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코스피, 285130
테마 연관성
- 석유화학(그린 케미칼): 고기능성 코폴리에스터(PETG·ECOZEN), DMT, 접착제, 바이오폴리올, CR-PET/CR 원료(r-BHET) 등을 제조·판매. PETG는 글로벌 독과점 구조(이스트만과 양분)로 수익성이 높고, 화학적 재활용 r-Copolyester까지 상용화해 제품 믹스가 개선됨.
- 백신/진단시약(라이프 사이언스): 백신·전문·일반 의약품 및 백신 C(D)MO.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가 안동 L-House에서 인플루엔자·수두·대상포진 백신 등을 생산. 2024년 독일 CDMO IDT Biologika 60% 지분 인수로 글로벌 C(D)MO 역량 확대.
- 치매: 자체 리바스티그민 패치(‘원드론패취’) 글로벌 시판 및 FDA 허가로 치매 테마 연결. 또한 미로데나필(AR1001) 기반 치매치료제 개발 협력(MOU) 보도.
기타 엮인 테마:
- 순환경제/플라스틱 재활용(r-Copolyester·CR-PET 확대).
- 지배구조/지주사(모회사 SK디스커버리의 공개매수·지배력 강화 이슈).
회사 개요(요약)
그룹/지배: SK디스커버리(006120) 계열. 2017년 인적분할로 지주회사 SK디스커버리(존속)·사업회사 SK케미칼(신설) 체제로 전환. 이후 백신사업을 분할해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설립.
사업부문:
Green Chemicals: PETG·ECOZEN 등 스페셜티 수지, 재활용 코폴리·CR-PET/원료.
Life Science: 백신·전문의약품·일반의약품 및 백신 C(D)MO(자회사 성과 포함).
연결 재무요약 (FNGuide·신용평가 보고서 근거, 단위: 백만원)
|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자본금 | 자본총계 |
| 2022 | 1,829,200 | 230,500 | 231,500 | 45.7 | 98,681 | 34,425,000 |
| 2023 | 1,748,800 | 83,300 | 47,800 | 55.4 | 98,681 | 37,101,000 |
| 2024 | 1,736,800 | –45,200 | –4,400 | 77.0 | 98,681 | 33,269,000 |
2024 매출 구조(연결, 비중)
- 고기능성 코폴리·수지 등 84.8%, 천연물/합성의약품 20.6%, 백신제품 15.4%, 기타 -20.8%(내부거래·조정 포함)로 공시.
대주주 지분(에프앤가이드 기준) & 유동주식
- 최대주주(특수관계인 포함): SK디스커버리 외 42.71%
- 5% 이상 기타 주주 합계: 8.52% (국민연금공단 등)
- 유동주식비율: 49.83%
대주주(실질적 지배자) 약력
-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대표이사 부회장·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2024~). SK디스커버리 최대주주(약 40%대)로 중간지주 체제를 이끌며 에너지·화학·바이오 중심의 독립 경영 축을 구축. 서울대 심리학/미시간대 MBA. SK케미칼 대표이사(2007~) 등을 역임.
지배·지분 관계 있는 상장사
- 모회사: SK디스커버리(006120) – 지분 40%대, 공개매수 등을 통해 케미칼 지배력 강화.
- 주요 자회사(연결 편입):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백신 개발/생산 및 CDMO, 2024.10 IDT Biologika 인수로 글로벌 C(D)MO 역량 강화.
상장 이력(요약)
- 2017.12: SK케미칼(사업회사) / SK디스커버리(지주)로 인적분할.
- 2018.1 이후: 사업회사 SK케미칼 코스피 거래 재개(분할 상장 맥락). 이후 백신사업부 분할 → SK바이오사이언스 설립.
상장 후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연표)
- 2021.10: 무상증자(보통주) 5,869,384주
- 2021.12: 기업 물적분할(자본금 내역 반영)
- 2022.10: 이익소각(보통) 389,489주
- 2022.9: 모회사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 공개매수(최대 919,118주, 발행주식수 5.22%)
- 2024.10: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 IDT Biologika 60% 인수(약 3,390억원), 4Q부터 연결 반영 시작
- 2024~2025: 자사주 소각(주주환원) 이사회 결의 공시(사업보고서).
2024년 영업·순이익 적자 전환 원인 분석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 적자 확대
백신 수요 정상화·인플루엔자 경쟁 심화·R&D/설비투자(송도 R&PD, 안동 증축)로 연간 영업손실 -1,384억원. 4Q는 IDT 연결 편입으로 매출 증가(전년동기 +70%)했으나 적자 지속. → 연결 영업손실 -452억원으로 확대.
화학부문 이익 방어에도 그룹 조정 효과
Green Chemicals(코폴리·ECOZEN) 견조(연결 영업이익 871억원)했으나, Life Science 부문 적자가 그룹 조정/내부거래와 합산돼 연결 손실 전환.
현금지출/차입 및 재무 레버리지 변화
IDT 인수 자금(3,564억원) 등으로 차입규모/차입금의존도 상승(2024 말 30.9%), 부채비율 77.0%까지 상승했으나 여전히 양호 구간. 현금·단기금융자산 합계 약 1.3조원으로 유동성은 충분.
투자 체크포인트
포지티브
화학부문 스페셜티 수지의 높은 진입장벽·가격 결정력(독과점 구조). r-Copolyester 확대로 친환경 프리미엄.
백신 C(D)MO 글로벌화(IDT 인수)로 포트폴리오 다변화·매출 저변 확대 기대.
2024 말 유동성 1.3조원, 부채비율 77% 수준으로 재무여력 확보.
리스크
SK바이오사이언스 실적 변동성(수요·파이프라인 성패·R&D 투입). 단기 EBITDA/이익창출력 저하.
투자부담 지속(IDT 체질개선·공장 증축·R&PD 센터 신축 등 2025년까지 CAPEX).
매출구조의 화학 의존도(경기·유가·원재료 사이클 영향), 백신 본연 성장 가시성 회복 필요.
지난 5년(2020~2024) 주요 사건 정리
| 연도 | 화학부문 | 바이오/의약 & C(D)MO | 지배·지분/자본 이벤트 |
| 2020 | (과거) 바이오에너지 축소 | | |
| 2021 | PPS사업 매각·정리(적자사업 정리) | 백신사업 분할(과거)로 SK바사 독립 | 무상증자(10월), 인적·물적 분할 내역 정리 |
| 2022 | r-Copolyester 본격 확대 | 코로나 수요 정상화로 SK바사 매출 반락·적자 | 이익소각(10월), 공개매수(9월)로 모회사 지배력 강화 |
| 2023 | 스페셜티 수지로 이익 방어 | 노바백스 정산 일시효과 외엔 부진 | |
| 2024 | ECOZEN 판매 호조·영업이익 871억(연결) | IDT 60% 인수·4Q부터 매출 반영, 적자 확대 | 부채비율 77%, 유동성 1.3조원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