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두산그룹 지배구조와 핵심 계열사 분석: 두산,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로보틱스, 두산테스나, 오리콤/ 박정원 오너일가 연결고리

    작은연못 35 회 2025-10-28

  • 1) 핵심 지배구조 한 컷(요약)

    레벨주체상장여부지분관계(주요)핵심사업
    최상단㈜두산 (A000150)코스피두산에너빌리티 30.39%(최대주주)· 두산로보틱스 ~68% · 오리콤 ~60.9% · 두산테스나 ~38.7% 등                     지주+전자소재/디지털/유통 일부
    중간A두산에너빌리티 (A034020)코스피                  두산퓨얼셀 ~37.9%발전(원자력·가스터빈·풍력)·주조/단조·탈염
    중간B두산로보틱스 (KOSPI)코스피(그룹 내 로보틱스 축, 2024년 Bobcat 주고받기 계획은 무산)협동로봇/스마트머신
    중간C오리콤 (KOSDAQ)코스닥㈜두산 종속(과반)종합광고
    중간D             두산테스나 (KOSDAQ:131970)코스닥㈜두산 지분 다수 보유반도체 테스트
    하단두산퓨얼셀 (A336260)                          코스피두산에너빌리티 1대주주고정식 연료전지(SOFC/PAFC 등)
    • 두산에너빌리티의 최대주주는 ㈜두산(30.39%)이며, 국민연금(NPS) 등 기관/개인은 그 외.
    • 두산퓨얼셀의 1대주주는 두산에너빌리티(약 37~38%).
    • ㈜두산은 두산로보틱스(~68%), 오리콤(~60.9%), 두산테스나(~38.7%) 등을 보유.
    • 2024년 로보틱스⇄밥캣 스핀오프·주식교환 구조개편은 주주·당국 반대로 철회됨(“로보틱스가 밥캣 100%” 계획 무산).

     

    2) 상장/비상장 계열 한눈에 (업·특성·상호관련)

    A. 상장사 테이블

    회사시장/티커지배축(주요 주주)사업/특성그룹 내 연결고리
    ㈜두산코스피 A000150오너일가+자사주 등, 최대주주등 약 40%지주+전자소재(CCL·OLED), 디지털(DDI), 일부 유통최상단 지주. 에너빌리티·로보틱스·오리콤·테스나 등 지분보유로 그룹 지배
    두산에너빌리티코스피 A034020㈜두산 30.39%(최대)원자력·가스터빈·풍력·수처리·주단조연료전지(두산퓨얼셀) 1대주주. 발전설비–연료전지 밸류체인 연결
    두산퓨얼셀코스피 A336260두산에너빌리티 ~37.9%, NPS 등고정식 연료전지(건물·발전용), HyAxiom Motors 子에너빌리티와 수소·발전 시너지가 핵심
    두산로보틱스코스피㈜두산 ~68%협동로봇, 스마트머신밥캣과 시너지 구상 있었으나 2024년 합병·스왑 무산
    두산테스나코스닥 131970㈜두산 ~38.7%파운드리 후공정 테스트전자소재(㈜두산)·로봇/산업 장비와의 공급망 접점
    오리콤코스닥㈜두산 ~60.9%종합광고/미디어그룹 브랜딩/IR·마케팅 지원
    두산밥캣           코스피 241560            (지분축 변동 이슈, 과거 에너빌리티 46% 보유 → 2024년 로보틱스 이관 계획 철회)                소형건설·지게차(DIV 편입)                     물류장비(DIV) 편입으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B. 비상장/그룹 내 주요 법인

    회사지배축사업/특성비고
    Doosan Digital Innovation(DDI)㈜두산그룹 IT/DT CoE(전산·클라우드·공통업무)사명 변경·DT 조직 강화(연혁)
    Doosan Mobility Innovation(DMI)㈜두산 100% 투자 출발               수소드론/모빌리티용 PEMFC. 2024~25년 소형·중형 연료전지 사업 통합 추진 보도                외부 투자 유치(’22), 소형 연료전지 통합 기사 다수
    두산연강재단오너가 공익재단장학·연구지원지분 일부 보유(㈜두산 주주)
    두산베어스·레저(쿠벡스) 등                          ㈜두산 계열스포츠·레저그룹 브랜드 자산 (백과/회사 소개서 참고)

     

    3) “지배구조도”

    From지분To메모
    오너 일가(박정원 外 특수관계인)        (최대주주등 약 40% 보유)       ㈜두산공시 기준 집단 지분(본인+특수). 지주 최정점.
    ㈜두산30.39%두산에너빌리티         에너빌리티 최대주주.
    두산에너빌리티~37.9%두산퓨얼셀연료전지 1대주주(수소밸류 강화).
    ㈜두산~68%두산로보틱스로봇 축(스마트머신).
    ㈜두산~60.9%오리콤광고/브랜딩.
    ㈜두산~38.7%두산테스나반도체 테스트.
    (과거) 두산에너빌리티46%두산밥캣2024년 로보틱스 이관/스왑 무산.

