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화학–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수페타시스–이수앱지스”를 축으로, (주)이수와 개인회사(이수엑사켐)를 포함한 전체 지배구조·계열사·오너일가·연혁·투자 체크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1) 그룹 최상단과 지배구조 핵심
최상단 구조(핵심 포인트)
개인회사 이수엑사켐(비상장) → (주)이수(지주, 비상장) → 주요 상장사(이수화학/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수페타시스/이수앱지스)로 이어지는 ‘옥상옥’ 지배구조입니다. 이수엑사켐은 김상범 회장 100% 개인회사이고, 이 회사가 (주)이수 지분 73.44%를 보유, 나머지 26.56%는 김상범 회장 개인이 보유합니다. (2024.12.31 기준)
(주)이수(지주)의 역할
2003.8.1 지주회사로 설립. 그룹 공통 기능(지분관리, 교육/홍보, 경영개선, 신규사업 발굴)과 자회사 포트폴리오 관리.
오너 일가 핵심 관계
회장 김상범은 故 김우중(前 대우그룹) 장녀 김선정의 배우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시·지분현황에 김선정 및 가족 구성원으로 보이는 김성민/김세민/김세현 등의 이름이 특수관계인으로 등장합니다(개별 회사별로 지분율 상이).
2) 계열사 지도(표) — 상장/비상장 구분
A. 상장사(한국거래소)
| 회사 | 상장 | 사업/특성 | 지배(핵심주주)·비고 |
| 이수화학(005950) | 유 | LAB/NP·TDM 등 특수/석유화학, 그린바이오 | (주)이수 등 최대주주 합계 28%(’24.12.31). 그룹 모기업으로 제품 안정 생산, R&D(온산/울산). |
|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 | 유 | 이수화학 정밀화학/전고체전지 소재 부문 인적분할(’23) + ’24 이수엑사켐 정밀화학 부문 흡수합병. TDM·NOM·IPA·Li2S(황화리튬) | 최대주주 (주)이수. 분할·합병·액면분할(5:1)로 생산·유통 일원화, 소재 포트폴리오 강화. |
| 이수페타시스(007660) | 유 | 서버/AI·데이터센터용 고다층 PCB(Sequential HDI 등). 2024~25년 대규모 증설·5공장 추진, CNT 소재(제이오) 출자 계획 포함 | (주)이수 외 5인 26~27%대 보유. 소액주주 지분 63%대(’25 지배구조 보고서). AI/800G·1.6T 네트워킹 수요 수혜 포지셔닝. |
| 이수앱지스(086890) | 유 | 항체의약품/희귀약(혈우병 등), ISU305(에쿨리주맙) 바이오시밀러 해외개발·수출, 자체 파이프라인 | 최대주주 이수화학. ’25.8 CB 주식전환 완료로 보유주식 추가, 최대주주 지위 공고화. ’25.7 기준 최대주주 등 36.94%. |
B. 비상장사·기타
| 회사 | 구분 | 사업/특성 | 상호관련성·비고 |
| (주)이수 | 지주(비상장) | 그룹 지분관리·공통기능 | 최상위 주주: 이수엑사켐 73.44% / 김상범 26.56%(’24.12.31). |
| 이수엑사켐 | 비상장 | 석유·정밀화학 제품 유통/트레이딩 | 김상범 100% 개인회사. 그룹 내 안정적 물량 기반. 과거 이수건설 지원 과정 등으로 (주)이수 지분 확대. |
| 이수시스템 | 비상장 | IT/솔루션 | 그룹 IT 축(상장사 이수페타시스와 IT군 형성). |
| 이수건설 / 이수AMC | 비상장 | 건설·엔지니어링/자산관리 | 주택 브랜드 ‘브라운스톤’, 그룹 건설·자산관리 축. |
| 이수C&E | 비상장 | 영화 투자·배급 | 콘텐츠 투자/배급(문화·투자 포트폴리오). |
| 이수창업투자 | 비상장 | VC(중소·벤처·문화콘텐츠 투자) | 2000년 설립. 그룹 투자 팔. |
| 이수엑사보드 / 토다이수 | 비상장 | 소재/합작(JV) 등 | 그룹 소개·위키에 계열로 기재. |
3) 각 사의 사업·시너지 요약
화학(이수화학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이수엑사켐)
이수화학이 LAB/NP, TDM 등 ‘기초·정밀’ 축을 구축했고, 정밀·전고체 소재 부문을 이수스페셜티케미컬로 인적분할(’23) 후, ’24에 이수엑사켐의 정밀화학 부문을 흡수해 생산–유통을 일원화. 전고체 배터리 Li₂S(황화리튬) 라인 증설 등 신성장 투자 지속. 유통·무역의 이수엑사켐이 그룹 내 거래로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하는 구조.
