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케스피온 기업분석/ 페라이트, 스마트폰, 엠폭스, 황사미세먼지 테마주/ 재무(**적자 주의), 최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43 회 2025-10-14

  • 1) 테마 연관성 요약

    • 페라이트: 과거 휴대폰 전자파 차폐용 페라이트 시트/소재 사업 경험이 공시에 남아 있습니다(‘전자파 차폐를 위한 Ferrite Sheet’ 등)
    • 스마트폰: 본업이 모바일·근거리통신 안테나 등 무선통신 솔루션. LDS 안테나 선점, 무선공유기·차상안테나 등도 영위
    • 엠폭스(원숭이두창): 회사의 공기살균기(클라로듀오)가 바이러스 저감 기능을 내세우며, 시장에서 엠폭스 테마 편입 보도가 반복됨
    • 황사/미세먼지: 공기살균기·청정기 제품 홍보(부유 바이러스/세균 99.9% 감소 등)로 미세먼지·공기질 테마에 수시 편입

    • 그 외 엮인 적 있는 테마: 2차전지/전장(베트남 ‘우리테크비나’ 인수로 스마트디바이스 시트·필름 정밀가공, 전장 케이블 언급)·군수 통신 전자기기(사업 개요)

    2) 회사 개요·사업

    • 1998년 설립, 2005년 코스닥 상장. 무선통신기기(스마트폰·단·장거리 복합형 안테나 등) 중심의 개발·제조사
    • 2024.1.5 WOORI TECH Vietnam Co., Ltd. 지분 100% 취득(사업다각화)

    3) 연결 재무요약(최근 3년, 백만원)

    연도매출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          자본총계
    202432,600-5,400-3,90098.919,20017,700
    2023        62,600         1,3002,70068.019,20023,100
    202255,600-3,800-10,900235.117,10015,400

    4) 대주주·유동주식비율

    최대주주등(본인+특수관계인) 합계 19.21%(7,367,292주, 2023/06/28 기준)

    이엔에스인베스트먼트(본인) 4,791,269주

    LD CRES KOREA(공동보유자) 2,245,310주

    오미선(특수관계인) 330,713주(합계 7,367,292주)

    자기주식 1.80%(689,700주, 2024/06/28)

    유동주식수/비율: 30,298,522주 / 78.99%

    대주주 약력

    • 대표이사 LLOYD YEONSU LEE: MBA(Marketing), LD CRES KOREA 대표이사 겸 케스피온 대표이사(이사 선임 공시에 기재)
    • 2022.09 이후 단독 대표 체제(이승준 대표 사임 공시)

    5)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존재 여부

    2025 사업보고서 및 최근 공시 기준 종속회사 대부분 비상장. 2024년 인수한 WOORI TECH Vietnam 100% 종속(비상장). 상장 연결·관계회사 공시는 확인되지 않음(직·간접 상장 지분 연결 없음)

    6) 상장 이력(특례 여부)

    2005-11-29 코스닥 상장. 기술특례 등 특례상장 사례 아님(일반 상장 이력으로 기재)

    7) 상장 후 주요 특이사항(연혁·이슈, 연표)

    • 2020.02~05: 회생절차 개시→인가→종결, 최대주주를 이엔에스인베스트먼트로 변경(거래재개 배경)
    • 2022.03: 사명 EMW → 케스피온 변경
    • 2022.12: 제3자배정 유상증자 추진 과정에서 일부 주주(비프라우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제기(소송 논란)
    • 2023.03.23: 인천 본사·공장 210억원 매각(자산효율화·금융비용 절감·신규사업 재원)
    • 2023.12~2024.01: 베트남 우리테크비나 인수(100%)로 사업다각화(스마트디바이스 시트·필름 정밀가공 역량 확보)
    • 2024.03: 정관 목적사업 대폭 정비·추가(의약품/의약외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목적 포함 수정)

    “대주주 변경” 당시 상황(2020)

    • 2020.02 최대주주 류병훈 → 이엔에스인베스트먼트 유한회사로 변경(주식양수도 계약; 2020.03.05 효력)
    • 같은 해 회생절차 인가·종결,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등 지배구조 개선을 공시·보도

