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케이케미칼, 코스닥, 104480
1) 테마 연관성 및 추가 테마
석유화학(핵심): 매출의 96.5%가 PET-Chip(병용·섬유용 수지)에서 발생해 정통 석유화학(수지) 업종의 성격이 매우 강합니다.
리사이클/친환경 소재: 2024년부터 PET 재활용(리사이클 칩) 사업을 본격화, 2025년 성장세를 전망합니다.
무역규제(반덤핑) 이슈: 중국산 PET 반덤핑 제소를 통한 국내시장 방어를 명시. 업황·스프레드 개선의 촉매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전자(디스플레이 부품): 전자부문(터치스크린 패널 등) 매출이 3.3% 비중을 차지합니다.
건설(분양/도급): 건설부문은 0.2%로 비중은 작지만, 그룹 내 ‘경남아너스빌(우방)’ 브랜드를 활용한 분양 계획을 지속합니다.
2) 회사 일반사항 & 사업개요
- 법인 개요: TK케미칼, 본점 대구, 대표이사 이동수. 2024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제출(2025-03-21).
- 연결 범위: 사업보고서 기준 연결대상 종속회사 “없음”(=사실상 단독 기준과 동일).
- 주요 사업: 화학(PET-Chip)이 주력, 전자(터치스크린/디스플레이 부품), 건설(분양·도급). 2024년 매출 구성은
화학 96.5%, 전자 3.3%, 건설 0.2%
3) 재무요약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최근 3년)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527,562 | 379,152 | 339,575 |
| 영업이익(손실) | 46,880 | -4,297 | -1,585 |
| 당기순이익(손실) | 275,231 | -8,916 | -112,076 |
| 자본금 | 45,448 | 45,448 | 45,448 |
| 자본총계 | 947,930 | 949,363 | 1,108,123 |
| 부채비율* | 51.03% | 44.55% | 34.14% |
4) 매출 구조 (제품/부문 비중, 2024)
| 부문/제품 | 매출(백만원) | 비중 |
| PET-Chip(화학) | 327,746 | 96.5% |
| 전자(터치스크린 등) | 11,091 | 3.3% |
| 건설(분양/도급) | 738 | 0.2% |
| 합계 | 339,575 | 100.0% |
5) 대주주 지분 및 유동주식
| 구분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 1 | ㈜에스엠인더스트리 | 32.54 | SM그룹 핵심 비상장 투자회사 (우오현 회장 계열) |
| 2 | ㈜우방 | 15.35 | SM그룹 건설 계열사 (‘경남아너스빌’ 브랜드) |
| 합계 (특수관계인 포함) | | 47.89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합산 |
| 기타 주주 | | 52.11 | 일반주주 및 기관투자자 |
| 유동주식비율 | | 약 52.1% | |
대주주 약력·배경(요점)
- SM그룹(삼라마이다스)의 핵심 특수관계사들. 그룹은 우오현 회장 주도. 에스엠인더스트리는 그룹 투자·사업지주적 역할을 수행하는 비상장사로 알려져 있고,
- 우방은 그룹의 주택 브랜드(경남아너스빌/우방아이유쉘 등)로 분양사업을 전개합니다(그룹 소개 자료 및 공개 기사 기반). 예시로 그룹 상장 계열로 대한해운(005880), 남선알미늄(008350) 등이 있습니다.
6) 상장 이력
- 코스닥 상장일: 2011-04-26
- (사업보고서의 회사연혁·상장 관련 문구도 존재: “2011년 4월 26일… 한국거래소가 개설”)
7) 최근 5년 주요 이벤트(연표식)
2021~2022: 지분법 이익이 대폭 증가(2022년 3,526.6억원), 그 결과 2022년 당기순이익 275,231백만원 기록.
2023: 업황 악화·중단영업(폴리에스터·스판덱스) 반영으로 중단영업손실 403.8억원, 당기순손실 -8,916백만원.
2024:
중국산 PET 반덤핑 제소로 시장 방어 기조, 리사이클 칩 사업 본격화 계획.
전자부문 3.3%, 건설 0.2%로 비화학 비중 축소【】.
