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랩스, 코스피, 090370
1) 테마 연관성 (탈모치료·화장품·패션의류 + 그 밖의 이슈)
탈모치료: 2023.4.24 메타랩스가 메디컬 탈모케어 기업 ‘모모랩스’를 자회사로 편입(55.85%)—모모성형외과 등 모발이식 특화 병원과 MSO(병원경영지원)·IT 솔루션·탈모 빅데이터 사업을 전개. 이로써 탈모 전문 의료컨설팅 축(모모랩스·메타에스앤씨/메타케어)을 확보했습니다.
화장품: 연결 매출 내 ‘화장품’ 부문을 별도 라인으로 공시(2022~2024). 2024년 32.7억(전체 8.5%).
패션의류: 기존 주력 사업으로 여성·캐주얼 타깃 패션사업을 지속(ENVYLOOK 등). 사업보고서 ‘패션부문’ 설명이 존재.
기타/특이 테마(정치·정책 외):
의료기기·의약품 유통: 2024.8.5 코스피 상장사 ‘에스메디(현 메타케어, 118000)’ 경영권 지분 29.99% 인수(468억원) → 그룹 내 헬스케어 유통/의료 MRO 확대 축.
광고·AI/IT 접점: 과거 관계회사 테크랩스(애드테크) 등과 시너지 서술.
2) 회사 일반사항·사업개요 요약
- 법인설립 2000.11.3(아비스타) → 2018.3.30 ‘메타랩스’로 상호 변경. 2006.12.26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 사업: 패션, 화장품, MSO(경영컨설팅/헬스케어) 및 헬스케어 유통(메타케어) 등. 2023~2024년 모모랩스 편입·메타케어 인수로 탈모·미용의료 중심 MSO/유통 체계 강화.
3) 연결 재무요약(단위: 백만원, 지난 3년)
| 구분 | 2024 | 2023 | 2022 |
| 매출액 | 38,359 | 21,599 | 22,659 |
| 영업이익 | -3,202 | -3,860 | -2,047 |
| 당기순이익 | -749 | -7,438 | -4,146 |
| 부채비율(%) | 67.70 | 52.39 | 14.11 |
| 자본금 | 62,262 | 62,262 | 62,262 |
| 자본총계 | 79,454 | 73,402 | 78,887 |
근거: 손익/비율표 및 재무상태표(천원→백만원 환산).
4) 매출구조(상품/서비스 비중, 단위: 백만원·%)
| 연도 | 패션 | 경영컨설팅/헬스케어(MSO) | 화장품 | 합계 |
| 2024 | 12,901 (33.6%) | 22,185 (57.8%) | 3,274 (8.5%) | 38,359 |
| 2023 | 4,226 (19.6%) | 12,407 (57.4%) | 4,966 (23.0%) | 21,599 |
| 2022 | 16,423 (72.5%) | 128 (0.6%) | 6,107 (27.0%) | 22,659 |
근거: 사업부문별 매출액 표.
5) 대주주 지분현황(사업보고서 기준, 2024.12.31, 단위: 주·%)
| 구분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 (주)위버랩스 | 10,000,000 | 40.15 |
| 이종우 | 2,258,963 | 9.07 |
| (주)리팅랩스 | 1,403,508 | 5.64 |
| 기타(유동주식) | 11,242,218 | 45.14 |
| 합계 | 24,904,689 | 100.00 |
※ 유동주식비율(기타) 45.14%.
6) 대주주(위버랩스) 프로필
- (주)위버랩스: 2022.7.5 최대주주로 변경(이종우 외 1인 → 위버랩스 외 3인).
- 소유·운영: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위버랩스는 이종우 회장이 100% 지분을 보유한 특수관계 법인으로 소개됩니다.
- 투자이유·방식: 메타랩스의 헬스케어(탈모 전문 MSO) 전환 및 성장을 위해 3자배정 유상증자·지분 인수 등을 활용해 경영권 우호지분을 구축. 이후 자회사(모모랩스) 편입과 코스피 상장사 ‘에스메디(현 메타케어)’ 인수로 그룹 포트폴리오를 확장.
- 사업방식(그룹 관점): MSO(병원경영지원) + 의료유통(메타케어) + 패션/화장품—탈모/미용의료 파이프라인과 소비재 간 시너지 추구.
7)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사
- 메타케어(구 에스메디, KOSPI: 118000): 2024.8.5 경영권 지분 29.99% 인수(468억원) → 2024.8.12 전환우선주 전환으로 보통주 기준 34.62%로 변동(최대주주).
- 상호변경 공시(에스메디→메타케어), 코드 118000 확인.
