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엔켐, 중앙첨단소재, 광무,협진 이니텍" 그룹의 실질 지배 구조 분석/ 오정강 라인의 수직계열화

    작은연못 35 회 2025-10-24

  • "중앙첨단소재–광무–엔켐–협진–이니텍"을 중심축으로, 상장/비상장 계열(혹은 실질 공동행동)까지 지분·거래·의결권 연계를 정리했습니다.

     

    1) 연결고리 요약

    핵심 축:

    엔켐(전해액)중앙첨단소재(리튬염/유통·JV EDL)광무(이차전지 소재 유통·통신장비)

    중앙첨단소재 지분은 광무·엔켐·아틀라스팔천의 의결권 공동행사(27.67%)로 사실상 묶여 있었고(2025.4.7 공시), 지분 이동 후에도 세 축의 결속이 유지되어 왔습니다.

    전해액 수직계열화: 엔켐(전해액)–중앙첨단소재(리튬염) JV EDL새만금 LiPF₆ 설비(최대 5만톤 CAPA 목표) 및 북미 JV(엔켐아메리카)까지 추진. 공급망 내재화 로드맵.

    협진의 역할: 본업은 식품가공 기계 제조지만, 광무 지분을 대거 취득하며 ‘전략적 파트너/재무적 조력자’로 등장(2024~2025). 2025.10~11 추가 취득 결의로 광무 지분 26%대까지 상승 예정.

    이니텍(IT보안): 2025.4 엔켐·중앙첨단소재가 최대주주로 올라섰다가, 2025.5~6 SJ제일차홀딩스 측에 전량 매각되어 빠르게 손바뀜. LBO성 구조·담보 설정 이슈 확인.

     

    2) 상장/비상장 현황표

    2-1. 상장사(핵심 5개)

    구분종목/코드주요사업최근 지분/변동 포인트(요지)
    전해액엔켐(278380, KQ)2차전지 전해액·첨가제오정강 대표+특수관계(와이어트그룹 등) 합산 20%대 지배력. 2025년 이니텍 딜 관여 후 보유 지분 전량 매각(5~6월). CB 회수·재매각 등 자금 운용 이슈 다수.
    리튬염/유통중앙첨단소재(051980, KQ)기존 PVC·건자재→ 2023~ 리튬염 유통/ JV EDL2025.4.7 최대주주 변경: 광무 외 2(공동행사 27.67%). 주요 주주: 광무·엔켐·아틀라스팔천. EDL 통해 새만금 LiPF₆·북미 JV 추진.
    素재·유통/통신광무(029480, KQ)통신장비, 2차전지 소재 유통2024~25 협진이 대량 취득(TRS·유증 이슈 배경). 2025.10~11 추가획득 결의로 26%대. 한편 중앙첨단소재 지분도 확대(아틀라스팔천 보유분 인수).
    설비/기계                   협진(138360, KQ)식품가공 설비(레토르트 등)                                                       광무 지분 연속 취득으로 2025.11 26.02% 예정. 본업과 이차전지 직접 시너지는 제한적이나 그룹 지배구조 정리에 핵심 변수.
    IT보안이니텍(053350, KQ)                            인증·암호화 보안/금융 IT2025.4 엔켐·중앙첨단소재가 합산 33.86%로 최대주주5~6월 SJ제일차홀딩스 측에 전량 매각(최대주주 변경). 담보·차입 구조(LBO) 확인.

    2-2. 비상장·SPV·JV

    구분명칭역할/특징상장사 연계
    SPV아틀라스팔천오정강 대표 지배 개인회사(지분 ~53% 보유 보도). 2023~2025 중앙첨단소재·광무 지분 축. 일부는 광무·중앙첨단소재에 매각/담보 제공.중앙첨단소재·광무(지분이동/담보/매각 주체)
    개인회사          와이어트그룹                오정강 대표 100% 개인회사. 엔켐 지분 콜옵션 행사·CB 조달로 지배력 강화 수단.엔켐(최대주주 측 특수)
    JVEDL(이디엘)엔켐×중앙첨단소재 50:50 합작. LiPF₆ 국산화(새만금)·북미 JV(엔켐아메리카) 추진, 단계적 CAPEX 6,000억+ 목표.                                                                                                   중앙첨단소재/엔켐
    SPCAI솔루션홀딩스이니텍 인수용 SPC. 차입의 담보로 이니텍 지분 제공→ 이후 엔켐이 최대주주전량 매각.이니텍(거쳐간 최대주주 구조)
    기타HF네트웍스2021~2023 중앙첨단소재(구 중앙디앤엠) 최대주주였다가 2023.2 아틀라스팔천으로 변경.중앙첨단소재(과거 최대주주)

     

    3) 지배구조도(표 형태)

    상단 축지배 수단중간 축지배 수단하단 축
    오정강(개인)        직접 지분 + 특수관계엔켐(278380)출자·거래·담보중앙첨단소재(051980)
    와이어트그룹(100%)JVEDL(LiPF₆)
    아틀라스팔천(~53% 보유 보도)         광무(029480)의결권 공동행사/지분 이동            중앙첨단소재(051980)
    (2025上) 협진(138360)광무 지분 대량 취득(광무 지배 강화)
    (2025.4) 이니텍(053350)           SPC 담보→최대주주매각(이탈)
    • 중앙첨단소재 최대주주 변경(2025.4.7): 광무·엔켐·아틀라스팔천의결권 공동행사(27.67%) 주체. → 이후에도 세 축 보유분이 핵심 영향력 행사.
    • 광무–중앙첨단소재: 2025.3~4 광무가 아틀라스팔천 보유 중앙첨단소재 주식 인수로 지분 확대.
    • 협진–광무: 2024~2025 협진의 광무 지분 연속 취득으로 2025.11 26%대 예정.

