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앤씨앤 기업분석/관리종목 주의/ 재무(**지속적 적자, 부채율 급등), 대주주, 관련기업(넥스트칩)/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6 회 2025-10-21

  • 앤씨앤(코스닥/ 092600)/ 투자주의(25년3월 관리종목지정)

    1) 테마 연관성 (뉴로모픽, CCTV&DVR, 시스템반도체, 자율주행, 물리보안)

    • 시스템반도체/자율주행: 연결 자회사 넥스트칩은 차량용 비전 ISP/ADAS SoC를 설계하는 팹리스로, 자동차 카메라·ADAS용 영상처리/인식 반도체를 주력으로 밝힙니다(ADAS SoC, ISP, AHD 전송 기술 등). 따라서 시스템반도체·자율주행차 테마 연관성이 가장 강합니다.
    • CCTV·DVR/물리보안: 모회사 앤씨앤은 차량용 블랙박스(세트) 및 보안용 영상처리 칩 관련 사업을 영위해왔고, 보고서의 품목별 매출구성에 ‘블랙박스(세트)/상품/상품권 유통’이 기재돼 있어 CCTV·DVR·물리보안과의 연결도 존재합니다.
    • 뉴로모픽: 공개 자료상 뉴로모픽 전용 칩을 직접 개발/출하했다는 근거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즉, 테마 연관성은 간접·약함으로 판단합니다. (보수적으로 표기)

    또한 넥스트칩은 로봇/드론용 비전 플랫폼으로 응용 확장 계획을 언급해 로봇·드론 확장 테마로도 엮이는 보도가 있습니다(부수적).

     

    2) 회사 개요·사업영역 요약

    연혁/상장: 1997년 설립, 2007년 코스닥 상장. 2019년 반도체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넥스트칩 설립, 이후 사명 앤씨앤으로 변경.

    연결 범위(주요 종속/관계):

    넥스트칩(상장, 코스닥 A396270) – 자동차 비전 시스템반도체/ISP/ADAS SoC. 2024.12.31 기준 지분율 42.60%.

    기타 비상장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다수(제품·서비스·유통 등)

     

    3) 연결 재무요약 (최근 3년,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92,60061,70089,700
    영업이익-32,100-35,700-26,700
    당기순이익              -36,300             -34,300           -32,000
    부채총계40,70071,30076,107
    자본금12,50012,50012,542
    자본총계74,10055,10023,166
    부채비율(%)54.9129.4328.3

     

    4) 매출구조 (품목 비중) – 모회사(별도) 기준

    2024년 별도 매출 57,476 중(단위: 백만원): 제품 5,326(9.27%), 상품 16,294(28.35%), 상품권 유통 35,596(61.93%), 기타 260(0.45%).

    연결 관점 보정: 2024년 넥스트칩 매출 32,252가 연결에 포함(연결 매출 89,701 중 35.96%) → 연결 레벨에선 반도체(넥스트칩) 비중이 유의미.

    해석: 별도 기준으로 보면 ‘블랙박스/유통’ 비중이 크지만, 연결로 보면 넥스트칩(시스템반도체) 매출 비중이 커져 반도체+블랙박스 양축 구조입니다.

     

    5) 대주주·유동주식

    5% 이상 주주(2024.12.31): 김경수 18.85%(최대주주), 장지훈 6.90%(임원), 김동욱 6.90%(임원).

    소액주주/유동주식비율: 소액주주 지분 61.62%.

    최대주주 약력(요지): 대우통신 → CMS 대표 → 앤씨앤 대표이사(‘97~’21) → 넥스트칩 대표이사(’19~ ), 앤씨앤 사내이사(’24~ ). 2024-03-28 주총에서 앤씨앤 사내이사 선임.

    대주주 변동이력: “창립 이래 최대주주 변동 없음”.

     

    6) 지배·지분관계 있는 상장회사

    넥스트칩(코스닥): 앤씨앤의 연결 종속회사(2024.12.31 지분 42.60%). 사업은 ADAS SoC/ISP 등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 그 외 상장 연결사는 사업보고서상 확인되지 않습니다(비상장 종속/관계사는 다수).

