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 코스피, 004690
1) 테마 연관성 (LNG, 도시가스) + 추가 연계 테마
- 도시가스 1위 사업자: 2024년 말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 기준 점유율 16.2%로 1위(권역: 경기도 13개 시, 인천 5개 구 일부).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요금·공급조건 인가/승인 체계로 운영됩니다. LNG는 한국가스공사(KOGAS)와의 장기수급계약(2026.11.30 만료)로 조달합니다.
- LNG/발전·집단에너지 확장: 안산 834MW급 LNG 복합화력(에스파워) 및 집단에너지(휴세스)를 통해 열·전기 사업도 영위(도시가스 외 신재생·플랜트 등 다각화).
추가 테마 가능성:
- ESG/탄소중립: 탄소중립연구소를 통한 탈탄소·신에너지 R&D.
- 경기민감/규제 테마: 도시가스·열요금은 승인제, 계절성(동절기 수요) 및 요금변동 공지 영향.
- 호텔/미국부동산 소수 사업: 미국 Marriott 프랜차이즈 브랜드(‘Courtyard’, ‘Element’) 호텔 운영 자회사 보유(비중 미미).
2) 회사 개요·사업부문
- 설립/상장: 1955년 창립, 1966년 법인, 1976-12-23 유가증권시장 상장. 본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 주요 사업: 도시가스 소매공급, 발전(LNG 복합), 집단에너지(열·전기), 플랜트(가스·열 배관, 에너지 솔루션), 자동차판매(BMW 딜러), 해외 호텔·자산운용/VC 등.
3) 연결 재무제표 요약(단위: 백만원, 최근 3년)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5,120,500 | 5,664,000 | 5,789,100 |
| 영업이익 | 114,300 | 174,500 | 91,200 |
| 당기순이익 | 121,700 | 145,200 | 66,700 |
| 자본총계 | 1,760,500 | 1,675,000 | 1,539,300 |
| 부채총계 | 2,757,700 | 2,757,700 | 3,482,700 |
| 부채비율(%) | 156.64 | 164.64 | 226.25 |
| 자본금 | 20,300 | 20,300 | 20,300 |
4) 매출 구조(내부거래 포함, 사업부문별 비중·금액, 2024년 기준)
| 부문 | 매출(백만원) | 비중(%) |
| 도시가스 | 3,572,408 | 69.77 |
| 발전 | 734,607 | 14.35 |
| 자동차판매 | 422,812 | 8.26 |
| 플랜트 | 324,026 | 6.33 |
| 집단에너지 | 58,510 | 1.14 |
| 해외 호텔 | - | 0.68 |
| 조정/기타 | - | (0.95) |
| | | |
5) 대주주 지분
| 구분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이만득 외 특수관계인 23인) | 1,587,147주 | 39.14% |
| 자사주(자기주식) | 631,000주 | 15.56% |
| 국민연금공단 | 203,626주 | 5.02% |
| 기타 및 소액주주 | — | 45.30% |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합계: 39.12% → 39.14%(’23→’24)로 유지.
대주주 약력(발췌)
- 이만득 명예회장: 고려대 경영학, U.S International Univ. 경영학, 1993.2~현재 (주)삼천리 회장.
6) 지배·지분 관계(상장/비상장)
- 연결 자회사(주요): ㈜에스파워(발전), ㈜휴세스(집단에너지), ㈜삼천리모터스(BMW), ㈜삼천리이엔지·이에스(플랜트/에너지솔루션) 등.
- 상장 연결 자회사 수: 없음(“상장 - 0”, 비상장 22개). → 지배관계로 엮인 상장회사는 없음(자체 보고 기준).
- 관계회사/기타: 안산도시개발, 경기그린에너지, 인천연료전지 등 비상장 투자·거래 관계 존재.
7) 상장 이력 및 최근 5년 특이사항(요약·연표)
1976-12-23: 유가증권시장 상장.
2020~현재:
에스파워 회사채 지급보증 320,000백만원 지속(만기 시까지).
휴세스 주식 견질 제공(타인자본 조달 관련) 등 내부 계열 지원.
2024:
신규 자회사 편입/신설: 삼천리제1호스노우볼투자조합, SL&C KSC Brea LLC, ㈜삼천리이브이 등.
삼천리모터스 각종 차입에 대한 지급보증 설정(만기 ’25.03~12).
규제·요금: 도시가스·열·전기 인가요금 체계(경기도지사/인천시장·산업부 승인) 유지.
참고사항) 2023년 주가·시총 급락 시 발생한 사건
- 사건 요지: 2023-04-24 전후, 일부 종목에서 CFD(차액결제거래) 반대매매 연쇄로 SG증권 창구 대량매도가 발생, 삼천리·대성홀딩스·서울가스 등 도시가스 3사 포함 8개 종목 급락. 금융당국은 파생계좌·시세조종 의혹 점검에 착수.
- 보도 정리: “SG발 주가폭락” 사태로 지목된 8개 종목 중 하나가 삼천리. 대주주들은 동업원칙상 지분을 유지했다는 보도도 존재. 가격 급락=심리·수급(강제청산) 요인이 핵심이었고, 기초 펀더멘털 훼손 이슈는 직접적 원인으로 확인되지 않음(’23 당시 기사 다수).
9) 재무 관련 특이사항·교차분석(최근 5년 관점)
- 부채비율의 하향 안정: 2022년 165.5% → 2024년 156.64%로 개선. 에너지 비용·가스정산 여건 완화와 내부 현금창출로 레버리지 부담이 완화되는 추세.
- 사업 포트폴리오의 안정+보완: 도시가스 매출 비중 70% 내외의 안정 축에, 발전·플랜트·자동차판매가 보완재 역할. 발전 부문이 2024년 영업이익 비중에서 상대적으로 크며(약 45%), 도시가스는 가격/정산 구조상 이익 변동성이 있음.
- 계열 보증·자금지원 노출: 모터스·해외호텔 법인 등에 대한 지급보증·Standby L/C 제공. 규모·만기 관리가 중요(’24년 보증여러건, 일부 ’25년 만기).
- 시장지위 리스크/기회: 수도권 최대 공급권역, 점유율 1위(16.2%). 물량은 계절성(동절기 편중)과 기온 트렌드에 민감. 규제 환경 변화(요금, 경쟁도입)·KOGAS 계약재연장 조건도 핵심 변수.
10) 투자 시 유의사항
- 규제/요금 체계: 도시가스·열·전기 요금의 승인·정산 구조 변화, 도매 경쟁도입 정책(신규 가스도매업자 등장 시 KOGAS 계약 해지 조항 존재) 주시.
- 수급·수요 변동: CFD/레버리지 수급 충격 재발 리스크(’23 SG사태 사례)와 기온·계절성에 따른 물량 변동.
- 계열 보증/차입 관리: 모터스·해외 호텔 법인 보증 만기 관리, 호텔업의 경기 민감도(환율·여행수요).
- 연료비·가스요금 정산: 국제가스 가격·정부 정산방식 변화는 현금흐름에 파급. (요금 공지의 빈도·방향 참고)
- KOGAS 공급계약 재협상 타이밍(2026.11.30 만료): 조건·대체도매자 등장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