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경남제약 기업분석/ 제약업, 건강기능식품 테마주/ 재무(**지속 영업적자),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6 회 2025-10-29

  • 경남제약, 코스닥, 053950/ 투자주의 (지속 적자/ 리픽싱 리스크)

     

    1) 테마 연관성 (제약업체, 건강기능식품) + 추가 테마

    핵심 사업: 일반의약품(OTC)·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대표 브랜드 ‘레모나’(국내 첫 비타민C 산제, 1983 출시) 중심으로 의약품·건기식 포트폴리오를 보유합니다.

    매출 구조: 2024년 연결 기준(사업부 분류) 매출은 의약품 42,757 / 건강기능식품 17,892 / 합계 60,649로, 의약품 비중이 약 70.5%입니다.

    추가로 엮인 테마(사건·지배구조성)

    빈번한 CB 리픽싱(전환가액 조정): 2024.10.23 유증 이후 제7·8회 CB 전환가액이 556원으로 조정되는 등 2025년에도 여러 차례 리픽싱 공시가 이어짐.

    지배구조/경영권 변화 연계: 2024년 휴마시스 측이 경영권 매입에 참여하고, 빌리언스(舊 블레이드엔터)·미니쉬테크놀로지 등이 5% 이상 주주로 등장/변동.

    브랜드 테마: ‘레모나’ 장수 브랜드(41주년)로 소비재·브랜드 테마에 반복 편입.

     

    2) 회사 개요·사업 내용 요약

    • 법인 개요: 의약품·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국내 KGMP 인증 공장 보유. (연혁·상장: 2001년 코스닥 상장)
    • 사업부/제품: 비타민 등 OTC 중심 라인업과 건기식. 유통은 약국·편의점·마트·온라인 등 다채널.
    • 최근 합병: 2024.10, 종속회사 경남제약스퀘어(의약품 도매)를 흡수합병(동일지배 하 합병 회계).

     

    3) 연결 재무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59,00059,30060,792
    영업이익-3,400-3,600-900
    당기순이익-7,800             -22,200           8,600
    부채비율(%)        47.585.544.6
    자본금16,74017,7977,815
    자본총계93,77189,832115,223

    해석: 영업이익은 3년 연속 적자(축소 추세)이나, 2024년 순이익은 비경상/금융요인(파생·CB 관련 평가 등) 영향으로 흑자 전환. 영업단에서의 체질 개선은 아직 완결되지 않았습니다.

     

    4) 2024 매출 구조(제품/서비스 비율, 백만원)

    구분금액비중
    의약품42,75770.5%
    건강기능식품            17,892              29.5%
    합계60,649100%

     

    5) 5% 이상 주주·특수관계 + 유동주식비율 (24년12월 기준)/ 현재 다를 수 있음

    주주지분율
    빌리언스29.19%
    미니쉬테크놀로지18.17%
    휴마시스15.72%
    지앤씨인베스터스(GNC Investors)              5.61%
    유동주식비율(추정)31.31%

    참고: 변동일 기준 표시에 따라 상위 2개만 보일 때가 있으니(예: 미니쉬 18.17%, 빌리언스 17.92%), 최신 DART/거래소 주주현황과 함께 확인이 필요합니다.

     

    6) 대주주(주요 주주) 약력·개요

    • 빌리언스: 코스닥 상장사(舊 블레이드엔터테인먼트에서 사명변경). 2025년 기준 대표이사 심화석, 콘돔 등 헬스케어·콘텐츠 사업.
    • 휴마시스: 코스닥 체외진단 기업. 2024년에 블레이드엔터(현 빌리언스) 지배권을 확보해 경남제약 지배구조 축에 편입. 남궁견 회장 참여 M&A 기사 다수.
    • 미니쉬테크놀로지: ‘미니쉬치과’ 네트워크·치과보철/소재 등 덴탈 테크 기반. 창업 의사 출신 강정호 등 핵심 인물 언급. 2024.11 기준 경남제약 5% 이상 주주.

     

    7)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사

    • 빌리언스(코스닥): 경남제약 최대주주.
    • 휴마시스(코스닥): 빌리언스(舊 블레이드엔터) 지배권 취득 → 경남제약 간접 축.
    • (과거 거래 관련) 알에프텍(코스닥), 한주에이알티(코스닥) 등과의 주식·경영권 관련 딜이 공시/기사에 등장.

     

    8) 상장 이력

    • 2001년 코스닥 상장.

     

    9) 최근 5년 주요 이벤트 타임라인(요약)

    2023

    제7·8회 CB 발행(사모): 2023.08.10 / 2023.09.22, 만기 2026.08.10 / 2026.09.22, 액면 50억/50억, 최초 전환가 716원/810원.

    일부 CB 전환·상환 진행.

    2024

    무상감자(액면 500→100): 6/26.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증: 10/23, 발행가 556원 → CB 전환가 556원으로 리픽싱(제7/8회) 트리거.

    최대·5%대 주주 변동: 빌리언스·미니쉬·휴마시스 등(공시/거래소).

    2025

    CB 조기취득(상환): 1/22 제8회 25억, 2/14 제7회 5억 취득(잔액 축소).

    CB 전환가액 재조정 공시 연속: 5/21, 9/3, 10/10 등(7·8회).

    (참고) 2025.08 보도: 리픽싱으로 인한 보유/전환가능 물량 변동 이슈 보도.

     

    10) 영업이익이 지속 적자인 이유(추정·근거)

    • 제품 믹스와 판관비 부담: OTC·브랜드 마케팅/유통비용이 지속 발생, 제조단 규모의 경제가 미흡해 영업손실 지속(2022 -3,400 → 2024 -900로 축소).
    • CB·파생 관련은 비영업(아래 표 참고): 전환권/조기상환청구권 등 파생부채 변동이 순이익(금융손익) 측면 변동성을 키움→ 2024년 순이익 흑자 전환의 배경 중 하나.