8) 상장이력·특례 여부
- 2006.12.26 유가증권시장(코스피) ‘보통상장’(특례상장 아님). 상호는 2018.3.30 ‘아비스타’→‘메타랩스’로 변경.
9)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연도별 타임라인)
2021
- 메타에스앤씨(현 메타S&C) 지분 추가 인수(제3자배정).
2022
- 모모랩스 18.57% 취득(4월).
- 최대주주 변경: 이종우 외 1인 → (주)위버랩스 외 3인(7월 5일).
- 주식병합(병합 공시, 2022.12.02)으로 액면변경 이력(외부 레퍼런스).
2023
- 모모랩스 추가 취득 → 연결 종속회사 편입(4.30 기준).
- 대표이사 선임(하지성, 6월 7일).
2024
- 코스피 상장사 에스메디(현 메타케어) 경영권 지분 29.99% 인수(8월 5일) → 8월 12일 전환우선주 전액 전환으로 34.62%로 확대.
- 인수재원·운영자금 위해 회사채(전환사채) 181억원 발행(8월 2일, 제14회), 2024년 회사채 120억원 상환(10월 29일).
- 관계회사 테크랩스 지분 전량 양도(8월 2일) 및 아이겐코리아 분할 배분(7월 1일) 등 포트폴리오 재편.
2025
- (분기) 탈모 전문 의료컨설팅 강화를 지속(1Q 실적 코멘트).
10) 지속적 적자(영업손실) 사유 분석
- 사업 믹스 전환기의 비용 압박: 2024년 매출은 384억으로 급증했지만(전년 +77.6%), 판관비가 120.9억으로 증가(+19.3억)하면서 영업손실은 32.0억. MSO·헬스케어는 인력·마케팅·시스템 선투자가 크고, 신규 편입 법인(모모랩스·메타케어) 흡수 과정의 비용/정합화 비용이 반영된 구간.
- 기타비용·금융구조 영향: 2024년 ‘기타비용’ 75.7억(전년 47.5억)으로 확대—관계회사 정리·자산평가·소송/일회성 비용 등이 포함되는 항목으로 손익변동성이 큼. 재무활동에서 181억원의 사채(전환사채) 발행과 일부 상환 흐름이 확인되어(순유입 160억대) 재무구조 조정의 과도기적 비용(이자·발행 관련 등)도 추정됩니다.
- 패션 부문 구조조정 후 회복 지연: 패션 부문 매출 감소와 비용 증가가 과거 수익성 악화의 축. 2024년엔 비중이 33.6%까지 축소되어(’22년 72.5%→’24년 33.6%) 체질전환 중.
11) 최근 5년 재무·지배구조 관련 특이사항
- 지배구조 전환(’22): 위버랩스 체제로 최대주주 변경 → ’23 모모랩스 연결 편입, ’24 메타케어(코스피) 인수로 헬스케어 중심 포트폴리오 완성도 상승. 동시에 패션/화장품은 비중 축소.
- 재무구조: 부채비율 253.4%(’22) → 52.4%(’23)로 급락 후 ’24 67.7%—메타케어 인수(투자활동 현금 유출 468억)와 전환사채 발행(재무활동 순유입) 영향이 혼재.
- 주식병합(’22.12): 액면·주식 수 조정으로 유통주식 관리. 이후 2024~2025년엔 전환사채/채권 상환·발행 병행.
- 관계회사 재편(’24): 테크랩스 지분 양도·아이겐코리아 인적분할로 비핵심 영역을 정리하고 헬스케어 쪽 자금·역량 집중.
12) 투자 시 고려 포인트
- 핵심 축의 질적 성장: MSO(모모랩스·메타S&C) + 유통(메타케어)의 시너지 실행(공동 영업/조달·병원 네트워크 확장)이 손익분기점(BEP) 전환의 관건. 메타케어 실적 추세·신규 품목(의약품·의료기기) 확장 확인 필요.
- 비용·기타손익의 변동성: 2024년 기타비용 급증(75.7억)·재무활동(사채 발행/상환) 큰 폭 변화—일회성 요인/상각·평가손익의 내역을 분기보고서로 점검 권장.
- 패션/화장품의 역할: 비중 축소 추세이나 브랜드 파이프라인 유지. 비핵심·저수익 라인의 추가 구조조정 여부가 전체 마진에 영향.
- 지분구조 안정성: 최대주주(위버랩스·특수관계) 합산 54.86%—경영권 안정성은 높으나, 대규모 M&A/CB 등 자금조달 시 주주가치 희석 가능성 체크.
- 테마 민감도: 탈모치료 관련주로 시장 변동성(뉴스 모멘텀)에 민감. 실제 실적 개선 동반 여부를 함께 확인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