    8) 재무 관련 특이사항 & 코멘트

    • 이익 변동성: 2023년 흑자 전환(영업·순이익) 후 2024년 다시 적자(매출 감소, 영업손실 확대).
    • 재무구조: 2022년 부채비율 235% → 2023년 68%로 크게 개선(본사·공장 매각, 부채 축소 효과가 기사로도 확인) → 2024년 99% 근처로 재상승.(수치 계산은 에프앤가이드 표 기반)
    • 현금 조달/자본정책: 2022~2023년 제3자배정 유상증자 다수 진행 시도·정정·논란(경영권 방어 논점 제기 보도)

     

    참고사항) 대주주에 관하여

    케스피온의 최대주주인 이엔에스인베스트먼트(유)(ENS Investment Ltd.)에 대한 정리입니다.

    지배 인물(누가 실질 지배하나)

    • 법적 형태·등록: 국내 유한회사, 사업자등록번호 429-86-01539. KRX 지분공시에도 같은 번호로 ‘국내법인·사실상지배주주’로 표기됩니다.
    • 대표(등기): 오미선. 사업자 등록 정보에 대표자 명의가 오미선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 케스피온과의 특수관계: 케스피온 주주명부·에프앤가이드 기준에서 오미선(특수관계인), LD CRES KOREA(공동보유자)와 함께 최대주주 그룹(지분 합계 19.21%)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 경영과의 연결고리: 케스피온 이사회/주총 자료상 대표이사 LLOYD YEONSU LEE가 LD CRES KOREA 대표이사이자 케스피온 대표이사로 기재(재선임)되어, ENS·LD CRES·케스피온 간 이해관계 축이 형성돼 있습니다.

    케스피온 지배 지분의 형성 과정(핵심 타임라인)

    • 2020-02-12: ENS가 당시 상호 EMW 지분 6.99%(222만주)를 창업주 류병훈으로부터 취득. 이후 추가 2.5%, 18.34% 등 단계적 매입 공시·보도.
    • 2020-02-28: 최대주주가 ‘류병훈 외 2인 → 이엔에스인베스트먼트’로 변경(소유비율 14%). 회생절차 정리 국면에서 경영권이 이동.
    • 2022-12-19: KRX 공시에서 ENS가 ‘사실상지배주주’로 표기된 대량보유 보고(법인번호, 연락담당 포함). 이후 LD CRES KOREA·특수관계인과 공동보유 체계가 확인됩니다.
    • 2023~2025: 에프앤가이드 주주현황 기준 ENS+LD CRES+특수관계인 합계 19.21% 유지(최종변동일 2023/06/28), 자기주식 1.80%.

    사업/투자 전략(관찰되는 특징)

    딜 스트레스·턴어라운드(회생→지배)

    회생절차(2020) 종결 국면에서 블록·구주 인수로 최대주주 지위 확보 → 지배권 안정화 후 자본정책·사업재편을 병행(유증 이슈, CB 협상, 경영권 방어 등).

    자산 효율화 & 재무구조 개선 드라이브

    본사·공장 210억원 매각(2023-03)로 유동성 확보 및 재무비율 개선을 유도. 2022년 235%였던 부채비율이 2023년 68%로 개선된 흐름과 맞물립니다(기사+재무지표 교차).

    볼트온 M&A·사업 다각화

    WOORI TECH Vietnam 100% 인수(2024-01-05 공시)로 스마트디바이스용 시트/필름 정밀가공 역량 편입. 국내 제조 고정자산 비중 축소 후 해외 가공·소부장 라인 보강 기조.

    거버넌스 축(ENS–LD CRES–경영진)

    최대주주 ENS와 LD CRES KOREA(공동보유), 그리고 케스피온 대표이사 LLOYD YEONSU LEE(LD CRES 대표 겸임)로 이어지는 지분-경영 연동 구조를 통해, 증자/정관변경/M&A 등 주요 의사결정의 추진력을 확보하는 형태.

    ENS의 성격 요약

    • 사적 투자차(Private Investment Vehicle) 성격의 유한회사로, 상장사(케스피온) 지배지분을 보유하며 턴어라운드·자산재편·선별 M&A를 병행하는 전략을 보여 왔습니다. ENS의 대표 오미선LD CRES KOREA/케스피온 경영진 간 특수관계가 공시로 확인되며, 사실상 지배주주 지위를 기반으로 거버넌스 개편을 진행해 왔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