     

    4) 오너일가·가족관계와 지분

    • 총수: 박정원(2016년 그룹 회장 승계, ㈜두산 회장). 장자 중심 4세 체제.
    • 상속 분할(2019): 故 박용곤 명예회장 지분이 박정원·박혜원·박지원 = 50:33:17 비율로 분할, ㈜두산 개인 지분 소폭 상향.
    • 현재 ㈜두산 지배력: 공시상 최대주주 등(본인+특수) 합계가 약 40%. 개인별로는 박정원(약 7.7%), 박지원(약 5.5%) 등으로 분산.
    • 지배 철학: ㈜두산을 정점으로 에너빌리티(발전), 로보틱스(스마트머신), 퓨얼셀(수소)에 ‘에너지–친환경–스마트장비’ 3축을 세우는 방향성.

     

    5) 그룹 분기(타임라인) — “두산 이름의 계열들이 어떻게 갈라졌나”

    • 2014~2017: 연료전지 사업 진입(국내 FuelCell Power·미국 ClearEdge 인수) → 2017 두산로보틱스 설립.
    • 2019.10: ㈜두산이 연료전지·소재(솔루스)를 분할·재상장두산퓨얼셀·두산솔루스 출범(스핀오프 비율 공시).
    • 2021.8: 두산인프라코어 매각(현 HD현대 Genuine 편입), 그룹 재무개선. 지게차(DIV)는 두산밥캣으로 편입.
    • 2022.3: 두산중공업 →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에너지+서스테이너빌리티).
    • 2024.7~8: 로보틱스가 밥캣을 100% 자회사로 묶는 스핀오프·주식교환 계획 발표 → 반대 여론으로 8월 말 철회.
    • 2024~2025: 에너빌리티–퓨얼셀 수소 밸류체인 강화(지분고리 유지), DMI는 수소드론/소형연료전지 사업 정비.

     

    6) 세 회사(두산/두산퓨얼셀/두산에너빌리티) 간 상호관련성(사업 관점)

    • 두산에너빌리티 ↔ 두산퓨얼셀: 에너빌리티가 1대주주로 투자·공급망 연계(발전 EPC·터빈·풍력 ↔ 연료전지 패키지). 한국 RPS/수소정책 사이클에 동조화.
    • ㈜두산 ↔ 양사: 지주로서 에너지-수소-로봇-전자소재 포트폴리오 자본배분·브랜딩·IT(DDI)·조달을 통합 지원.
    • 밥캣/로보틱스 ↔ 본류: 로봇/소형장비 데이터·전동화·자율작업에서 장기 시너지 모색(합병 무산에도 사업협력 가능성 열려 있음).

     

    7) 투자 포인트 & 리스크 체크리스트

    [포인트]

    1. 지배 안정성: ㈜두산(최대주주 등 약 40%)→에너빌리티(30.39%)→퓨얼셀(~37.9%)로 이어지는 직접 지배 사슬이 명확.
    2. 에너지 전환 베팅: 원자력·가스터빈·풍력과 연료전지의 정책/수주 사이클 랠리 시 동시 수혜 구조.
    3. 스마트머신 축(로보틱스·밥캣): 합병 무산에도 로보틱스 지배력 유지, 밥캣은 물류장비(DIV) 편입으로 캐시카우 역할 지속.

    [리스크]

    a) 정책/규제 민감도: 원전·수소·신재생 정책 축 변화, 연료전지 REC·보조금 스키마 변경.

    b) 대규모 프로젝트 리스크: 발전 플랜트/EPC의 원가·환율·수금(해외) 리스크는 상존. (IR/보도·산업 특성 일반론)

    c) 그룹 구조조정 변수: 2024년 구조개편 무산 사례처럼 향후 지배구조 이벤트의 주가 변동성 가능.

    d) 수소 상용화 속도: 연료전지·수소드론의 시장 보급 속도와 단가 하락 궤적.

     

    8) “두산 성(姓) 회사들의 갈래” — 지배 블록별 정리

    • ㈜두산 블록(지주 직할): ㈜두산–(지배)→ 두산에너빌리티(발전본류)·두산로보틱스(스마트머신)·오리콤(광고)·두산테스나(반도체테스트)·DDI(IT)·DMI(수소드론)…
    • 특징: 지주→에너지/수소/로봇/전자소재의 4축. (상속·스핀오프 이후에도 ‘두산’ 상표 사용)
    • 분리·매각되어 ‘두산’ 이름을 벗어난 축: 두산인프라코어(現 HD현대 인프라코어/Develon) 등은 2021년 매각되어 두산 지배권 밖.
    • 브랜드는 ‘두산’이어도 지배는 타 그룹: 위 인프라코어 사례처럼 과거 두산 브랜드/사업이 타 그룹으로 이동했음을 유의.

     

     

    기타 요약

    • 요지: ㈜두산(오너일가) → 두산에너빌리티(발전 본류) → 두산퓨얼셀(수소), 그리고 로보틱스/밥캣(스마트머신) 축으로 “에너지·수소·스마트장비” 삼각축을 만드는 중입니다.
    • 투자 시: (1) 정책·수주 사이클, (2) 대형 EPC 리스크, (3) 그룹 지배구조 이벤트(합병/스핀오프) 가능성, (4) 수소 보급 속도를 꼭 점검하세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