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나노켐텍 기업분석/ 디스플레이 반도체 테마/ 재무(**적자연속, 부채율 급증 주의),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41 회 2025-10-15

  • 나노캠텍(코스닥/ 091970)

    1) 테마(Theme) 연관성

    핵심 사업: 디스플레이/반도체/전자부품용 기능성 필름·소재(ESD(정전기) 소재, 하드코팅/전사 필름 등). 사업보고서의 기술·제품 파트에 ESD 러버, UV/열 전사 필름, 퀀텀닷 소재 개발 항목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 국내 증권사/테마 분류에서 “화학” 업종으로 잡히지만, 실제 수요처는 디스플레이·반도체·모바일부품(필름/코팅) 쪽이라, 시장에 따라 디스플레이·반도체/전자소재 테마로도 엮일 수 있습니다.

    비핵심/비연관 사업 정리: 2024년 중 여행 관련 법인(㈜제천, (주)여행의품격)과 소규모 합병 후, 현재는 중단사업으로 결정(영위하지 않음).

    기타 테마성 연결고리: 2024년 디비투자조합(투자조합)과 한일오닉스(광고·콘텐츠 연관)가 연결 편입. 디비투자조합을 통해 캔버스엔(舊 빅텐츠, 코스닥 210120) 지분과 연계되며, 해당 종목은 2024~2025년 콘텐츠·리조트 자금조달 이슈/경영권 분쟁 이슈가 있었습니다(‘빅텐츠→캔버스엔’ 사명 변경, 상장사)

    → 따라서 시장 뉴스 레벨에선 “전자소재(필름)·디스플레이/반도체 보조 테마” + “(투자지분 경유) 콘텐츠/미디어 테마 뉴스 노출” 정도의 간접 연결이 관찰됩니다.

    2) 회사 개요

    • 법인: 나노캠텍㈜
    • 상장: 코스닥, 상장일 2007-01-30(일반상장, 특례상장 아님).
    • 주요 제품/기술: ESD 소재, 하드코팅/전사 필름, 퀀텀닷 소재 개발 등.
    • 조직 변화: 2024년 비핵심 여행사업 정리(중단사업), 한일오닉스/디비투자조합 지분 인수로 연결 범위 변동.

    3) 재무 요약(연결,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년도매출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           자본총계
    2024         55,510         178(3,702)155.318,70928,595
    202342,401(1,844)(6,115)71.618,70931,938
    202250,164(1,893)(17,152)67.614,04028,054

    4) 주요 주주(5%+)·유동주식비율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합계: 트리니티에쿼티 유한회사 + 이상규 + 신용일 = 29.54%
    • 기타 5%+: 카사솔루션 6.24%
    • 자기주식: 3.42%

    정리:

    • 지배주주(특수관계인 포함) 지분합 = 29.54%
    • (지배+기타5%)+자기주식 합 = 29.54 + 6.24 + 3.42 = 39.20%
    • 유동주식비율(보수적으로 5%+ 및 자기주식 제외)60.8%

    대주주 약력(핵심 포인트)

    • 트리니티에쿼티 유한회사: 국내 사모·전문투자자 기반의 특수목적 투자법인(LLC) 성격. 2024년 이후 나노캠텍의 최대주주로 부상(지배주주 교체의 축)
    • 이상규: DB자산운용/DB인베스트먼트 출신으로 알려진 투자전문가(언론 인터뷰·보도 다수). 2024년 들어 한일오닉스·빅텐츠(현 캔버스엔) 거래/투자 이력이 언론에 포착되며, 나노캠텍 관련 투자 구도에서도 중심 인물로 거론
    • 신용일: 트리니티 측 핵심 투자자(공동 축)로 보도. 지분 확보 과정에서 실무 축으로 거론

    5) 지배·지분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 캔버스엔(舊 빅텐츠, 코스닥 210120): 디비투자조합 지분 취득으로 연결 편입(나노캠텍 연결범위). ‘빅텐츠→캔버스엔’ 상호변경·운영권 분쟁/관리 리스크가 2024~2025년 보도됨. 해당 법인은 상장사로, 엔터·콘텐츠/레저 이슈에 잦은 노출
    • (참고) 위 편입·지분취득은 비핵심 포트폴리오 성격으로, 본업(전자소재)과는 이질적입니다.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2007-01-30 코스닥 상장(일반), 특례상장 사항 없음.

    7) 상장 후 주요 이벤트(연표)

    • 2017~2022년: 사업구조 개편·자회사 매각/정리 단계적 진행(세부는 과거 사업보고서·수시공시 참고).
    • 2023-02-15: 유상증자로 자본금 140억 → 187억으로 증가.
    • 2024년:

    한일오닉스/디비투자조합 지분 인수연결 편입(비핵심 투자 포트폴리오 확대).

    여행 관련 법인과 소규모 합병중단사업 결정(비핵심 정리).

    지배주주 교체(사실상): 기존 M2N 제노믹스·POCARI 등에서 트리니티에쿼티 측으로 주도권 이동 보도(지분 설계·친화적 거래 추정). 2024년 4~8월 기사 다수

    • 2025년: 트리니티+이상규+신용일 29.54%, 카사솔루션 6.24%, 자기주식 3.42% 상태 확인

    8) 최근 영업손실(적자) 원인 분석

    영업 레벨: 2022~2024년 연속 영업적자. 원인은

    ① 판관비(인건비·R&D·신규 사업 전개비) 부담,

    ② 제품 믹스/단가·수요 회복 지연(디스플레이/모바일 경기),

    무형자산 취득 증가(M&A/개발)로 상각·손상 위험 확대.

    영업외 레벨: 금융비용 급증(’24년 금융비용 85.2억, 금융수익 74.6억)으로 손익 악화. 2024~2025년 언론에서도 “비핵심 투자·인수 후 재무 부담·비용 압력”이 수익성 악화의 배경으로 지적됨

    요약: 본업(전자소재)의 체력은 회복 중이지만, 높은 이자비용 + 비핵심 투자/무형자산 상각 등이 당기 손익을 끌어내리는 구조.

    9) “트리니티에쿼티 유한회사” & “카사솔루션”

    트리니티에쿼티 유한회사

    성격: 국내 사모·특수목적 투자법인(LLC). 2024년부터 지분매입·3자연합 형태로 나노캠텍 지배력 확대한 것으로 보도

    관련 인물: 이상규(前 DB인베/DBAM 계열 출신으로 알려짐), 신용일 등 투자자들이 특관으로 공시/보도에 반복 등장

    투자 방식/이유(추정): 최대·2대주주 물량 매입, 경영참여 목적(개선 기대 자산 + 투자 포트폴리오 시너지). 언론에서 2024년 M2N 제노믹스·POCARI 구도 → 트리니티 측 구도 전환을 포착

    카사솔루션

    배경 단서: 2024년 보도에서 카사인베스트먼트·카사솔루션이 코스닥 CB(빅텐츠/캔버스엔) 투자 축으로 언급. PE/벤처 성격의 투자 하우스/법인으로, 콘텐츠·레저 관련 딜에 관여한 기록 다수

    운영·인물: 공개 자료가 제한적(비상장 투자법인). 기사 기준으론 프로젝트 단위의 CB/지분 투자 중심으로 보임(특정 오너 개인 실명 공개 X)

    나노캠텍과의 연결고리: (1) 직접 5%+ 주주, (2) 디비투자조합/빅텐츠(캔버스엔) 라인과 투자 네트워크가 겹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