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전방 기업분석/ 산업(방직, 섬유의류)/ 재무(**지속 적자 주의)/ 높은 자사주 비율(32.17%)/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5 회 2025-10-25

  • 전방, 코스피, 000950

    1) 테마(연관성·기타 이슈)

    핵심 업종/테마: 방직(면·혼방사, 실/직물), 섬유·의류 내수, 일부 자동차 인테리어 소재(산업용 직물)로 확장된 전통 섬유기업. 회사 스냅샷에도 의류·생활용품·자동차 인테리어 소재 등 기초 원재료 생산이 명시됩니다.

    부각 가능한 보조 테마:

    구조조정/자산가치(저PBR): 영암(직물)·익산(사류) 공장 생산중단(2023) 등 설비 합리화 이슈. 저PBR, 고자사주 비중(32%대)과 맞물려 지배구조/자사주 활용 이슈 때 기사로 자주 언급됩니다.

    내수경기/원면가격·환율 민감 섬유주: 내수 둔화로 실적 악화 코멘트 다수.

    정치·기타 특이 테마 연결 사례: 특정 정치테마 직접 연결 사례는 뚜렷하지 않음. 다만 자사주 의결권 제한 논의(정부·국회발) 같은 지배구조 제도 변화 뉴스에서 자사주 비중이 높은 기업의 사례로 빈번히 거론(전방 자사주 32.2%)됩니다.

     

    2) 회사 개요

    1953년 설립, 1968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면·혼방사(사류) 중심의 실/직물 제조·가공 및 판매. 본사 서울(서대문), 최근 공장 생산 중단(영암·익산) 등 구조조정 병행.

    매출 구조(2024년, 연결):

    제품 사류 96.87%, 포류 1.48%, 기타 1.65%

    내수 62.1% / 수출 37.9% (사류 내수 61/수출 39, 포류 내수 90/수출 10)

     

    3) 재무제표 요약 (연결, 최근 3개년 / 단위: 백만원) /

    현재 공시자료에서 사업보고서가 완전하지 않은 상태임.

    연도매출액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부채비율(%)        자본금          자본총계
    2022      124,900       N/AN/AN/A8,400N/A
    202394,800N/AN/AN/A8,400N/A
    202457,200–8,4008,700N/A8,400N/A

     

    4) 매출 구조 (제품/유형 비중)

    제품 비중(2024): 사류 96.87% / 포류 1.48% / 기타 1.65%

    지역 비중(2024): 내수 62.1% / 수출 37.9% (사류 61/39, 포류 90/10, 임대 100/0)

    → 사류(면사·혼방사)가 사실상 본업 매출 대부분을 차지, 해외판매도 40% 내외 비중.

     

    5) 대주주·특수관계인 및 유동주식 비율

    구분지분율(보통주)                비고
    자기주식32.17%(2006.12.27 기준 공시 반영)
    삼영엔지니어링 외 4인              16.53%최대주주 그룹(삼영엔지니어링·정덕재단·전산텍스 등 포함)
    김종빈 외 10인5.43%과거 최대주주 측 잔여 지분
    유동주식(추정)약 45.9%100 − 32.17 − 16.53 − 5.43 (= 45.87)

     

    6) 대주주 약력·관계사(비상장) 설명

    • 삼영엔지니어링㈜(최대주주): 1988.4.9 설립. 금속탱크 제조 및 환경오염방지업 등 영위. 전방의 최대주주로 2014년 ‘김종빈 외’ → ‘삼영엔지니어링 외’로 최대주주 변경(장내매도에 따른 변경) 공시.
    • 정덕재단(재단법인): 장학사업 등을 하는 재단법인. 전방의 특수관계자(주주)로 대량보유 보고서에 등재. (사업자등록번호 210-82-11056)
    • 전산텍스㈜: 펠트·부직포 관련 제조/도매 영위. 대표자 조덕현(전방 대표와 동일 성명)로 표기된 채용/등록 정보 존재(동일인 여부는 공시에서 특수관계로 명시). 대량보유 보고서에 특별관계자로 기재.
    • 상장 계열/지분 연결 상장사: 공시·기업정보 상 직접적 지배·지분관계로 연결된 타 상장사 없음(전방·삼영엔지니어링·전산텍스·정덕재단 모두 비상장 또는 재단). 필요시 지분공시 전수검색으로 재확인 가능합니다.

     

    7) 상장 이력·주요 이벤트(최근 5년 타임라인)

    • 상장: 1968.10.21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4.09.04: 최대주주 김종빈 외 → 삼영엔지니어링 외로 변경(장내매도에 따른 변경, 추가 취득 없이 변경).
    • 2023.04.01: 영암공장(직물·염색) 생산중단. 2023.12.01: 익산공장(면사) 생산중단. 구조조정 가속.
    • 2024: 공시 서술상 영업손실 △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0억원 개선, 당기순이익 87억원 기록(단, 영업 외 손익 영향).
    • 2025.03~06: 금전대여 결정(여러 차례 정정 포함),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 주식변동 신고, 현저한 시황변동 조회공시 요구(6/12) 등 공시 다수. 2025.1Q 연결 매출 12,827백만원, 영업손실 1,108백만원(적자지속) 보도/집계.

