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이(코스피/ 085310)
1) 테마 연관성 (LNG · 남북러 가스관 · 수소차)
LNG/조선 기자재: 엔케이는 선박용 고정식 소화장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BWT), 해양플랜트 기자재를 설계·제작·시공합니다. LNG선 발주 회복과 맞물려 실적 회복을 기대한다는 회사 설명이 사업보고서에 명시돼 있습니다.
고압가스·수소(연료전지/충전): 종속회사 이엔케이(ENK)가 CNG T/T 용기, 고순도 가스 저장용기(Y-TON), 수소·산소·질소·CO₂ 등 특수산업용 고압용기 및 재검사 사업을 영위합니다. 수요 여건에 따라 수소 튜브트레일러·용기 수요 기대도 언급됩니다.
외부 확인: 그룹계열 엔케이텍은 수소 저장·운송(튜브트레일러, KGS 인증) 솔루션을 소개.
(참고) 2020년 1,700L 수소저장 복합용기 실증 기사.
남북러 가스관(정치/정책 테마): 직접적인 파이프라인 시공사가 아니라 가스·플랜트·선박 소화/가스 시스템을 보유한 기자재 업체라는 점에서 연성 테마 수혜주로 엮이는 성격입니다(정책·지정학 이슈에 따라 ‘관련 수주 기대’ 정도로 시장에서 연결). 회사 사업 목적에는 “수소·LNG 충전소 관련” 항목이 현재 미영위로 표시돼 있어(향후 진출 여지 언급 수준) 실제 실적 반영과는 구분이 필요합니다.
그 밖의 정치·인물 테마로 엮인 사례: 일부 매체는 박제완 대표가 김무성 전 의원의 사위라는 점을 거론하며 지배력 기사화(2022.3). 이는 정치 인맥 테마성 기사로, 사업 실적과는 별개입니다.
2) 회사 일반 현황·사업개요(연결)
- 상호/연혁: 1980년 남양금속공업사 창립 → 1984년 법인전환(남양산업) → 2008.01.24 유가증권시장 상장. 본사 부산.
- 상장 공시/보도 확인: 2008.01.24 유가증권시장 상장.
- 주요 사업부문: ①고압가스용기 ②소화장치(고정식) ③밸러스트수 처리장치(BWT) ④해양플랜트 기자재.
- 주요 수요처/영업특성: 조선소(삼성중공업 거제 등) 중심 판매, 내수·수출 병행(고압가스용기부문 2024년 내수 157억/수출 95억).
3) 연결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부채비율(%) |
| 2022 | 7,670 | 900 | 10,700 | 185,700 | 57,500 | 128,200 | 44.9 |
| 2023 | 9,150 | –1,100 | 59,200 | 247,700 | 63,000 | 184,700 | 34.1 |
| 2024 | 11,090 | –4,800 | –2,200 | 227,100 | 44,100 | 183,100 | 24.1 |
4) 매출 구조(품목/부문)
- 고압가스용기 부문 매출: 2024년 25,198 / 2023년 33,787 / 2022년 9,822 (단위: 백만원).
- 2024년 내수 157억 / 수출 95억 구성(연결 기준).
- BWT(NK O3) 부문 매출: 2024년 2,091 / 2023년 4,194 / 2022년 7,457 (단위: 백만원).
5) 지배구조·주주 (5%+ 포함, 유동주식비율)
- 최대주주/특수관계인: 박윤소 회장(개인) + 더세이프티(계열) 합산 27.24% (박윤소 8.14%, 더세이프티 19.10%). 기준일: 2024.12.31. 총 발행주식수(의결권) 78,630,845주.
- 자사주: 8,999,995주(11.45%). (참고: 이후 2024.12.20 신탁 설정 → 2025.06.19 해지 공시).
- 유동주식비율(추정): 100% − (최대주주·특수관계인 27.24% + 자사주 11.45%) = 61.31%. (기준: 2024.12.31)
- 대주주 약력(요지): 박윤소 회장(그룹 회장)
6) 상장 이력
- 상장일: 2008.01.24,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신규상장.