     

    11) 미니쉬테크놀로지·빌리언스

    미니쉬테크놀로지

    운영/인물: ‘미니쉬치과’ 네트워크 기반 덴탈테크 기업(의사 창업/운영진 보도).

    투자이유(추정): OTC·건기식 브랜드와의 헬스케어 시너지(구강·영양·뷰티케어 라인업 확장).

    사업방식: 치과 네트워크·보철/소재·브랜드 마케팅 중심. (5% 이상 주주로 경남제약 지분 보유)

    빌리언스

    운영/인물: 코스닥 상장. 2025년 기준 대표 심화석. (舊 블레이드엔터)

    투자이유(추정): 콘텐츠·헬스케어를 영위하며 소비재(레모나)와의 브랜드 결합 및 지배력 강화 목적.

    사업방식: 최대주주로서 지배력 행사 + CB/주식 등 증권적 수단을 활용한 구조개편. (관련 공시/보도 다수)

     

    12) 전환가액 조정(리픽싱) — 언제 끝나나? 남은 ‘조정 가능’ CB는?

    남은 잔액(연말/이후 변동)

    2024.12.31 기준 미상환: 제7회 5억, 제8회 50억 → 2025.01.22 제8회 25억 취득, 2025.02.14 제7회 5억 취득.

    ⇒ 이후 제7회: 0, 제8회: 25억 잔액(이후 전환/리픽싱 공시 다수).

    리픽싱 종료 조건

    전환청구기간 종료/만기 도래(제8회: 2026.09.22 만기, 전환청구 2024.09.22~2026.08.22) 시 자연 종료.

    최저 전환가(바닥) 도달 시 더 이상 하향조정 없음. 경남제약의 경우 2023 발행 당시 ‘최저한도를 액면가(100원)까지 허용’하는 조건으로 정정 공시(통상 70%가 많지만, 경남제약은 더 낮게 설계된 점이 시장 우려 포인트).

    발행물량 소멸(전환·상환·조기취득) 시 해당 회차 리픽싱 종료.

    최근(2025년) 실제 리픽싱 사례: 5/21, 9/3, 10/10 등 다수 공시. 종속 이벤트(유증/CB발행/주가 평균값) 발생 때마다 조정.

    정리: 2025.10.29 현재 리픽싱 대상은 사실상 제8회(잔액 중심)이며, ① 바닥가 도달하거나 ② 2026.08~09 전환기간·만기로 진입하며 자연 종료됩니다.

     

    13) 투자 시 핵심 체크포인트

    1. 영업이익 체질: 3년 연속 적자 → 고정비/판관비 구조, 제품 믹스 개선 속도 점검(분기별).
    2. 리픽싱 리스크: 최저가 ‘액면가’ 허용 구조로 잦은 조정 발생(주가·유통물량 압박). 리픽싱 트리거(유증·타 CB발행·주가평균 저하 등) 상시 모니터링.
    3. 지배구조 축: 빌리언스–휴마시스–미니쉬 3축의 이해관계 변화(매매·담보·의결권 계약 등)와 추가 자본거래 가능성.
    4. 자본정책/이벤트: 2024 무상감자→유증의 전개처럼, 향후 권리락/유·무증/CB 조기 취득·상환 계획 공시를 면밀히 추적.
    5. 브랜드·채널: 레모나 중심 매출의 안정성 vs. 신제품·수출 확대의 가시성.

     

    기타) 최근 5년 ‘특이사항’ 교차정리

    • 2021~2022: 구조조정·자산/부채 안정화 국면(연결 부채비율 47.5% 수준).
    • 2023: 제7/8회 CB 100억 발행, 전환청구 1년 유예 후 2024부터 전환 시작.
    • 2024: 무상감자(6/26)유증(10/23), 이로 인한 CB 대폭 리픽싱(556원), 스퀘어 합병.
    • 2025: 제8회 CB 25억 조기취득, 제7회 CB 5억 조기취득, 이후 리픽싱 공시 연속.

     

    부록 B) 상장·증자·권리 관련 ‘표’ (주요 이벤트)

    일자이벤트비고
    2001코스닥 상장일반 상장(연혁)
    2023.08/09제7·8회 CB 발행최초 전환가 716/810원, 만기 2026년
    2024.06.26무상감자(액면 500→100)자본금 감액
    2024.10.23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증               발행가 556원 → CB 전환가 556원으로 리픽싱
    2024.10경남제약스퀘어 합병동일지배 합병 회계
    2025.01.22제8회 CB 25억 조기취득잔액 축소
    2025.02.14             제7회 CB 5억 조기취득사실상 7회 소멸
    2025.05~10CB 전환가액 재조정 공시 다수5/21, 9/3, 10/10 등

     

    결론 요약

    • 핵심 쟁점은 (i) 영업이익 적자 체질 개선 속도, (ii) 제8회 CB의 ‘액면가 하한’ 구조로 인한 잦은 리픽싱과 그에 따른 유통주식·주가 부담, (iii) 대주주 3축(빌리언스–휴마시스–미니쉬)의 의사결정 방향입니다.
    • “전환가액 조정은 언제 끝나나?”에 대해, 제8회 CB 잔액(25억 기준)은 전환청구기간 종료(2026.08) 또는 만기(2026.09), 혹은 전량 상환/취득/전환으로 소멸될 때 종료됩니다. 추가 유증·CB 발행·주가하락 이벤트가 없다면 리픽싱 빈도는 낮아질 여지가 있으나, 최저가가 ‘액면가’까지 가능한 설계 특성상 추가 조정 여지는 남아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