     

    8) 지속적 영업적자 원인 분석

    • 원가·판관비 구조 악화: Fnguide 기준 매출원가율이 2022~2024년 고공행진(’22=123.3%, ’23=127.4%, ’24=106.5%), 판관비율 상승(’21 4.2% → ’24 8.3%). 원면가격·환율 영향과 저수익 제품믹스가 결합.
    • 내수 부진·외형 축소: 회사 스냅샷에 내수경기 둔화로 실적 악화가 반복 서술, 게다가 생산중단(영암·익산)로 단기 외형 감소 불가피.
    • 구조조정 비용·유휴자산 부담: 공장 스톱에 따른 고정비/폐쇄 관련 비용, 인력·설비 재배치 등 일회성·반복성 비용이 영업손익에 압박. (생산중단 공시·연혁 참조)
    • 요약: 매출총이익률 하락 + 판관비율 상승 + 외형 축소(설비 합리화) → 영업적자 구조 고착. 다만 2024년 당기순이익은 영업 외 요인(평가·처분, 금융손익 등) 개선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9) 자사주 비율이 매우 높은 이유 & 특수관계 법인 설명

    • 자사주 비율 32.17%: 과거 매입/보유분이 장기 누적(2006.12.27 공시 시점부터 반영)되며 확대. 지배력 유지·의결권 캐시백(합병·소각 등 옵션) 목적의 전통적 방어 수단으로 해석되나, 자사주 의결권 제한 강화 논의 시에는 우호지분 효과 축소 리스크가 큼(자사주 우호분 제외 시 지배력 하락). 실제 기사에서 전방은 자사주 제외 시 지배력 급감 사례로 언급.
    • 정덕재단(재단법인): 장학사업 재단으로 등재, 전방과 특수관계자(주주). 재단을 통한 지분 우호망 역할. 운영주체·이사진은 공시에 주주로만 확인되며, 구체 운영정보는 재단 공시/공문서 추가 확인 필요.
    • 전산텍스(㈜): 펠트·부직포 관련 제조/도매 기업으로 특수관계자. 대표 조덕현 표기(전방 대표와 동명). 그룹 내 원부자재/가공 밸류체인 또는 금전·거래 우호관계일 가능성. (특수관계자 명시)
    • 삼영엔지니어링(㈜): 금속탱크·환경시설 등 제조업, 전방 최대주주. 2014년 최대주주 변경의 주체. 지배구조 상단에서 우호지분(정덕재단·전산텍스 포함)과 함께 안정적 지배 기반을 형성.

     

    10) 최근 5년 핵심 이슈 분석

    연도사업/운영재무지배구조/공시시사점
    2021~22내수 둔화, 원가상승 시작매출원가율↑(’22 123%)수익성 악화의 시작 구간
    2023영암/익산 공장 생산중단              외형 축소 가속설비 합리화 → 단기 실적 부담, 중장기 체질개선 포석
    2024생산거점 축소 체제영업손실 △84억·순이익 87억영업은 적자이나 비영업 개선으로 순이익 흑자 전환
    2025.1Q매출 12,827, 영업손실 1,108(백만원)                      금전대여 결정·현저한 시황변동 조회공시                        영업적자 지속, 재무/자금 운용 공시 다수 주시 필요
    제도변화         자사주 의결권 제한 논의자사주 32% 보유 기업 특성상 지배력 리스크 점검 필수

     

    11) 투자 시 핵심 체크포인트

    영업 정상화 vs 외형 축소

    2023년 생산중단 이후 수익성 중심 체제 전환이 성공하려면, 고마진 제품 믹스·판가/원가 관리·수출 비중 유지가 관건. 매출원가율·판관비율 추이를 분기마다 점검.

    자사주·지배구조 이슈

    자사주 의결권 제한 강화 시 우호지분 약화 가능성. 제도 변화 및 대주주·특수관계인 지분 변동 공시 수시 모니터링.

    금전대여·계열 거래

    2025년에 금전대여 공시가 연속. 상대방, 규모, 이자율, 담보, 자금 용도(운전자금/차입상환 등)를 꼼꼼히 확인 필요.

    원면/환율 민감도

    원면 시세·환율(수입원재료/수출) 민감. 판가 전가력 약화 시 마진 압박. 회사도 리스크 관리(원재료 스왑 등) 언급.

    저PBR 밸류/배당

    저PBR·현금배당 존재. 다만 영업 체력 회복이 동반되어야 밸류 리레이팅 가능. (지표·배당률 출처)

     

    기타) 대주주 변경(2014) 상세

    변경일: 2014.09.04

    변경 전/후: 김종빈 외 20인 → 삼영엔지니어링 외 10인 (지분 16.62%)

    사유: “변경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장내매도로 최대주주가 변경. 변경 후 최대주주는 추가 취득 없이 변경”

    공장 생산중단(2023) 상세

    영암공장(직물·염색): 2023.04.01 생산중단

    익산공장(면사): 2023.12.01 생산중단

    → 내수 부진·효율성 제고 목적의 구조조정 일환. 단기 외형 축소/고정비 부담, 중기 손익 개선 포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