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디젠스 기업분석/ 자동차부품 테마주/ 재무(**높은 부채율),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5 회 2025-10-22

  • 디젠스, 코스닥, 113810

    1) 테마(Theme) 현황 및 연관성

    • 기본 업종/테마: 자동차부품(머플러·배기계 부품). 소음기(Muffler)를 주력으로 한국GM 등 완성차에 납품, ‘자동차부품’ 테마로 분류됩니다.

    • 정치/이슈 테마로의 편입 사례: 민감한 시기(정치 뉴스 흐름)엔 ‘남북/남북경협’, ‘대북-농업’, ‘새만금’, ‘이재명’ 테마 보드에 함께 묶여 거래가 활발해진 사례가 있습니다. (테마 사유: 농기계·대북 농업지원 연관성으로 분류, 자동 분류 보드 내 포함)
    • 유의점: 정치 테마주는 급등락 변동성 경향이 강하니 주의 필요. 최근 기사에서도 디젠스가 정치 테마 변동성 문맥에서 함께 언급됐습니다.

    2) 일반 현황·사업 개요(요약)

    • 기원: 2006년 디에이치코리아(비상장) 자동차부품 제조부문 물적분할로 설립. 주력은 자동차 배기계 소음기 개발·제조. 종속회사로 DH HONGKONG, DH2에너지 보유.
    • 제품·매출 구조: ‘주요제품 매출구성(2025/06)’ 기준, 자동차 머플러 100%. (단일 사업부문)

    3) 연결 재무요약(에프앤가이드, 단위: 백만원)

    구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65,00085,90089,500
    영업이익2003,7005,500
    당기순이익      -2,100             3,000              4,500
    자본총계16,30017,70022,200
    자본금16,30016,30016,300
    부채비율(%)240.9243.7169.1

    4) 매출 구조(품목/서비스 비중)

    • 2025/06 기준 ‘자동차 머플러’ 100% (단일 제품군 중심). 향후에도 완성차 생산량, 차종 전개가 매출의 핵심 변수.

    5) 대주주·지분

    최대주주: 디에이치코리아(본인+특수관계자 합계) 11,394,929주, 지분 34.92%.

    유동주식비율: 65.08%. (5% 이상 기타 대주주 공시 無)

    대주주 약력(요지)

    최대주주는 ‘디에이치코리아(주)’(비상장)로, 디젠스의 전신(동원정공) 계열에서 분할한 모회사 성격. 대표이사(겸임): 이석우(디젠스 대표이사) 등.

    6)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유무

    • 모회사 디에이치코리아: 비상장.
    • 종속회사: DH HONGKONG CO., LIMITED(지주성격), DH2에너지(수소 생산시설) — 모두 비상장.
    • 관계기업: 베스트에너지(사업보고서상 관계기업 표기). ‘기타’ 항목에 동원금속, 동원파이프가 병기되지만, 디젠스의 지배/피지배 상장 계열로 분류되는 것은 아님(현행 ‘관계기업’은 베스트에너지). 동원금속은 코스피 상장, 동원파이프는 비상장.

    7) 상장 이력

    • 2012.11.22 상장(공모가 1,800원). 특례상장 아님(일반 IPO).

    8)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연표식)

    • 2016~2017: 국내 BW 행사(여러 차례)로 자본금 증액(에프앤가이드 ‘자본금 변동내역’).
    • 2018.06: 주주배정 유상증자(신주 10,000,000주, 발행가 1,150원). 같은 해 CB 전환·BW 행사 등 자본 변동.
    • 2018.06.01: 최대주주 디에이치코리아 지분 확대 공시(46.53%까지) — 신주인수권증서 관련. (이후 2023.05.11 장내매도로 34.92%까지 하락).
    • 2022.10: 100% 자회사 DH2에너지 설립(강원 삼척, 수소 생산시설).
    • 2024.03.28: 대표이사 이석우 선임(재선임), 이사·사외이사·감사 선임. (정기주총)
    • 2025.03.27: 감사 장정용 선임.

    9) 최근 5년(’21~’25) 포인트 분석

    • 2021~2022: 실적 회복 초입. 2022년 연결 순손실(-2.1억 원, 백만원 환산 -2,100)이나, 물적분할 기원 및 단일 품목 구조 유지. 2022.10 수소 자회사(DH2에너지) 설립으로 신성장 축 추가.
    • 2023: 매출 85,900, 영업이익 3,700, 순이익 3,000(백만원). 주총/이사진 정비. 최대주주 디에이치코리아가 5월 장내 일부 매도(지분 34.92%).
    • 2024: 매출 89,500, 영업이익 5,500, 순이익 4,500(백만원)로 이익 개선. 대표이사 재선임 등 지배구조 안정화. 정치·남북 이슈 장세에서 테마 편입 보도 빈출.
    • 2025 상반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 소폭↑, 이익↓(원가 부담) 언급. 감사 교체. 수소 자회사 측 동향(임직원 유증 등) 공시도 확인됨.

    10) 부채비율이 높은 이유(해석)

    • 수치상 2022~2023년 240%대, 2024년에 169%로 하락. 이는
    1. 자본총계 기반이 작음(’22~’24 자본총계 163억→177억→222억) 반면,
    2. 자동차부품 납품 특성상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과 차입·충당부채가 크게 변동,
    3. 인건비·원재료(강판 등) 비용 변동과 OEM 결제조건 영향으로 유동부채가 커질 수 있음.

    재무상태표(연결)에서 자본은 얇고(자본금 163억 고정, 이익잉여금 누적 확대 중), 부채 총계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라 분모(자본) 효과로 부채비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2024년엔 이익 개선·이익잉여금 증가로 자본이 두터워지며 부채비율이 개선.

    11) 투자 시 유의·체크포인트

    • 단일 제품 의존: 매출 100%가 사실상 머플러(배기계)로, 완성차 생산·차종 라이프사이클에 연동(안정적이되 마진 제한적).
    • 원가 민감도: 강재 가격, 환율, 인건비 변동 시 수익성 민감. 2025H1 코멘트에서도 원가 부담으로 영업이익 둔화 언급.
    • 정치/이슈 테마 변동성: 본질가치와 무관한 단기 변동(남북·정치 뉴스 연동) 발생 가능.
    • 재무 안전성: 과거 높은 부채비율 → 2024년 개선 국면. 운전자본 변동/차입 구조, 이자비용 추이 모니터링 필요.
    • 신사업 축: 100% 자회사 DH2에너지(수소 생산시설) 진행상황(투자·수주·상용화)과 자금 수요(증자/차입) 체크 포인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