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코스닥, 187790
1999년 설립(경북 상주), SCR 탈질촉매·TiO₂(이산화티타늄) 원료 제조/판매. 중국(상하이·운남) 종속법인을 통한 원료·수출 거점 보유. 연결 종속회사 2~3개(중국 2, 국내 1 등, 모두 비상장) 코스닥 상장은 2015.04.21 유진기업인수목적1호(SPAC)와 합병 방식(법률상 존속: SPAC, 실질 존속: 나노).
(맥신·황사/미세먼지) 테마
- 황사/미세먼지: 주력인 SCR 탈질촉매는 연소 배가스의 NOx를 N₂+H₂O로 환원시켜 대기오염·초미세먼지(PM) 전구물질을 줄이는 핵심 장치. 회사가 발전소/산업 보일러 등에 공급하는 촉매·설비가 이 이슈와 직접 맞물림
- 맥신(MXene): 맥신은 고전도·박막 코팅 등으로 차폐·센서·이차전지에 주목받는 신소재이지만(국내외 연구발표 다수), 2024년 사업보고서 공개 범위에서 나노의 맥신 상용화/매출 연결 근거는 확인되지 않음(주요 사업은 SCR 촉매·TiO₂ 원료)【】. 즉, 맥신 테마는 시장 기대/연구소식 연동의 간접 테마 성격이 강함.
추가로 회사는 탈질설비, 산화촉매(온실가스 산화) 등으로 응용영역을 확장 중.
정치 테마/기타 이색 테마의 공식 연결 고리는 사업보고서상 확인되지 않음.
회사 개요 (요약)
- 설립: 1999.04.12 / 본사·공장: 경북 상주시 청리면 마공공단로 60
- 영업: SCR 탈질촉매(허니컴·플레이트·레이어드)·재생·평가·설비, TiO₂ 원료
- 종속회사(요약): NANO-CHINA(상하이, 100%), NANO CHEMICAL(운남, 74.9%), 나노에너지(국내 100%) 등(모두 비상장)
- 연혁 하이라이트: 2015 코스닥 상장(SPAC 합병), Plate형·Layered형 촉매 등 특허/혁신제품 지정 다수
- 신용등급(참고): 2024.05.22 이크레더블 B, 2024.04.30 한국평가데이터 BB0
연결 기준 재무요약 (단위: 백만원)
| 연도 | 매출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자본금 | 자본총계 |
| 2024 | 88,600 | 1,700 | 22,100 | 181.09% | 15,400 | 30,700 |
| 2023 | 88,100 | 1,600 | -5,300 | 712.99% | 15,400 | 8,300 |
| 2022 | 66,800 | -3,500 | -14,500 | 729.81% | 13,700 | 8,400 |
매출 구조(2024, 연결)
- SCR 촉매(한국 본사): 56,800 백만원(약 64.1%)
- TiO₂ 원료(중국 법인): 31,800 백만원(약 35.9%)
주주 구성(연말 기준, 5% 이상 + 특수관계인, 유동주식)
| 구분 | 지분율 |
| 최대주주 신동우(대표이사) | 9.82% |
| 5% 이상 기타 주주 | 없음(보고서상) |
| 유동주식(기타) | 90.18% |
출처: 주주현황(최대주주 9.82%, 기타 90.18%)【】.
※ 별도·특수관계인 명세에 5% 이상 추가 주주는 기재되지 않음(보고서 기준). 자사주·임원 보유가 미미해 유동비율이 매우 높게 산출.
최대주주 약력(요지)
- 신동우: 창업자·대표이사. 2015년 철탑산업훈장 수훈, 각종 기술상·학술대회 주관 등 대기환경 촉매 분야 공로 다수.
지배·지분관계가 있는 상장회사 여부
- 회사·종속회사 모두 동일 기업집단 소속 아님, 종속/관계회사 전부 비상장으로 기재. 지배관계로 연결된 상장사는 없음.