     

    4) 기업별 사업·특성·상호관련성

    • 엔켐: 글로벌 전해액 Top-tier 목표, 다국가 생산거점. 전해액 원료(리튬염) 내재화 위해 중앙첨단소재와 JV EDL 설립, 새만금 LiPF₆ 대규모 CAPEX와 북미 JV 추진(IRA·FEOC 대응). 단기적으로는 CB 회수·재매각, 담보·차입 기반의 유동성 관리가 눈에 띔.
    • 중앙첨단소재: 과거 PVC/건자재 중심에서 리튬염 유통 및 제조 합작(EDL)로 전환. 엔켐 캡티브 가능성(국내/미국 공급계약·JV·북미 JV)로 시너지 명확. 다만 과거 HF네트웍스→아틀라스팔천→광무·엔켐(공동행사)지배구조 변동 잦음.
    • 광무: 통신장비 + 이차전지 소재 유통. 2024~25에 중앙첨단소재 지분 확대협진에 의한 지배력 강화가 병행. 과거 TRS·CB·유증레버리지성 조달 활발.
    • 협진: 식품가공 설비 본업이지만, 광무 지분 대량 취득으로 구조 재편의 ‘키 플레이어’. 실질 사업 시너지는 제한적이나, 자금·지배력 안정화 측면에서 역할.
    • 이니텍: 2025.4 엔켐·중앙첨단소재가 최대주주5~6월 신속 재매각으로 그룹에서 이탈. 인수 당시 SPC 담보·차입(LBO) 구조 확인. 수직계열화 추진→단기 유동성 고려로 수정된 사례.

     

    5) 시간대별 히스토리

    2021~2022

    오정강 대표, 아틀라스팔천(개인 SPV) 설립 → 광무 경영권 확보 과정 관여(메리츠 TRS) 및 중앙첨단소재(당시 중앙디앤엠) 신주 인수.

    와이어트그룹 설립 후 엔켐 지분 콜옵션·CB 조달로 지배력 강화.

    2023

    중앙첨단소재 최대주주 HF네트웍스 → 아틀라스팔천으로 변경.

    2024

    EDL 설립·착공(새만금), 북미 JV(엔켐아메리카) 추진 발표.

    2025.2~4

    EDL 1,500억 펀딩 추진(총 CAPEX~6,000억 계획).

    이니텍 인수 구조 완성(엔켐·중앙첨단소재가 담보·상계로 최대주주).

    중앙첨단소재 최대주주 변경(4/7): 광무·엔켐·아틀라스팔천 공동행사(27.67%).

    2025.5~6

    이니텍 지분 전량 매각(엔켐·중앙첨단소재 → SJ제일차홀딩스 측), 최대주주 변경.

    2025.8~10

    계열 자금 이동·담보·매매 관련 보도(의혹성 보도 포함).

    협진의 광무 지분 추가 취득(10~11월, 26%대 예정).

     

    6) 오너일가/주요 인물 & 실질 지배

    오정강(엔켐 대표):

    특수관계(개인+와이어트그룹 등) 합산 엔켐 지배력 20%대. 아틀라스팔천을 통해 중앙첨단소재/광무 지분을 좌우해 수직계열화를 설계. 다만 CB·담보·TRS·지분 담보대출레버리지성 수단을 빈번히 사용.

    핵심 개인법인

    와이어트그룹(100%): 엔켐 지배력 보강용. 콜옵션·CB 조달에 활용.

    아틀라스팔천(~53% 보유 보도): 중앙첨단소재·광무 지분 축적·매각·담보 제공의 허브. 2025년에는 일부 지분을 광무·협진에 매각하며 지배 구조 재편.

    실질 지배 최상단 해석: 오정강(개인)(와이어트그룹·아틀라스팔천 등)엔켐/광무/중앙첨단소재.

    2025년 이니텍은 이탈, 협진은 광무 지배 강화로 새 변수.

     

    7) 투자 시 핵심 체크포인트(Risk & Watch-list)

    자금 구조/레버리지 노출

    담보 제공·TRS·CB 회수/재매각레버리지성 거래 빈도가 높음(지분 희석·오버행·담보처분 리스크). 엔켐 CB 재매각·콜옵션 사례 참고.

    대규모 CAPEX 실행 리스크(EDL)

    총 6천억+ 단계 CAPEX1,500억 펀딩 진행. 원재료(DFP/POCl₃ 등), 공정 안전·환경허가, 환율·금리 민감. 타임라인 지연 시 현금흐름 압박.

    지배구조 변동성

    최대주주/공동행사·담보권자·전략적 투자자(협진)지분 이동 속도가 빠름(2025년 이니텍 2개월 ‘턴어라운드’ 매각 등). 의사결정 일관성/소수주주 권익 점검 포인트.

    북미 규제(IRA/FEOC)·고객 인증

    EDL 북미 진출은 FEOC 회피·고객 인증 관문 존재. 일정·승인 지연 시 내재화 속도에 영향.

    사업 포트폴리오 이질성(협진)

    협진의 광무 지배 강화는 재무·거버넌스 안정 측면의 변수지만 사업 시너지는 제한적. 지배구조 목적의 투자 지속성·Exit 시나리오 체크 필요.

    과거 이력·의혹성 보도

    일부 매매·담보·자금 이동 관련 의혹 보도 존재 → 공시 원문 대사·재무주석로 팩트체크 권장.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