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전자, 코스닥, 069540/ 투자주의(적자연속, 리픽싱 가능 물량 남음)
1) 테마 연관성 (통신장비·5G 및 기타)
- 빛과전자는 기지국/중계기·FTTH·Datacom/Telecom·방송(CATV)·데이터센터용 광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 를 연구개발·제조·판매합니다. 5G망 구축/확장과 데이터센터 고속화 수요가 핵심 수요원입니다.
- 2024년 사업목적에 양자통신·분자센서 등(6G 보안 관련) 항목을 추가해, 5G–6G 연계 테마 노출이 있습니다.
- 산업 단면: 트랜시버는 AI/클라우드 확장으로 100G/400G/800G 이상 수요, 저전력·친환경 요구 증가.
- (참고) 회사는 1998년 설립, 2004-02-13 코스닥 상장, 2024-03-28 라이트론→빛과전자 상호변경.
추가로 엮일 수 있는 테마
- 데이터센터/AI 광통신(고속 트랜시버),
- FTTH/케이블방송(CATV)(FTTH·RF 광부품 라인업).
2) 일반 현황·사업 개요 (요약)
- 본사/공장: 대전 대덕구 문평동로 68, 042-930-7700, lightron.co.kr
- 주요 고객: 삼성전자 등 국내외 통신장비사
- 제품: 10G·25G 양산, 100G 이상 중·장거리/저전력 제품 개발·시양산 중
- 종속회사 증감: 2024년에 창대엠오마인(지배력 취득), 그립포스(신설) 편입
3)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18,100 | 21,700 | 52,600 |
| 영업이익 | -10,300 | -9,400 | 1,200 |
| 당기순이익 | -18,600 | -19,600 | -700 |
| 자본총계 | 62,500 | 49,300 | 55,300 |
| 부채총계* | 19,100 | 20,700 | 34,500 |
| 부채비율(%) | 30.6 | 42.0 | 62.4 |
| 자본금 | 23,000 | 14,300 | 13,000 |
4) 매출 구조 (별도 기준, 단위: 백만원·%)
- 통신용 광모듈: 2024년 15,692 (98.30%), 2023년 18,900 (97.56%), 2022년 39,894 (82.79%)
- 세부: ODL/FTTH/RF 등 품목별 내·수출 구성도 기재(예: 2024 ODL 내수 13,366·수출 1,448)
5) 대주주·유동주식 (요청하신 FnGuide/공시 기준)
2024.12.31 기준(사업보고서)
라이트론홀딩스 16.21%, 비츠로시스(코스닥) 4.08%, 기타주주/유동 68.38%【】.
2025.07.22 공시/보도: 최대주주가 라이트론홀딩스→케이헤드조합으로 변경(경영참여 목적, 변경 후 11.06%)
2025.09.17 케이헤드조합 20.14%(추가 유증 배정 등 반영)
| 구분 | 지분율 | 근거 |
| 케이헤드조합(최대주주) | 20.14% | 와이즈리포트 지분현황(25/09/17 |
| 라이트론홀딩스 | 직전 최대주주(16.21%→점진 하락) | 사업보고서/지분변동 |
| 비츠로시스(상장) | 4.08% | 사업보고서 |
| 유동주식(추정) | 사업보고서 시점 68.38% | 사업보고서 |
6) 대주주 약력(핵심)
- 라이트론홀딩스: 2019년 설립, 대표 박찬희. 라이트론(현 빛과전자) 재건 과정에서 “박찬희 → 라이트론홀딩스 → 라이트론(현 빛과전자)” 지배구조 축 구축
- 케이헤드조합: 사모·개인투자조합 형태의 투자주체. 2025년 유증·주식양수로 최대주주가 되었고 “경영참여” 목적을 명시. (운용주체·조합원 상세 명부는 공시 제한 정보로 공개 범위가 협소합니다. 다만 25/09 이후 추가 배정으로 지분 확대가 확인됩니다)
7)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사
- 비츠로시스(코스닥): 2024.12.31 기준 빛과전자 지분 4.08% 보유
- (거래·공급망 측면) 주요 매입처·고객군에 우리로(부품), HFR 등 통신장비사가 등장하나, 이는 지분이 아닌 영업관계
8) 상장 이력 및 상장 후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연혁/상장
- 2004-02-13 코스닥 상장, 2024-03-28 라이트론→빛과전자 상호변경
최근 5년 타임라인(요점)
- 2021~2022: 5G 투자 위축 영향으로 실적 변동성. (회사 설명)
- 2023: 적자 지속, 신용등급 B-
- 2024: 상호변경, 종속회사 2곳 편입(창대엠오마인·그립포스)
- 2025.05~09:
대규모 유상증자 추진·정정 다수
최대주주 변경 ① 라이트론홀딩스 → 이에이치조합(EH 조합)(주식양수도 계약) 공시
최대주주 변경 ② 이에이치조합 → 케이헤드조합(경영참여, 11.06% → 20.14%)
9) “지속 적자”의 주된 이유
- 수요 사이클: 5G Killer App 부재 및 국내외 투자 지연 → 전방 수요 약화
- 규모·가격압력: 고부가 트랜시버라도 경쟁 심화, 단가·원가 압박(산업설명).