IT(이수페타시스 ↔ 이수시스템)
이수페타시스는 AI·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고다층 PCB(Sequential HDI) 전문. AI GPU 보급/800G·1.6T 네트워킹 전환 수요에 맞춰 대규모 증설과 CNT 소재(제이오) 출자로 소재 다각화를 병행. 이수시스템은 그룹 IT 역량 허브.
바이오(이수앱지스 ↔ 이수화학)
이수앱지스는 항체의약품·희귀약 매출을 확보한 ‘영업이익 기반 바이오’로, ISU305(에쿨리주맙 바이오시밀러) 해외 파트너십·허가 진행. 최대주주 이수화학이 CB 주식전환을 통해 지분을 추가 확보, 안정적 지배 강화. 화학–바이오 간 자금·지배 연계.
건설·투자/콘텐츠(이수건설/AMC/창업투자/C&E)
사이클 영향이 큰 건설축과, VC·콘텐츠 투자 축을 내재. 과거 건설 부문 지원 과정이 지배구조 변화(이수엑사켐의 (주)이수 지분 확대)로 이어진 배경.
4) 지배구조도
최상단(개인) → 개인회사 → 지주 → 주요 자·손회사
| 단계 | 주체 | 지분/관계 | 주요 지배 방향 |
| 개인 | 김상범 | (주)이수 26.56% 직접 보유, 이수엑사켐 100% | 개인+개인회사 이중 축으로 지주 완전 지배 |
| 개인회사 | 이수엑사켐(비상장) | (주)이수 73.44% 보유 | (주)이수에 대한 실질 지배, 화학 트레이딩 수익 |
| 지주 | (주)이수(비상장) | 화학·IT·바이오·건설·투자 계열 지배 | 자회사 지분관리/공통 기능 |
| 핵심 상장 | 이수화학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이수페타시스 / 이수앱지스 | (주)이수 및 특수관계인 지배 | 그룹 매출·이익의 코어 사업군 |
지분 수치는 2024.12.31~2025.07 공시·사업보고서 기준.
5) 오너일가·특수관계인 지분
- (주)이수: 이수엑사켐 73.44% / 김상범 26.56%. (’24.12.31)
- 이수페타시스: (주)이수 본인·특수관계인 합계 26%대(증자·유상신주 취득 반영), 소액주주 63%대(’25 지배구조보고서). 특수관계인으로 김선정/김성민/김세민/김세현 등이 공시상 등장.
- 이수앱지스: 최대주주 이수화학, 2025.8 CB 전환으로 추가 지분 확보. ’25.7 최대주주 등 36.94%.
- 이수화학: (주)이수 등 최대주주 28%(’24.12.31) – 세부 내역은 분기/사업보고서 및 DART 지분공시 참조.
6) 연혁(타임라인 요약)
- 1969: 이수화학공업 설립(그룹 모태) → 1996 이수그룹 출범/CI, 이수시스템 설립 → 1997 TDM 양산 → 2000 김상범 회장 취임, 이수창업투자 설립 → 2001 이수앱지스, 이수엑사켐 설립 → 2003 (주)이수 지주회사 설립 → 2014 이수C&E 출범 → 2023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인적분할 → 2024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이수엑사켐 정밀화학부문 흡수합병/액면분할.
