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SJG세종 기업분석/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수소차, 자동차부품 테마주/ 재무, 대주주/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37 회 2025-10-20

  • SJG세종(구 세종공업, 코스피/ 033530)

    1) 테마 연관성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자동차부품, 수소차)

    • 자동차부품(주력): 동사는 국내 배기시스템 1차 협력사로 컨버터(배기가스 정화)와 머플러(소음 저감)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2024년 제품 믹스는 ‘머플러·컨버터 93.32% / 기타 6.68%’입니다.
    • 수소차(연료전지): 그룹 내 세종이브이를 통해 연료전지 금속분리판(메탈 바이폴라 플레이트), 수소센서, 수소 배기 시스템 등을 생산·공급합니다(현대모비스 향 공급 이력).
    • 온실가스(탄소배출·ESG): 회사는 ESG/탄소중립 체계를 공개하고 각 법인별 감축목표·인증현황을 운영합니다(ISO14001, IATF16949 등). 이는 K-ETS(국가 배출권거래제) 환경 하에서 제조기업의 감축·공시 체계와 직결됩니다.

    • 기타 엮였던 테마: 과거 ‘현대차그룹 협력·전동화’ 및 ‘수소경제’ 기대감, ‘로봇·M&A 수혜’ 등 이슈로 움직인 적이 있습니다(테마성 기사).

    2) 회사 개요 & 사업

    • 상호/상장: 1976년 설립, 2002.09.25 상장. 2024.04.01 ‘세종공업 → SJG세종’ 사명 변경.
    • 주요사업: 배기시스템(컨버터/머플러), 수소 솔루션(금속분리판·수소센서 등), 전동화 부품. 글로벌 20여 개 내외 종속회사로 중국·멕시코·유럽 등 생산거점을 운영.

    3) 최근 3개년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구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1,858,300        1,792,300           1,816,600
    영업이익32,60051,90060,600
    당기순이익        2004,30034,000
    부채총계748,000739,900781,300
    자본총계401,400411,900459,300
    부채비율186.3%179.6%170.1%
    자본금13,90013,90013,900

    매출 구조(제품 믹스, 2024년)

    • 머플러/컨버터 93.32%, 기타 6.68%. (유상사급자재 제거한 ‘순매출’ 기준 코멘트는 분기보고서에 별도 언급)

    4) 주주 구성 / 유동주식비율

    • 에스제이원 외 10인 44.14%, 유동주식비율 53.10%. 변동 이력에는 2020년 박정길 전환사채 권리행사, 2015년 증여 등 세부 기록이 있습니다.

    대주주 ‘에스제이원’(SJ One) 상세

    • 설립/성격: 2015.02.04 설립된 지주회사 성격의 비상장사(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로 분류, 자회사 투자·업무지원 목적). SJG세종 최대주주.
    • 지분: 과거 공시 기준 SJG세종 보통주 32.46% 직접 보유(특수관계인 포함 시 40%대). 의결권이 있는 전환상환우선주 고려 시 의결권 지분율 25.59%라는 기술도 사업보고서 본문에 존재(특수 조건 반영 주석).

    5) 지배·지분 관계 상장사 유무

    그룹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중국/멕시코/인도/인도네시아 등 해외 생산법인 및 R&D·EV 법인 중심이며 상장 자회사는 확인되지 않음(아센텍, 세종EV 등 모두 비상장).

    결론: SJG세종 외에 동일 지배 하에 상장사는 없음(공시·기업모니터/IR 기준).

    6) 상장 이력 & 주요 이벤트(최근 5년 위주, 역순)

    • 2024.04: ‘세종공업→SJG세종’ 사명 변경(CI 공개).
    • 2023~2025: 대표이사 선·해임 등 경영진 변동(2023.3 최정연 선임 → 2024.3 이동원 선임 → 2025.3 이사 재선임 등).
    • 2020~(진행): 수소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양산(세종EV 설립 및 현대모비스 납품 개시).
    • (과거): 아센텍 인수 편입(2014년, 100% 인수·편입, M&A 성과 지속).
    • (사업보고서에는 전환사채/RCPS 전환가 조정 조항 등 자본 관련 주석 존재)

    7) 2020~2021년 적자 원인 / 부채비율이 높은 이유

    적자 원인(20~21년): 코로나·중국 판매 부진 매출원가율 90%+ 고착, 원가 압박으로 2020년 영업손실 61.7억원·순손실 218.5억원, 2021년 영업손실 27.3억원·순손실 107.7억원. 이후 2022년 흑자전환.

    부채비율이 높은 구조적 요인(정성):

    다수 해외 생산법인 중심의 CAPEX·운전자본(원재료/재고) 부담,

    전동화·수소 신규투자(세종EV 설비 등)로 차입·리스부채 확대,

    ③ 환율·원가 변동 시 재무비용·외환손익 변동 등이 복합 작용.

    8) ‘대주주 변경’ 등 지배구조 특기사항

    • 최근 5년 내 최대주주 교체 공시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과거 변동이력에 2020년 전환사채 권리행사(박정길), 2015년 증여(박세종)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지분율 다소 조정).
    • 2024.05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개에 따르면, 이사회 내 위원회(ESG위원회 등) 미설치, 핵심지표 준수율 평균 이하라는 외부 평가 기사도 있습니다(지배구조 개선 여지는 과제).

    9) 투자 체크포인트(핵심 리스크 & 기회)

    기회

    현대차그룹(국내외) 생산량·믹스 개선 시 배기·전동화 부품 수혜. 2025H1 실적 개선 코멘트(내수 호조) 확인.

    수소차 부품(금속분리판·센서)은 구조적 성장 옵션. 고객사 라인업·단가/수율 안정화 시 레버리지 기대.

    리스크

    제품 믹스가 배기계통 9할대로 특정영역 의존도 높음(전동화·수소 매출 본격화 전까지).

    원가/환율/운임 민감도, 해외 법인 다수에 따른 외환·현지 리스크(FnGuide 분기 외환손익 변동).

    지배구조/ESG 체계는 개선 과제(위원회 부재 등).

     

     

    요약

    • 지배·지분관계 상장사: 없음(계열사는 대부분 비상장 해외 생산·R&D 법인).
    • 상장 이력: 2002.09.25 상장, 2024.04 사명변경.
    • 특이 이벤트(5년): 사명변경(2024), 경영진 변동(2023~25), 수소 분리판 양산(2020~), 과거 아센텍 M&A(2014).
    • 대주주(에스제이원): 2015년 설립 지주회사 성격, 최대주주로서 30%대 직접지분(특수관계 포함 40%대), 의결권 주석(전환주 포함) 존재.
    • 2020~21 적자/부채비율 높음 사유: 고원가구조·코로나/중국 부진 → 2022 흑전. 다법인 CAPEX·운전자본·전동화/수소 투자, 외환·금융비용 변동.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