     

    7) 상장 이력(특례 여부) 및 주요 이벤트(최근 5년)

    • 상장: 2007년 코스닥 일반상장(특례상장 근거 없음).

    타임라인(중요 이벤트)

    • 2020.07: 전환사채(CB) 발행 40억원(표면/만기 0%/0%, 리픽싱·콜옵션 없음), 2022.01.21 전액 주식전환.
    • 2022.07.27: 넥스트칩 코스닥 상장(앤씨앤의 반도체 사업 분할 자회사).
    • 2023.01.01: (주)베이다스 흡수합병(소규모) – ADAS SW 역량 내재화 목적.
    • 2023.11.21: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결손 보전 성격).
    • 2024.03.28: 현물배당 결의 포함 정기주총(연결·별도 재무제표 승인/이사·감사 선임 등).
    • 2024.02~06: 본점 이전 결의(판교로 323 → 대왕판교로 660), 운전자금 차입(IBK 15억원·산은 30억원), 지점 설치 등 이사회 의안 처리.
    • 2025.03.18: 관리종목 지정(한국거래소) –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법차손) > 자기자본 50%” 사유.

     

    8) “지속적 적자 → 관리종목”의 원인 분석

    • 이익구조: 2023~2024년 연결 영업손실(’23: -15,246, ’24: -26,691), 당기순손실(’23: -34,659, ’24: -31,995) 지속. 넥스트칩 및 모회사 모두 비용 확대(개발·판매관리)와 시장 회복 지연의 복합 영향.
    • 재무구조 악화: 자본총계가 ’22 74,108 → ’23 55,058 → ’24 23,166으로 축소, 부채비율 54.9% → 129.5% → 328.5% 급등. ’24년은 자본 대비 손실규모가 커 관리종목 지정 사유(법차손/자본 비율) 충족.
    • 자금조달/현금흐름 측면: ’24년 운전자금 차입(IBK·산은) 등 단기 유동성 보강, ’20년 CB는 ’22년 전환 완료되어 이자부담은 낮았으나, 연결 기준 적자 누적이 자본잠식 압력으로 이어짐.

    요약: 연결 레벨의 손실 지속 + 자본축소 → 2025-03-18 관리종목 지정. 향후 추가 손실 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리스크가 커집니다.

     

    9) 지난 5년간 연도별 포인트

    • 2021: (사업보고서상 특이 공시 제한적)
    • 2022: 넥스트칩 코스닥 상장(7/27), ’20년 발행 CB 전액 전환(1/21).
    • 2023: 베이다스 흡수합병(1/1),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11/21).
    • 2024: 본점 이전 결의, 운전자금 차입(IBK·산은), 현물배당 결의 포함 정기주총.
    • 2025: 관리종목 지정(3/18).

     

    10) 투자 시 주요 체크포인트

    1. 관리종목/상폐 리스크: 법차손/자본 기준 충족으로 관리종목 지정. 연속 손실 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가능성.
    2. 재무 레버리지 급상승: 2024 부채비율 328.5%​. 추가 자금조달(증자/차입) 시 주주가치 희석 또는 이자부담 이슈.
    3. 자회사(넥스트칩) 연동도: 연결 매출의 약 36%가 넥스트칩. 자회사 실적 변동이 그룹 손익/자본에 직접 영향.
    4. 사업 포트폴리오: 별도 기준 ‘블랙박스/유통’ 비중이 높고, 연결 기준 ‘차량용 반도체’ 비중이 커 두 시장 사이클의 동시 영향을 받음.
    5. 테마 뉴스 변동성: 자율주행·보안·로봇/드론 테마 이슈에 따라 뉴스 민감도가 큼. (테마 과대·오인 분류(예: 뉴로모픽)는 별도 확인 필요)

     

    요약 결론

    앤씨앤은 블랙박스(세트) 중심의 모회사와 차량용 시스템반도체(넥스트칩) 중심의 자회사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최근 연결 적자와 자본 축소관리종목에 지정(2025-03-18)되었고, 부채비율 328.5%까지 상승했습니다. 향후 넥스트칩 실적 회복, 모회사 수익성 정상화, 자본확충/재무안정 여부가 상장유지 및 밸류에 핵심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