- 재무여력: 연속 손실·자본잠식 상태(2023~2024)로 조달비용/운영 불리, 신용등급 B- 수준.
- 제품믹스 축소: 별도매출에서 통신용 광모듈 편중(>97%)으로 사이클 리스크 확대.
10) 전환사채(CB)·전환가액 조정(리픽싱)
잔존 CB(2024.12.31 기준)와 주요 조건 요약
- 제9회차: 권면 5,000 백만원, 전환가 1,431원, 최저조정가(하한) 1,181원
- 제11회차: 권면 5,000 백만원, 전환가 1,120원, 하한 896원
- 제12회차: 권면 12,000 백만원, 전환가 1,742원, 하한 1,394원
- 합계 권면: 22,000 백만원(전환가능주식수 약 5,159,363주)
리픽싱 “언제 끝나나?”
- 계약서상 조정사유(통상): 시가 하락, 유·무상증자, 주식배당 등 발생 시 조정.
- 종료 시점: (a) 각 회차 만기에 상환·소멸, (b) 전량 전환 완료, (c) 최저조정가(예: 70% 하한) 도달 후 추가 하향조정 불가 구간이면 더 이상 하향 리픽싱 없음
- 현재 남은 “조정가능” CB 총액(명목): 위 3개 잔존 합계 22,000 백만원. (조정 여지는 회차별 전환가가 하한가에 도달했는지, 행사·상환 진행률에 따라 달라집니다.)
11) 투자 시 체크포인트 (위험·변수)
- 자본잠식 해소/유상증자 실행 품질: 2025년 다수 정정·변경 공시(납입·상대방 변경 등) → 실조달 성사·용처와 기존 주주 희석 규모 확인 필요.
- 최대주주 연쇄 변경: 라이트론홀딩스 → 이에이치조합 → 케이헤드조합. 경영참여형 투자 성격, 지배구조/경영전략 변화 추적 필요.
- CB 오버행/리픽싱: 잔존 22,000 백만원 규모, 주가·거래량에 따른 전환 물량 출회 경로 점검.
- 고객·제품 집중도: 통신용 광모듈 편중, 특정 장비사 매출의존도 관리.
- 산업 사이클: 5G 투자 재개/데이터센터 업사이클 vs 가격경쟁·원가상승.
기타 요약
- 정치·기타 테마 엮임: 6G·양자통신 연구개발(사업목적 추가)로 6G/보안·양자통신 테마 언급 가능
- 상장 후 특이 이벤트(최근): 상호변경(2024), 자본잠식, 2025 유증 연속 공시, 최대주주 2회 변경
- 대주주 변경 당시 상황/방법: 2025-05 주식양수도계약(라이트론홀딩스→이에이치조합), 이어 유증·양수·배정을 통해 07~09월 케이헤드조합이 지배력 확보(경영참여 목적)
- 케이헤드조합: 사모·개인투자조합으로 보도상 경영참여형 투자. 운용주체·조합원 세부는 비공개 범위가 많아, 유증 납입·사후경영계획 공시를 통해 실제 의사결정 구조 확인 필요
- 라이트론홀딩스: 2019년 설립의 경영자문/지주 성격 법인, 대표 박찬희. 과거 라이트론(현 빛과전자) 최대주주로 구조 재정비를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