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 코스피, 093370
1) 테마 연관성 요약
- 2차전지: 전해질염 LiPF₆(리튬헥사플루오로인산) 및 첨가제 사업을 영위. 2023년 EV 둔화·중국발 증설로 LiPF₆ 가격 급락/가동조정 이슈가 실적에 큰 영향을 줌. 2023.4 울산 LiPF₆ 생산 일시중단 공시/보도도 있었음.
- 온실가스(탄소배출권): HCFC-22 공정 부산물 HFC-23 열분해 감축(CDM) 프로젝트 수행 기업. 울산 CDM 등록(연간 140만tCO₂e 감축 설계) 및 과거 CER 발행 승인 사례.
- 리튬: LiPF₆ 등 불소계 전해질염·첨가제는 리튬이온전지 핵심 소재. (사업 다각화의 주축)
- 3D 낸드 / 반도체재료: NF₃, WF₆, C4F6 등 반도체 특수가스 및 무기불화물 생산. 미세화·3D 공정 확대로 수요 증가(회사/컨센서스 요약). 2025.1 특수가스 JV 설립 공지.
- 기타(정치·그룹) 테마: 창업주 가계가 ‘범현대가’ 방계에 속한다는 인식(정주영 일가 연고).
2) 회사 개요
불소화학 기반의 냉매·2차전지소재·무기불화물·반도체 특수가스와, 종속사 한텍을 통한 화공기기/탱크 사업을 병행하는 기초화학 기업. (유가증권시장 상장)
3) 연결 재무요약(최근 3년,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610,600 | 523,200 | 437,800 |
| 영업이익 | 105,400 | -46,100 | -9,600 |
| 당기순이익 | 112,400 | -84,400 | -83,400 |
| 부채비율 | 124.84% | 157.45% | 148.32% |
| 자본금 | 47,200 | 47,200 | 53,600 |
| 자본총계 | 415,300 | 331,500 | 332,700 |
주: 2024년 자본금 증가는 주주배정 유상증자(’24.1 공시, ’24.4 확정가 6,400원) 반영.
4) 매출구조(제품/서비스)
사업부문: 냉매류 / 반도체 특수가스(NF₃·WF₆·C4F6 등) / 무기불화물 / 2차전지 전해질염·첨가제 / (종속) 한텍 화공기기·탱크.
5) 대주주 지분(5% 이상+특수관계 포함) & 유동주식
| 구분 | 지분율 |
| 김용민(외 11인, 김근수·후성홀딩스·계열 포함) 합산 | 46.04% |
| └ 김용민 | 20.85% |
| └ 김근수 | 11.69% |
| └ ㈜후성홀딩스 | 11.33% |
| └ (기타 특수관계) 트래닛 0.54%, 후성정공 0.48% 등 | – |
| 유동주식비율 | 53.96% |
※ 언론·공시 기사에서도 최대주주 측 지분구성(김용민/김근수/후성홀딩스 등)을 수시 인용. 유상증자 시 참여
6) 대주주 약력(요지)
- 김근수 회장: 후성그룹 창업자. 경희대 경영·CSU 대학원. 정주영 명예회장의 외조카로 ‘범현대가’ 방계. 방산·내화물(퍼스텍·한국내화) 등 계열 확장 주도.
- 김용민 총괄/대표: 1976년생, 워싱턴대/코넬 MBA. 2010년대부터 경영 전면. 2차전지소재 해외 확장(중국·미국) 및 장기공급 계약 등 주도. 2024년 대표로 선임.
7)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 계열사/관계사
- 한텍(A098070, 코스닥): 후성그룹 화공기기/탱크 제조. 2025.3 코스닥 상장(공모 흥행, 상장일 급등). 상장 후에도 후성이 지분 69.37% 보유.
- 그룹 차원에서는 후성글로벌(해외 중간지주, 비상장)의 상장 추진 보도(’22~’23)가 있었음
8) 상장 이력
- 설립/상장: 2006-11-24 설립, 2006-12-22 유가증권시장 상장.
9) 상장 이후 ‘특이 이벤트’(연표형)
- 2010: HFC-23 열분해 CDM 승인·CER 발행(온실가스 감축 수익).
- 2015~: 사업 구조조정·적자 국면 언급 공시(투자설명서 정정 등).
