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기업 분석 및 이슈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이슈나 뉴스

  • 형지 I&C 기업분석/ 패션의류 테마주/ 재무(**적자 주의), 대주주, 관련기업(형지엘리트·까스텔바작)/ 25년공시 참조

    작은연못 40 회 2025-10-20

  • 형지 I&C (코스닥/ 011080)

    1) 테마 연관성 및 기타 테마 연결

    • 패션/의류 테마: 형지 I&C는 남성복 ‘BON(본)’, 셔츠/맨즈웨어 ‘YEZAC(예작)’ 등을 전개하는 의류 제조·도소매 기업으로 본업이 패션입니다.
    • 정치(이재명 테마) 언급 이력: 과거 그룹 계열사(형지엘리트)의 무상교복 정책 수혜 기대와 연결되며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된 사례가 있습니다(형지I&C도 동일 그룹 편입사라는 맥락).

    2) 회사 개요·사업

    • 설립/상장: 1976년 설립, 2004-07-02 코스닥 상장. 본사 인천 송도.
    • 브랜드/채널: 남성복 ‘BON’, 셔츠·맨즈웨어 ‘YEZAC’ 중심. 오프/온라인 유통망 보유. 최근 BON 리브랜딩 후 프리미엄 수트 매출 고성장(’24).
    • 신용도: 2025년 회사채(Bond) B+ 수준 표기.

    3) 최근 3년 연결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구분202220232024
    매출액70,50065,30056,700
    영업이익2,400700-5,000
    당기순이익-7001,900-3,900
    부채비율(%)          106.64            99.89              129.86
    자본금12,80012,80014,600
    자본총계29,10030,20028,200

    매출구조(상품/제품/기타, 브랜드 비중)

    • 공개된 최신 연간 ‘정확한’ 품목별 비중치는 공시마다 형식이 달라 일부 연도는 요약치만 제공됩니다. 다만 SK증권(2022) 리포트의 2021년 기준 매출 비중은 제품 62.2% / 상품 37.4% / 기타 0.4%로 제시(참고치). 브랜드 비중은 YEZAC 35% / BON 39% / 기타 26% (2021).
    • 브랜드 단위 최신 수치: 업계 기사에 따르면 ‘BON’ 2024년 매출 약 27,000백만원(=270억원). (브랜드별 공시정식 분해가 아니므로 참고용 수치로만 사용).

    4) 주주구성(5%+ 포함)·유동주식비율·대주주 약력

    • 최대주주 등(본인+특수관계인): 20.03% (2025-05-13). 세부: 최병오 14.92% / 최준호 2.02% / 패션그룹형지 1.85% / 최혜원 1.24%. 자사주 0.02%. 유동주식비율 79.94%. (최근 공시 기준 5% 이상 기타주주는 없음)
    • 대주주 약력(요지): 최병오 회장(패션그룹형지 회장 겸 형지 I&C 대표). 광장시장·동대문에서 창업→형지그룹 구축, 우성I&C·엘리트(현 형지엘리트) 인수, 까스텔바작 등 계열 편입.

    5) 지배·지분 관계 상장사

    • 지배그룹: 패션그룹형지.
    • 동일 그룹 상장사: 형지I&C(011080), 형지엘리트(093240), 까스텔바작(308100) 등.

    6) 상장 이력 및 주요 이벤트(연표)

    • 2004-07-02: 코스닥 상장.
    • 2012: 형지그룹이 우성I&C(전신) 인수, 그룹 편입.
    • 2015-09: 사명 변경 (Woosung I&C → HYUNGJI I&C).
    • 2022-09-19 결의 / 2022-10-04 기준: 무상감자(주식 3→1 무상병합, 감자비율 66.67%) — 결손금 보전·재무구조 개선 목적.
    • 2024-05-21: BW(제10회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결정(이후 조건 조정/발행결과 공시).
    • 2025-04~05: 유상증자 결정·발행가 확정·청약결과 공시 일련의 절차 진행.
    • 2025-03-28: 정기주총 결과 공시.

    대주주 변경: 최근 공시상 지배력 변동(오너 교체)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다만 2025.4~5월 대주주·특수관계인의 장내매수/유증 배정 등 지분 변동 공시는 존재합니다(최대주주 등 합산 20.03%).

    7) 재무 관련 특이사항

    연속 변동성: 2022 흑자 전환 실패(순손실) → 2023 흑자(소폭) → 2024 영업·당기 적자 재발, 부채비율 129.86%까지 상승. 자본총계 282억(=28,200백만원)로 축소.

    자본정책:

    2022 무상감자(무상병합)로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 개선 시도.

    2024 BW 발행, 2025 유상증자로 유동성 보강·재무구조 개선 시도. H1(’25) 기준 자본금 212억원(=21,200백만원)로 증가, 이익잉여금(결손금) -442억원. (분기 수치/자본 변동표)

    사업 트렌드: 이상기후·소비 심리 위축·카테고리 믹스 영향으로 남성 정장/셔츠 중심 포트폴리오가 경기순응성·계절성에 취약. 리뉴얼·프리미엄 수트 강화로 BON 매출 개선은 확인되나, 전체 손익 반전엔 추가 시간이 필요.

    신용도: 회사채 B+ 레벨 표기 — 차입/조달 여건에서 보수적 관리 필요.

    8) 최근 5년(2021~2025) 특이 이슈 요약

    • 2021→2022: 매출 정체/감소, 영업익 급감→’22 순손실, 이후 무상감자 단행(’22.9~10).
    • 2023: 비용관리로 흑자(소폭) 회복(영업이익 700백만원, 순이익 1,900백만원).
    • 2024: 적자 재발, 브랜드 리뉴얼을 통한 ‘BON’ 매출 개선 사례는 있으나 전체 손익은 적자. BW 발행로 재무보강 시도.
    • 2025 상반기: 유상증자 진행(발행가 확정·청약·발행결과 공시), 상반기 누적 손실 지속(분기/반기 공시 참조).

     

     

    결론 요약

    1. 핵심 리스크: 수요 둔화·계절성 높은 포트폴리오, 2024년 적자 및 부채비율 129.86%. 2025년 유증으로 자본 확충 중이나 손익 턴어라운드 확인이 필요.
    2. 체질개선 시도: BON 리뉴얼 등 브랜드 정책의 긍정적 조짐(브랜드 단위 매출 개선) 있으나, 전체 손익 개선으로 연결되는지 모니터링 필요.
    3. 지배구조/계열 상장사: 형지엘리트·까스텔바작과 함께 패션그룹형지 계열 3대 상장축. 정치 테마(무상교복) 연상 보도 이력은 참고하되, 현재 펀더멘털은 남성복 카테고리의 수익성 회복이 관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