상장 이력·자본 변동·특이 이벤트(최근 5년 중심)
- 2015.04.21: 유진기업인수목적1호㈜와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실질 존속: 나노).
- 자본금: 2022년 13,709 → 2023~2024년 15,420(백만원). 2023년에 전환사채 주식전환 등으로 자본이 증가.
- 2024.04.11: 주권매매거래정지(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공시) → 2024.07.17 정지기간 변경(개선기간 부여). 이후 2025.05.20 상장유지 결정과 함께 거래정지 해제
- 공시 관련 제재: 2024년 공시불이행 벌점 6.5점(타인 채무보증결정 지연 등) 부과 기록·내부회계 정비 계획 기재.
2024년 거래정지 사유 & 재개 과정(정리)
- 사유: 2024.04.11 한국거래소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사유 발생으로 매매거래 정지.
- 경과: 2024.07.17 개선기간 부여로 정지기간 변경 공시.
- 해제: 2025.05.20 상장유지 결정·거래정지 해제 공시(관리·환기 사유 해소).
정지사유: 감사인이 2022년 회계연도에 대해 일부 항목의 감사절차를 완전히 수행할 수 없었다거나, 회사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했거나, 통제환경·증빙 등이 제한됐다
‘23년 고부채비율 → ‘24년 하락(713% → 181%)의 원인 교차분석
① 자본 확충 효과: 2023년에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약 5,017백만원)이 자본으로 전입되어 자기자본 확충에 기여.
② 이익 개선 효과: 2024년 연결 당기순이익 22,668백만원(’23년 1,148백만원)로 대폭 개선 → 이익잉여금 증가에 따른 자본총계 확대.
③ 금융수익·현금흐름: 2024년 금융수익 15,381백만원 등 비영업수지 호조가 순이익·자본을 밀어줌.
재무활동현금흐름 변동(차입·상환·전환 등)도 병행.
→ 결과적으로 부채(분모) 변화보다 자본(분자) 의 증가폭이 커지며 부채비율이 크게 하락.
전환사채 및 기타 ‘부채→자본’ 관련 자금흐름 포인트
- 전환사채 전환(2023): 자본변동표에 전환사채의 전환 5,017백만원 계상. 이는 부채 감소+자본 증가로 레버리지 완화.
- 재무활동 현금흐름: 2023~2024년 단기차입 변동·상환 및 기타 금융거래로 현금흐름 큰 폭 변화(’24 재무활동CF +1,058백만원).
- 금융수익 급증(2024): 이자·평가·처분 등 금융수익 15,381백만원 발생 → 순이익 레벨업.
“대주주 지분이 낮은 이유” 해석
- 상장 구조 특성(SPAC 합병): 초기부터 광범위한 공모/환매 구조로 분산 지분 형성.
- 추가 지배력 희석 요인: 전환사채 전환 등으로 유통주식이 늘며 오너 측 지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
- 결과: 보고서상 최대주주 9.82% 외 5% 이상 주주 부재 → 유동주식비율 90%대.
투자 시 추가 체크포인트
- 영업이익 대비 순이익 괴리: 2024년 영업이익 2,426백만원 vs 순이익 22,668백만원. 금융수익 의존이 커 실적 변동성 유의.
- 공시·내부통제 이슈 이력: 2024년 공시불이행 벌점 및 거래정지/개선기간 부여 이력 → 지배구조·내부회계 개선 진척 점검 필요.
- 수요 사이클 의존: 환경 규제·발전사 설비투자·환율에 따른 해외 수주 변동성.
- 종속사 리스크: 중국 종속사(원료) 비중(’24 매출 35.9%) → 중국 수요/정책 변수 노출.
- 테마 vs 실적: 맥신 테마는 직접 매출 연결 증거 부재(보고서 기준). SCR·TiO₂ 중심 본업 실적 추세를 우선 평가.