- 2021: (그룹) 해외 중간지주 후성글로벌 신설, 이후 IPO 추진 보도(’22~’23).
- 2023.4: LiPF₆ 생산 일시중단(재고조정 목적) 공시/보도. 2차전지 업황 둔화 신호.
- 2024.1~4: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약 1,013억), 확정 발행가 6,400원. 자본금 증가·재무구조 보완.
- 2025.1: 반도체 특수가스 JV 설립 공지(회사 공지).
- 2025.3: 종속사 한텍 코스닥 상장, 후성 구주매출 수익 확보·지분 69.37% 유지.
대주주 변경: 공시·기사 기준에서 오너 2세(김용민)로의 권한 이양이 2010년대에 진행(증여 포함). 최대주주 ‘변경’은 승계 과정(증여·유증 참여 등)으로 점진 진행. 유상증자(2024)에서는 오너·특관 일부 부분참여(절반 수준) 보도가 있었음.
10) 2023·2024 연속 적자 이유
- 가격·수요 충격: 2023년부터 EV 둔화/중국 증설로 LiPF₆ 단가 급락·가동조정 → 전해질 부문 손실 심화. 생산중단/재고조정 공시.
- 재고·운전자본 부담: 투자설명서 정정본에 재고자산회전일수 증가(2020→2022 연속 상승)가 명시. 가격 하락 국면에서 재고평가·운전자본이익 악화 요인.
- 제품 믹스: 전통 냉매/불소계는 쿼터·가격 상승으로 일부 보완되었으나, 전해질 부문 충격을 상쇄하기엔 부족(회사 요약).
11) 부채비율 100% 초과의 배경
- 분자(부채): 업황 둔화기 운전자본(재고)·차입성 운전자금 및 프로젝트 투자·종속사(한텍) 확장 등에 따른 총부채 수준 유지/증가.
- 분모(자본): 2023~2024 누적 순손실로 자본총계 축소 → 부채비율(부채/자본) 급등. 2024 유상증자로 자본금/자본총계가 다소 보강되며 157%→148%로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100% 상회.
12) 최근 5년(2021~2025) 주요 포인트 분석
| 연도 | 내부(제품/사업) | 외부(업황/규제) | 재무/지분 이벤트 | 내러티브 |
| 2021 | 해외 중간지주 후성글로벌 신설 | EV 사이클 호조 | – | 전해질·특수가스 해외축 강화 의지 표명. |
| 2022 | 전해질 증설 기조 | – | – | 고점 국면 종결 조짐. 2022 실적 피크(영업이익 1,054억). |
| 2023 | LiPF₆ 생산중단(재고조정) | EV 둔화/중국 공급과잉 | – | 가격급락·재고부담 → 영업·순손실 전환. |
| 2024 | 냉매·특수가스 보완 | 설비투자 위축·자금비용 부담 | 유상증자 ~1,013억(확정가 6,400원) | 자본 보강으로 재무완화(부채비율 148%). 여전히 저수익/적자. |
| 2025 | 반도체 특수가스 JV·한텍 상장 | 반도체 빅사이클/미세화 재개 | 한텍 지분 69% 유지·구주매출 수익 | 전해질 의존도 완화, 포트폴리오 재균형 시도. |
13) 투자 시 체크포인트
제품 사이클 민감도
LiPF₆ 가격과 가동률이 실적 레버리지의 핵심. 중국 증설·가격경쟁 재점화 가능성 상시 모니터. (생산중단/재개 공시 이력 참고)
포트폴리오 다변화 진척
반도체 특수가스(JV)·냉매/불소계 수익성 회복 속도로 전해질 리스크 상쇄 가능한지 확인. (회사 요약)
재무 안정성
유증으로 완화됐지만 부채비율 148%(’24) 수준. 운전자본(재고) 컨트롤과 영업현금흐름 회복 추적.
지배구조/계열 이벤트
한텍 상장 이후 내부거래·지분율 변동(추가 구주매출/블록 등), 후성글로벌 상장 재추진 여부.
규제·쿼터
냉매 쿼터/가격, 탄소·환경 규제 방향(온실가스/불소가스 규제) 체크. 과거 CDM 수익은 환경·시장 제도 변화에 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