·미국·인도·말레이시아·영국·홍콩·인도네시아 등). 목록에 국내 주식회사 디비텍이 있으나 보고서의 계열회사 표에서 비상장으로 표기됩니다. 지배·지분으로 연결된 국내 상장사 없음(’24.12.31 기준) .
참고사항 ) 2023~2024 영업이익·순이익 급락 및 자본총계 축소 원인
핵심은 매출 감소 + 판관비/기타비용 급증 + 손상 및 자산 계정 변동의 복합효과입니다.
① 매출 하락과 판관비 증가
- 회사 설명: “판매단가 하락 및 북미 매출 감소”로 매출이 줄고, 신제품 개발 경상 R&D, 재무·법률 용역 수수료 등으로 판관비가 증가 → 영업이익 급감(’23~’24) .
- 실제 수치: 매출 49,851 → 43,872 → 41,175(’22→’23→’24), 영업이익 2,919 → -18,881 → -27,454, 순이익 5,622 → -18,086 → -39,432로 급격 악화 .
② 무형자산·사용권자산 등 손상/상각과 기타비용 영향
- 공시 주석상 무형자산 손상차손 인식(예: 6,489천원) 및 사용권자산 관련 상각·이자 비용 증가가 보임(연결·별도 주석) . 손상 자체의 금액은 크지 않지만, 누적 상각/리스비용이 비용 측면에서 추가 압박.
③ 투자부동산 계정의 큰 변동(유형자산↔투자부동산 대체)
- ’24년에 투자부동산 장부가가 4,918 → 17,649로 급증(천원 단위, 아래는 요지). 주석상 대체(유형자산→투자부동산), 토지이용권 인식, 공정가치 111,198,775천원 기재. 이는 손익 자체를 개선하진 않으며(임대수익은 ‘기타수익’ 분류), 반대로 감가/비용·차입 담보 제공 등 재무구조 관리 이슈가 뒤따릅니다 .
④ 현금흐름·차입 구조
- 재무활동 현금흐름에서 단기차입 증가↔상환이 동시에 크게 발생하고, 리스부채 지급 확대가 보입니다. 영업손실 지속과 함께 현금성자산 감소(연결 기준 ’22 22,419 → ’24 13,185 백만원)도 확인됩니다. 이는 자본총계 감소(결손금 확대)와 함께 부채비율 상승(’24 84.1%)으로 연결됩니다 .
⇒ 정리: 2023~2024년은 수요·가격(ASP)·지역 믹스 악화로 매출이 줄고, R&D/용역 수수료 등 판관비, 리스·상각·손상과 같은 비용 구조의 경직성이 겹치며 영업적자 확대 → 누적 순손실로 이익잉여금 훼손, 자본총계 급감(’22 98,164 → ’24 42,690), 부채비율 증가의 흐름입니다(표 참조) .
기타 요약
- 상장특례 여부: 해당 없음(스팩합병상장) .
- 대주주 변경: 최근 5개 사업연도 없음 .
- 상장이후 특이 이벤트: 2018 주식병합(5→1), 2018 CB 300억, 2020 유증 343억 등(타임라인 참조) .
- 지배·지분 상장사 연결: 없음(해외 비상장 종속·손자사 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