- 특례상장 해당 여부: 사업보고서·상장 당시 보도에 따르면 일반 상장(특례상장 아님).
7) 최근 5년 주요 이벤트(연표)
- 2020.05: 물적분할로 ‘엔케이에테르’ 설립(이전 분할 이력 안내).
- 2020.05.26: 전환사채(CB) 발행 결정(주식수 대비 12.85%).
- 2021~2022: (언론) 특수관계사 지분 확대·지배구조 이슈 보도(더세이프티/박윤소·박제완 관련 기사들). 실제 최대주주 변경 공시는 없고 구조 내 지분 변동.
- 2024.12.20: 자기주식 취득 신탁 설정(주주가치 제고 방침). 2025.06.19 해지.
- 2025.02.26: 회사분할(정정) 결의 공시(주주 반대 시 주식매수청구권 등 절차 안내).
- (구분 주의) 엔케이물산/플레이그램(009810)은 별도 그룹이며 ‘엔케이’와 지배관계가 없음(상호변경 공시로 확인 가능).
8) 상장사 계열/지분관계
관계사 리스트(8개)는 모두 비상장(NK USA, 더세이프티, 엔케이텍, 이엔케이 등). 상장 계열사는 없음.
9) 왜 대부분의 연도에 영업적자(’21~’22 제외)? — 원인 분석
부문 매출 축소/변동성
BWT 매출이 2022년 7,457 → 2023년 4,194 → 2024년 2,091로 급감(백만원). 환경규제 이행 시차·선종 믹스 변화·가격경쟁 등 영향 추정.
고압가스용기는 2022년 9,822 → 2023년 33,787로 급증했다가 2024년 25,198으로 후퇴(수요·단가·환율·믹스 영향).
고정비 레버리지와 프로젝트성 매출
선박·플랜트 성격상 수주-인도 타임랙과 CAPEX·인증·설비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 매출 스윙 시 손익탄력성이 확대. (사업 특성·시장 특성 기술)
2024년 손실 전환
회사는 2024년 영업손실 -4,825, 당기순손실 -2,245를 공식화(연결). 자산·부채 축소로 재무 안정화는 진전(부채 29.97% 감소)했으나 매출 믹스·단가·원가 등이 수익성에 부담.
요약: ’21~’22엔 업황 개선·선박 발주 회복 구간, 이후 BWT 둔화 + 용기부문 후퇴로 ’24 적자 전환. 향후 LNG선·조선사 CAPEX 회복과 수소 저장·운송(튜브트레일러) 수요 확장은 업사이드 요인.
10) 투자 체크포인트
(1) 수주/업황 민감도: 조선·해양, 반도체가스·산업가스, 수소 인프라 등 경기/정책 사이클 민감. 단가/원가/환율 리스크 관리 필요.
(2) 제품 포트폴리오: 고정식 소화·BWT·가스용기 멀티 포트폴리오 장점 vs 각 시장의 규제·인증·경쟁구도 상이.
(3) 지배구조/자사주 정책: 2024~25 자사주 신탁 운영·해지 공시와 분할 결의 등 주주가치·사업재편 이슈의 실행·구체화 추적 필요.
(4) 테마 vs 실적: 남북러 가스관·정치 인맥 등은 실적과 직접 연결 약함. 수주/매출 인식까지 확인되는 팩트 기반 뉴스/공시 중심의 매크로-마이크로 체크 권장.
요약 결론
엔케이는 조선·가스·수소 인프라 기자재를 아우르는 멀티 니치 제조사입니다. ’21~’22 흑자 → ’24 적자는 BWT 둔화·용기부문 후퇴·고정비 탄력의 결과로 판단됩니다. LNG선 발주·수소 운송용기(튜브트레일러) 수요는 업사이드, 수주·환율·원가는 리스크. 지분구조는 특관 27%대 + 자사주 11%대로 안정적이며, 분할·자사주 정책 추이를 면밀히 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