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화학(코스피/ 005950)/ 투자주의 재무 불안정(적자, 높은 부채율)
1) 테마 연관성 및 추가 테마
- 석유화학(핵심): 이수화학은 LAB(선형알킬벤젠), NP(노말파라핀) 등 합성세제 원료 중심의 기초·중간석유화학 업체로, 울산/온산 공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제조사와 장기계약을 운영합니다. 그룹 내 건설·바이오·보험 부문이 있으나 매출의 대종은 석유화학입니다(2024년 연결 기준 석유화학 74.75%).
- 스마트팜/해외 플랜트(확장 테마): 해외 스마트팜 EPC·운영모델 수출을 병행(건설·플랜트 사업부 연계).
- 암모니아 크래킹·수소(정책/신에너지 테마 연계): 2024-04-16 KBR과 암모니아 분해(크래킹) MOU 체결로 청정수소 공급망 사업 기회 탐색.
2) 회사 개요·사업 구조
- 설립/상장: 1969년 설립, 1988년 4월 코스피 상장. 2023년 5월 정밀화학사업 인적분할로 신설법인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이 2023-05-31 재상장(분할 재상장).
- 사업 비중(연결, 2024): 석유화학 74.75% / 건설 14.52% / 보험 7.28% / 의약 1.26%.
- 주요 제품/특징: LAB/NP 중심, 글로벌 장기계약 기반 판매; 건설 부문은 플랜트·스마트팜 프로젝트 수행; 바이오 부문은 계열사(이수앱지스)와 시너지.
3) 연결 재무요약 (최근 3년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 2,001,800 | 1,995,500 | 1,916,200 |
| 영업이익 | -17,100 | -56,000 | -51,400 |
| 당기순이익 | 26,200 | -28,100 | -38,200 |
| 부채총계 | 782,600 | 832,800 | 735,500 |
| 자본총계 | 405,500 | 260,700 | 221,700 |
| 부채비율(%) | 193.0 | 319.4 | 331.7 |
| 자본금 | 139,800 | 113,600 | 113,600 |
4) 매출 구조(품목/부문 비율)
2024년 연결 기준 부문 매출 비중: 석유화학 74.75% / 건설 14.52% / 보험 7.28% / 의약 1.26%. (사업보고서 매출구성)
5) 대주주/특수관계인 및 유통주식비율
발행주식총수(의결권, 2024.12.31): 22,722,739주 / 자기주식 643,833주.
5% 이상 주주 현황(2024.12.31): (주)이수 24.47%(최대주주). 5% 이상 주주로 사실상 (주)이수만 기재. (김상범 2.87%는 5% 미만)
소액·유통주식 비율(2024.12.31): 소액주주수 58,788명, 소액주주 지분 57.46%(유통주식으로 간주).
대주주 약력(요약)
- 김상범 회장: 이수그룹 총수. 지배구조 정점 이수엑사켐 → (주)이수 → 이수화학/이수페타시스 등 체계로 그룹 경영(언론/기고 분석 자료).
6) 지배·지분관계가 있는 상장사
-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 KOSPI) — 2023-05-31 분할 재상장.
- 이수페타시스(007660, KOSPI) — PCB. (최대주주 (주)이수, 증권신고서 정정 문서에 지주회사 (주)이수 언급)
- 이수앱지스(086890, KOSDAQ) — 바이오의약(희귀질환 치료제 등).
7) 상장 이력 및 특이 이벤트(최근 5년, 연표)
- 1988-04: 코스피 상장.
- 2023-03-24: 정밀화학사업 인적분할 승인(주총), 분할기일 2023-05-01.
- 2023-05-31: 분할 신설법인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재상장(분할 재상장), 이수화학은 변경상장·거래재개.
- 2024-04-16: KBR와 암모니아 크래킹(분해) MOU 체결(수소 밸류체인 연계).
- 2024년: 분할로 취득한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식 148,476주를 (주)이수에 처분(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행위제한 해소 목적) — 대주주와의 특수거래.
- 2021~2024 기타 프로젝트/법인 설립·투자 현황: 다수의 공장·설비 투자, 해외 SPC, PFV, 스마트팜 등 관련 주요 이슈가 사업보고서에 일자별로 정리되어 있음(필요 시 세부 표로 확장 가능).
대주주 변경 이력
최근 5년 내 공시/사업보고서 범위에서는 최대주주 (주)이수 체제 유지가 확인됩니다. 다만 2024년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지분을 (주)이수로 넘긴 거래는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에 해당하는 지배구조 정비 사안으로, 변경상장 이후 지주회사 규제(자회사 행위제한) 충족을 위한 조치입니다.
8) 최근 3년 영업적자(원인 분석)
- 석유화학 스프레드 축소: 2022~2024년 원가/판가 변동성으로 매출총이익이 얇아짐(‘22~‘24 매출총이익 850→557→627억원). 판관비(인건비·관리비 등)는 유사 수준으로 남아 영업손실 지속.
- 건설(스마트팜·플랜트) 부문 손실/원가상승: 공사원가 상승·분쟁 비용·지급이자 등으로 건설부문 손실이 확대된 해가 있었고, 이로 인해 연결 영업적자에 기여. 사업보고서에 손실 발생 사유(원가상승·계약변경·분쟁 등)가 서술되어 있음.
- 금융비용 상승·파생상품 변동성: 2023~2024년 이자비용(342→355억원)과 파생상품손익 변동으로 세전손실 확대 압력.
9) 투자 체크포인트
- 부채비율 고위험 구간(2024년 331.7%) → 차입 구조·만기 스케줄·재무비율 개선 계획 점검 필요.
-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석유화학 경기 민감도 완화 위해 스마트팜/플랜트/수소(암모니아 크래킹) 신사업의 수익성·가시성 확인 필요.
- 계열 상장사와의 지배·자금거래: 2024년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식) 사례처럼 특수관계자 거래의 조건/공정성 확인.
- LAB/NP 마진 사이클: 원유/낙슬가(나프타)·해상운임·글로벌 수요(세제 OEM) 변화에 따른 스프레드 회복 여부가 주가 핵심 변수.
- 연결 내 건설/해외 프로젝트 리스크: 원가 상승, 공정 지연, 환리스크(외환손익) 및 금융비용 민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