기타영업외비용 1,717.6억원 급증 및 중단영업손실 70.0억원으로 법인세차감전손실 -11,283.9억원, 당기순손실 -11,207.6억원(= -112,076백만원).
재무상태: 자본총계 1,108,123백만원(+158,760), 부채총계 378,280백만원(–44,599), 부채비율 34.1%로 안정화.
8) 2023·2024 적자 및 2024 순손실 확대 이유 분석
- 영업단: 2024년 매출 감소에도 매출총이익은 전년 대비 소폭 개선(원재료 하락·스프레드 요인). 다만 판관비 증가로 영업손실 -15.85억원(’23년 -42.97억원 대비 적자 축소).
- 기타영업외비용 1,717.6억원 급증(’23년 21.6억원 → ’24년 1,717.6억원).
- 중단영업손실 700.3억원(스판덱스/폴리에스터 중단 영향).
- 금융비용 205.8억원, 다만 지분법이익 774.9억원으로 일부 상쇄.
- 요약: 2024년은 대규모 기타영업외비용 + 중단영업손실이 순손실 확대의 핵심. (사업보고서 주석·현금흐름 세부에는 관계기업 투자자산 관련 손익과 중단사업 정리의 영향이 반영).
9) 특이 공시·자본거래(최근)
- 중단사업 전환: 폴리에스터·스판덱스 매출은 2024년부터 중단사업으로 제외.
- 건설부문: 2024년 부산 감천동 분양 추진, 그룹 내 경남아너스빌 브랜드 활용.
- (과거 그룹 투자사례) TK가 그룹 해운·물류 투자에 관여했던 정황은 다수 기사·자료에서 확인(예: SM 라인·대한해운 등 그룹 해운계열 협업/지분법 관련). 다만 현재 TK의 직접 지분 현황은 매년 변동 가능성이 있어 최신 DART·사업보고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반적 배경 출처: SM그룹/계열사 공개자료)
10) 대주주(에스엠인더스트리·우방) 상세
- 에스엠인더스트리: SM그룹의 핵심 비상장사. 그룹 투자·내부거래 허브 역할. 우오현 회장 체계 아래 석유화학·해운·건설 등 그룹 포트폴리오와 시너지 추구(지배구조상 특수관계인 포함 지분 31.17%) .
- 우방: SM그룹 건설(분양) 브랜드 법인. ‘경남아너스빌/우방아이유쉘’ 등 주택 분양 사업을 전개, TK의 건설부문과 브랜드·공급망 시너지.
- 투자·사업방식(요약): 그룹 내부 수직·수평계열 연계(소재–건설–물류)와 시장사이클 대응형(업황에 따라 CAPA·제품믹스·분양타이밍 조절) 전략.
11) 지배·지분 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 대한해운(005880, KOSPI), 남선알미늄(008350, KOSPI) 등 SM그룹 소속 상장사. (그룹·증권정보 공개자료)
- ※ TK와의 직접 지분 연결 여부/비율은 시점별로 상이하므로 최신 공시로 확인하시길 권합니다(계열사·관계회사 지분 변동이 잦음).
12) 투자 시 체크포인트
- 이익 변동성: 2022년 대규모 지분법이익 → 2023~2024년 중단영업·기타영업외비용으로 급격한 순손실. 비화학 부문 정리/축소와 영업외 항목에 성과가 좌우됨.
- 업황 민감도(원재료·스프레드): TPA/MEG 가격과 PET 스프레드에 실적이 크게 연동.
- 규제·무역 이슈: 반덤핑 결과·속도에 따라 내수 스프레드가 달라질 수 있음.
- 그룹 리스크/시너지: 대주주(에스엠인더스트리/우방) 중심의 계열 연계 사업은 시너지를 줄 수 있으나, 관계회사 투자/정리 시 영업외손익 변동이 클 수 있음(2024년 사례 참조).
- 재무 안전성: 2024년 부채비율 34.1%로 낮아졌으나, 이는 자본총계가 확대되면서 계산된 결과로, 대규모 기타영업외비용 발생 같은 비경상 손익에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