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두산퓨얼셀 기업분석/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수소차(연료전지/충전소) 테마주/ 재무, 관련기업(두산에너빌리티, 두산)/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6 회 2025-10-28

  • 두산퓨얼셀, 코스피, 336260

    1) 테마 연관성 (SOFC·수소차/충전소)

    •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존 PAFC에 더해 중저온형 SOFC를 개발·양산 추진(세레스파워와 셀스택 양산기술 협력, 2025년 50MW 설비 가동 계획, 투자 1,558억원). 발전용 SOFC는 2025년 양산, 선박용 SOFC는 2025년 실증 운항 목표. 【산업·정책】 RPS·수소법·CHPS(청정수소 발전의무화)로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확대.
    • 수소차(연료전지/충전소): 2024.01 자회사 하이엑시움모터스(100%) 편입으로 수소버스 등 친환경 상용차 사업 진출 준비. Ballard·HyAxiom과 모빌리티용 PEMFC·버스·충전소 협력 MOU(2022.04). 정부는 2030년까지 상용 수소차 3만대 보급 목표.

    • 그 외 테마/정책 연계: 선박용 SOFC(친환경 선박), 분산발전·데이터센터 전력 안정화, CHPS 입찰시장(일반·청정수소) 경쟁 본격화.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누적 설치점유율 약 52%로 1위(자체 추정).

    2) 회사 개요·사업내용 요약

    • 설립/상장: 2019.10.01 ㈜두산 연료전지사업 인적분할 신설, 2019.10.18 유가증권시장 상장(특례상장 아님).
    • 주요사업: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주기기)+장기유지보수(LTP) 중심. 2024년 매출 비중 주기기 71% / LTP 29%.
    • 시장·정책 환경: 수소법(2021 시행), CHPS 도입(2022 개정) 및 2023~2024 입찰시장 개설로 구조화.
    • 신규/확장: SOFC 양산(2025~)·선박용 실증(2025)·수소버스 사업 준비.

    3) 재무 요약 (단위: 백만원, 연결 기준*)

    /* 주: 회사는 2024년부터 연결 재무제표 작성(종속회사 편입). 2023·2022는 사업보고서 ‘요약 연결 재무정보’에 별도 기준으로 병기되어 있어 비교 시 유의. */

    구분202420232022
    매출액411,784260,886312,149
    영업이익-1,7291,6426,862
    당기순이익-10,475              -8,500-12,453
    자산총계1,180,0321,070,843             1,026,930
    부채총계677,275558,191503,865
    자본총계502,758512,652523,065
    자본금8,1848,1848,184
    부채비율(%)     136.5108.996.3(자체 계산)

    근거: ‘요약 연결 재무정보’ 및 연구개발 파트 공시(부채·순차입·부채비율), 2024년 연결전환 주석.

    4) 매출 구조 (품목별, 2024)

    • 주기기 292,100 (71%), 장기유지보수 119,700 (29%).

    5) 대주주·지분 구조 (2024.12.31 기준)

    • 최대주주: 두산에너빌리티㈜ 30.33%(보통주 24,819,320주).
    • 소액주주 비율(유동주식비율 지표로 활용): 55.60%(주주 수 155,008명, 소액주식 45,388,311주 / 총발행주식 81,645,247주).
    • (참고) 최대주주 변경 이력: 2020.09.04 박정원 등 13인이 보유한 두산퓨얼셀 보통주 12,763,557주두산에너빌리티증여 → 2020.11.26 이행, 최대주주가 ㈜두산 → 두산에너빌리티로 변경.

    대주주(법인) 약력/개요

    • 두산에너빌리티㈜(KRX:034020): 발전설비·주조/단조·담수·신재생 기자재 등 글로벌 플랜트 기업, 두산그룹 핵심 계열.
    •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두산, KRX:000150): 그룹 지주격 법인. 대표이사 박정원(보고서상 지분 5.99% 표기).

    6)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두산에너빌리티㈜(034020): 두산퓨얼셀 최대주주(30.33%).

    ㈜두산(000150): 두산에너빌리티의 최대주주(보고서 상 ‘최대출자자’로 ㈜두산 표기)로 그룹 최상위 법인.

    (비상장/해외) HyAxiom, Inc.(관계회사·기술·매출입), 하이엑시움모터스㈜(100% 자회사).

    7)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시간순)

    • 2019.10.01 ㈜두산 연료전지 사업 인적분할 신설2019.10.18 코스피 상장(특례 없음).
    • 2020.12 주주배정 유상증자 3,360억원(보통주 10,000,000주).
    • 2020.11.26 최대주주 ㈜두산 → 두산에너빌리티로 변경(증여 이행).
    • 2021.12~2026.09 두산에너빌리티와 연료전지 주기기 공급계약 140,500(백만원).
    • 2022.02.08 RSU 운영규정 제정(임원 보상).
    • 2023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상·하반기).
    • 2024.01.02 하이엑시움모터스 100% 취득(투자 500). 2024.02.23 중앙대 금전기부(1,000). 2024.12.31 ㈜두산으로부터 전극 생산 자산 양수 22,457. (이사회 결의일 포함)

    8) 최근 2년 적자(연결) 원인 분석 / 단위 백만원

    • 가격·비용 요인: 입찰시장 개시로 연료전지 판가 하락, 설비투자에 따른 고정비 증가 → 2024년 영업이익 연결 -17억원(별도 +3억원).
    • 연결 범위 확대: 2024년부터 종속회사(하이엑시움모터스) 비용이 연결 반영되어 연결 영업적자 전환·확대. (경영진 코멘트)
    • 결과: 2023년 당기순손실 -8,500, 2024년 -10,475(연결).

    9) 지난 5년 특이 사항 교차분석

    • 2019: 두산에서 인적분할 신설·상장 → 독립 자본시장 접근 가능.
    • 2020: 최대주주 변경(두산→두산에너빌리티, 증여), 대규모 유증(3,360억) → 재무안정·성장자금 확보.
    • 2021: 그룹 내 장기 공급계약 체결(2021~2026) → 수주·매출 가시성 제고.
    • 2022: RSU 도입·모빌리티 MOU(PEMFC·충전소) → 인력유지·신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 2023: CHPS 제도화·입찰시장 개시 → 판가 하락·경쟁 심화의 구조 변화 시작.
    • 2024: 하이엑시움모터스 편입·전극 자산 양수·SOFC 양산 투자 → 단기 비용·고정비 증대(적자),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 2025E: SOFC 50MW 설비 가동 시작(양산), 선박용 SOFC 실증 → 외형·포트폴리오 다각화 기대 vs CHPS 경쟁 지속.

    10) 투자 체크포인트

    P(+) 긍정적 관점

    •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누적 점유율 1위(약 52%), 2024년 127MW 수주 확보 등 레퍼런스·수주 파이프라인.
    • CHPS·수소법 등 정책 드라이브 지속, SOFC 양산 시작으로 제품 라인업·효율 개선 기대.
    • 그룹 내 두산에너빌리티·㈜두산과의 공급·자산 협력(전극 생산자산 양수)로 원가·공급망 안정화 기대.

    N(-) / Risk 부정적 관점

    • 입찰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판가 하락, 고정비 부담(설비·신사업 초기비용) → 연결 적자 지속 위험.
    • 정책 의존도(수소·친환경 상용차 보급 정책, CHPS 규정 변화) 및 환율·원자재 가격 변동 위험.
    • 부채비율 2024년 136.5%로 상승(2023: 108.9%)—설비투자·신사업 반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