7) 사업·재무/테마 관점의 투자 체크포인트
(1) 지배구조 리스크/가치
- 옥상옥 구조: 개인회사(이수엑사켐) → 지주((주)이수) → 상장사. 개인회사 이익·내부거래가 그룹 지배력 유지의 재원 역할을 한다는 분석. 개인회사 중심 구조는 소수주주 관점에서 투명성·내부거래 공정성 이슈가 반복 제기될 수 있음.
- 소액주주 민원/논란: 2024년에도 소액주주 불만 보도. 배당·증자·내부거래 공시 투명성에 대한 시장 감시 계속.
(2) 화학/배터리 소재 사이클
- TDM/LAB/IPA 등 정밀·기초화학의 마진은 원재료·수요 사이클에 민감. 전고체 소재(Li₂S)는 상용화 타임라인 불확실성(수율·고체전해질 경쟁, 고객 인증) 체크 필요.
(3) IT(PCB) 투자집중·Capex 회수
- 이수페타시스는 AI/데이터센터 사이클에 레버리지. 대규모 증설·5공장 신설과 타법인 출자(CNT)는 중장기 성장 동력이지만, 경기 꺾임/고객사 조정 시 가동률·현금흐름 변동성 확대 가능.
(4) 바이오의 ‘현금 창출형’ 모델
- 이수앱지스는 희귀약 매출 기반에 ISU305 등 해외 파이프라인을 더해 흑자 체질을 강조. 다만 허가/상업화 일정·지역 다변화가 핵심 변수. 최대주주 이수화학의 지분 강화는 안정적 지배측면의 플러스.
(5) 과거 건설 부문과 그룹 재무 연계
- 과거 이수건설 지원 국면에서 이수엑사켐·이수화학의 보증/자금 연계가 있었다는 보도. 향후 부동산/금리 사이클이 그룹 현금흐름에 파급될 수 있어 주시.
8) “이수그룹 요약(상장/비상장 표)
상장사 핵심표
| 구분 | 티커 | 사업 | 핵심 포인트(23~25) |
| 이수화학 | 005950 | 특수·석유화학/LAB·NP·TDM·그린바이오 | (주)이수 등 28% 지배, R&D·스마트팜·해외법인 운영 |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457190 | 정밀화학·전고체배터리 소재(Li₂S) | ’23 분할, ’24 이수엑사켐 정밀화학 흡수, 5:1 액면분할 |
| 이수페타시스 | 007660 | AI·DC용 고다층 PCB | 증설·5공장·CNT 진출, 최대주주 등 26~27%대, 소액 63%대 |
| 이수앱지스 | 086890 | 항체·희귀의약 | ISU305 해외개발, 이수화학 CB 전환으로 지배 강화(최대주주 등 36.94%) |
비상장/지주 표
| 회사 | 구분 | 요약 |
| (주)이수 | 지주 | 지분관리/공통기능. 주주: 이수엑사켐 73.44%, 김상범 26.56%(’24.12.31) |
| 이수엑사켐 | 개인회사 | 김상범 100%. (주)이수 지배 및 화학 트레이딩 수익 허브 |
| 이수시스템 / 이수건설 / 이수AMC / 이수C&E / 이수창업투자 | 자·손회사 | IT·건설/자산·콘텐츠·VC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 축 |
요약
- 지배구조의 키는 개인회사(이수엑사켐) → (주)이수 → 상장 4각(화학·소재·PCB·바이오) 라인입니다.
- 성장축은 AI/데이터센터 PCB와 전고체 배터리 소재, 캐시카우는 특수화학/희귀약.
- 투자 포인트는 AI/전고체 상용화 속도·설비 가동률/내부거래 투명성, 리스크는 사이클·규제·소액주주 리스크 관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